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무를 상속한 의사무능력자 및 그의 상속인 보호에 관한 고찰

        서인겸(In-kyeom SEO) 한국가족법학회 2011 가족법연구 Vol.25 No.1

        The Korean Civil Law enacts the provisions of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and ‘legal capacity’ in express terms, but does not enact ‘mental capacity’. Therefore, there is no way of protecting mental incompetents who do legal acts but to rely on legal interpretation. We can see that both legal theory and precedent protect mental incompetents through recognizing the concept of mental capacity and interpreting juristic acts of mental incompetents as null and void. We also see the other way of protection which is legal guardians as legal representatives manage the property of mental incompetents and exercise the right of representation after they are declared incompetent. However, in reality, it is very low to use the incompetent system because it has to take annoyed process such as being declared by courts and the declaration fact is posted on the register of family relationship. Therefore, there is no concrete and individual way of protection in the case of that the incompetents without being declared should do certain legal acts positively. Especially, it would be possible that the incompetents could be protected legally and be released from inherited obligations by giving up the inheritance or making a qualified acceptance if they inherit liabilities on their own, but the concrete methods still matter. In this case, the first inheritor who inherited debts passed away without giving up the inheritance or making a qualified acceptance in lack of mental capacity stat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eir who inherited the first inheritor refuses succession or makes a qualified acceptanc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Korean Civil Law does not any provisions for regulating this situation. In this paper, I suggest the new legislative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after I first review which provisions of the Korean Civil Law could be applied analogically.

      • KCI우수등재

        채권자취소권(債權者取消權)에서 채권자인 수익자의 보호에 관한 고찰

        서인겸 ( In Kyeom Seo ) 법조협회 2010 法曹 Vol.59 No.2

        채권자취소권은 채무자의 책임재산 보전이라는 특수한 목적에서 법률행위의 당사자가 아닌 제3자에게 채권자라는 이유로 타인간의 법률행위를 취소할 수 있게 한 예외적인 제도이다. 실제 사례를 보면 채권자취소권의 상대방이 되는 수익자 중에는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는 채권자와 마찬가지로 채무자에 대하여 채권을 가지고 있는 채권자인 경우가 많다. 그런데 누가 먼저 채무자와 법률행위를 하는가 라는 우연한 사정에 의해 취소채권자(원고)가 될 수도 있고, 그 상대방(피고)인 수익자가 될 수도 있다. 이들(원고가 되는 채권자와 피고가 되는 채권자인 수익자)은 모두 채권자평등의 원칙을 적용받는 채권자인바, 취소채권자와 또 다른 채권자인 수익자 중 누구를 더 보호하여야 할 것인지, 아니면 균등한 보호를 하여야 할 것인지 문제된다. 구체적 쟁점으로 대물변제가 사해행위라고 문제되는 경우 수익자도 채권자의 지위에 있게 되는데, 이 경우 사해행위를 어떤 기준에 의해 인정하여야 할 것인지, 사해행위가 취소된 경우 수익자는 자신의 채권을 어떻게 만족 받을 수 있는지, 원상회복된 목적물에 대한 수익자의 배당요구권 인정 여부 및 수익자가 가액배상의무를 부담하는 경우 자신의 채권에 상당하는 금액에 관하여 안분배당청구권 또는 상계주장을 인정할 것인지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이러한 구체적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채권자취소권을 인정하는 이론적 근거에 관하여 먼저 살펴보고, 위에서 언급한 각 법적 쟁점에 관한 학설과 대법원 판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재 대법원 판례는 채권자인 수익자도 일반적인 수익자와 거의 마찬가지의 취급을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취소채권자와 동일한 지위로 인정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 KCI등재

