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OO(Web based multi-user Object Oriented) 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 탐색

        권성호,서윤경,이승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WOO 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탐색하고 각 구성요소 WOO기반 학습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학습공동체는 실세계에서 하는 복잡한 문제들에 대해 다양한 관점과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이 협력하여 학습하는 것을 한다. 공동체에 소속된 동료 학습자들과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스스로 활동을 전개