        혼인의 실질적 요건을 흠결한 사실혼의 가족법상 보호에 관한 소고

        서인겸(Seo, In-Kyeom) 경희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3

        민법은법률혼주의를채택하고 있어혼인에관한 규정은혼인신고를마친 법률상배우자사이에서만적용되고혼인신고를마치지않은사실혼배우자사이에서는적용되지않는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사실혼은 사회적으로 배우자관계로 인정되고 혼인의 실체도 있으므로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되었고, 현재에는 준혼(準婚)관계로 인정하는 점에 이견이 없다. 준혼관계라 함은 법률상 혼인에 준하는 관계라는 것이고, 법률혼에 관한 민법의 규정을유추적용하는 것이므로 모든 법률규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없고, 혼인신고를 전제로 한 효과를 제외한 나머지 법률혼에 관한 효과가 인정된다. 민법은 당사자 사이에 혼인의사의 합치와법률에따른혼인신고까지마친법률혼도그실질적요건을흠결한경우에는그혼인이무효이거나취소할수있도록규정하여이를민법, 즉가족법상보호의대상에서제외하거나 그 가능성을 자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당사자 사이에 혼인의사와 혼인생활의 실체가 존재하여 일응사실혼이 성립한 것으로 보이기만 한다면 혼인의 실질적 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도 법률혼에 준하여 가족법 규정을 유추적용하여 보호할 것인지 문제된다. 특히, 법률혼에서 취소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중혼금지(제810조, 민법 제816조 제1호)의 취지에 반하는중혼적사실혼, 법률혼의무효또는취소사유로규정되어있는근친혼의금지(민법제809조,제815조 제2호 내지 제4호, 제816조 제1호)의 취지에 반하는 근친혼적 사실혼의 경우에 그보호 여부 및 범위가 문제된다. 이 글에서는 가족법상 보호를 받는 사실혼의 요건 및 범위를 법률혼과 비교하여 그 한계를 분명히 함으로써, 가족법 외에 다른 법률규정(민법 중 재산법규정 포함)이 적용될 수 있는 사실혼과 구별하는데 중점을 두고, 이에 기하여 가족법상 보호 여부가 특별히 문제되는중혼적 사실혼 및 근친혼적 사실혼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As Civil Act provides civil marriage, in principle, provisions on marriage are applied to only matrimonial relationship under the law after marriage report, while not applied to de facto marriage relationship without marriage report. However, the request of protection on de facto marriage has been recognized because de facto marriage is substantial and socially recognized as a marriage. Therefore, it is now generally considered as quasi-marriage. The quasi-marriage means the relationship resembling the civil marriage, which provisions on civil marriage are analogically applied. For that reason, only provisions providing effect of civil marriage except providing effect based on marriage report are applied to it, instead of all provisions on civil marriage are applied. Civil Act concretely provides the exclusion of Family Law s protection on civil marriage, enacted that even civil marriage based on mutual agreement and marriage report can be nullity or annulment when it does not satisfy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marriage. Reviewing Civil Act, it is discussed whether the Family Law can be analogically applied to de facto marriage in order to protect it, when it does not satisfy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marriage but there are agreement to marry between the parties and substantial marriage life. Specifically, the issue is whether it will be protected or not and if it is protected then what is the boundary of the protection, in case of de facto marriage violating prohibition of bigamy provided as cause for nullity of civil marriage(Civil Act Article 810, Article 816 subparagraph 1), and de facto marriage violating prohibition of consanguineous marriage provided as cause for annulment of civil marriage(Civil Act Article 809, Article 815 subparagraph 2 ~ 4, Article 816 subparagraph 1). This study reviews de facto marriage of bigamy and consanguineous which is specific issue including whether it is protected or now by Family Law, focusing on distinguishing de facto marriage protected by Family Law and de facto marriage subject to other laws beside Family Law(including Property Law under Civil Act) through clarifying its limitation comparing requirements and boundary of de facto marriage protected by Family Law and civil marriage.

      • KCI등재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적용에 관한 몇 가지 쟁점

        서인겸(Seo, In-Kyeom) 경희법학연구소 2011 경희법학 Vol.46 No.3

        주택임대차에 관하여 민법의 특별법으로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제정되고 시행된 지 30년이 경과하였고,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이 제정된 것도 벌써 10년이 되었다. 위 두 법률은 경제적 약자인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 다는 공통점이 있어 법률의 체계 및 주요 법리가 대동소이하다. 주택임대차에 관하여는 많은 학설 개진 및 판례의 집적으로 법리가 확립되었을 뿐만 아니라 법개정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까지 하였는바, 이러한 법리는 상가건물 임대차에도 대부분 그대로 적용된다. 다만,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경우에는 주택임대차와 다른 부분에서 아직까지 법리가 확립되지 않아 그 적용상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다소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이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적용에 있어서 아직까지 현실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몇 가지 쟁점에 관하여 학설과 관련 판례를 정리한 후 사견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검토한 쟁점은 먼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상가건물에 관한 임대차에 적용되는데 상가건물의 구체적 개념 및 그 범위에 관한 것이다.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상가건물을 사업자등록의 대상이 되는 건물이라고 정의하 는바, 특히 비영리 법인 등이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한경우에 법의 보호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보증금(월차임의 보증금 환산 금액 포함)이 일정 금액 이하일 경우에만 적용되는데, 월차임에 관한 부가가치세 부분을 차임으로 간주하여 보증금액에 환산할 것인지 여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임대차의 대항요건으로 주택임대차에 있어서의 주민등록에 해당하는 사업자등록을 규정하고 있는바, 비영리 법인 등이 세무처리를 위하여 사업자등록에 준하는 고유번호등록을 하였을 때 임차인으로 보 호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론으로서, 주택임대차에서 이미 활발한 논의가 있었고 확립된 판례도 있는 부분이지만 이와 다른 의견을 개진하기 위하여 대항력의 내용으로서 임대인지위의 승계에 관하여 검토하고 종래의 주류적 학설과 판례의 입장을 비 판적으로 검토하고 사견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30 years sinc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ith respect to the lease of buildings for residence as Special Act of the Civil Law was enacted, it has been also 10 years in terms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Legal framework and main legal principles of both acts are very similar because these laws have the purpose, which is intended for the protection of Lessee as the financial weak, in common. In the field of Housing Lease, legal principles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 various theories and precedents. Those principles was reflected in the revision of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They could also be applied to the field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However, in terms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some legal principles in different parts from Housing Lease have not yet established. Therefore, it is true that some problems are happening as the act applies. In this paper, I suggest my personal opinion after reviewing relevant theories and precedents on the issues which are still in debate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When it comes to concrete issues, I firstly reviewed the definite definition and the range of ‘Commercial Building’ because the Act is applied to Commercial Building Lease. The Act defines ‘Commercial Builing’ as the building which could be the target of ‘Registration of Enterpreneur’. In this point, I mainly reviewed whether non-profit corporations, renting the building not for profit, could be protected through the Act. Next, the Act is applied when security deposit(including deposit conversion sum of rent) is only under specific sum of money. In this situation, I reviewed whether VAT(value added tax) on rent should be included in security deposit. The Act prescribes ‘Registration of Enterpreneur’, which is just like the resident registration in Housing Lease, as opposing power of the lease. In this context, I also reviewed whether non-profit corporations, entering in identification number as Registration of Enterpreneur, could be protected as lessee. Lastly, as the rest argument, there have already been lively arguments and established precedents on succession to the status of the lessor. However, for stating my own opinion which is different from main theories and precedents, I suggest my personal viewpoint after reviewing the theories and precedents on ‘the succession to the status of the lessor’ critically.

      • KCI등재

        변호사업무 광고와 대한변호사협회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의 개정절차상 문제점

        정형근(Jung, Hyung-Keun),서인겸(Seo, In-Kyeom) 경희법학연구소 2022 경희법학 Vol.57 No.1

        변호사업무에관한광고는변호사의직업의자유와표현의자유로보호된다. 이런광고로소비자는변호사선택권과조력을받을권리를누리는데도움을받을수있다. 변호사법은광고를허용하면서도변호사의공공성과공정한수임질서및소비자에게피해를주는광고는금지하고있다. 표시광고법이나의료법등과같은법률에서도광고할수없는사유를구체적으로 정하고 있다. 변호사의광고에관한구체적인내용은대한변호사협회가회칙으로정하게되어있다. 대한변호사협회는 변호사법이 위임하는 사무를 처리하는 행정청의 지위에 있다. 대한변호사협회는 회칙을 제정하거나 개정하는 등으로 변호사의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다. 변호사는회칙을 준수할 의무가 있고, 이를 위반할 때는 징계처분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법무부장관이 대한변호사협회가 만든 회칙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심사한다. 이런국가의 감독을 통하여 대한변호사협회에서도 법치행정의 원리가 작동되도록 한다. 대한변호사협회는 변호사법이위임하는광고에관한 사항은변호사의기본권을제한하는내용이포함되므로, 이광고에관한사항을제정·개정할때는국가의합헌성·합법성통제를받아야 하는 회칙 또는 규칙의 형식으로 한다. 대한변호사협회가 2021. 5. 3. 개정한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 은 변호사법이 위임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를 개정할 때는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 은 그 명칭과는 달리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는 ‘규칙’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한변호사협회는 총회가 아닌이사회 의결로 개정을 하였고, 법무부장관에게 보고하여 법령과 회칙에 위반되는지를 심사받는 절차도 거치지 않았다. 따라서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 은 변호사법과 대한변호사협회 회칙 및 회규관리규칙에도 위반된다. Advertisement for the legal services of a lawyer is protected under the lawyer s freedom of occupation and expression. These advertisements can greatly help consumers enjoy the right to choose a lawyer and be assisted by counsel. While allowing advertisements, the Attorney-at-Law Act prohibits advertising that damages consumers, as well as the public character of lawyers and fair competition order. An act including The Act On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and the Medical Service Act also provides the grounds for prohibition to specific advertisements. It is provided that the details on the lawyer’s advertisement shall be stipulated by the Korean Bar Association. The Korean Bar Association is in the position of an administrative agency that handles the affairs delegated by the Attorney-at-Law Act. The Korean Bar Association is empowered to restrict the basic rights of lawyers by enacting or revising rules of the association. Attorneys are obligated to comply with the rules of the association, and disciplinary actions shall be imposed when they violates the rules. Therefore, the Minister of Justice examines whether the rules enacted by the Korean Bar Association violate the Constitution or legislation. With the supervision by national authority, the Korean Bar Association can be operated under the principle of administration by the rule of law As the details on the lawyer’s advertisement delegated by the Attorney-at-Law Act entail the restrictions on the basic rights of attorneys, it must be enacted or revised by the rules or regulations of the association that controlled by the constitution and legislation of the nation. The Regulation on Attorneys Advertising revised by the Korean Bar Association on May 3rd 2021 includes the contents delegated by the Attorney-at-Law Act. Therefore, when revising the regulation, it must be resolved by the general assembly of the associtation. It is because, contrary to its title, the Regulation on Attorneys Advertising is the subject of “Rules“ that must be resolved by the general assembly. However, the Korean Bar Association revised it by a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not by the general assembly. In addition, there was no procedure of reporting it to the Minister of Justice to examine whether it vio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refore, the Regulation on Attorneys Advertising revised by the Korean Bar Association also violates the Attorney-at-Law Act and the Korean Bar Association s rules governing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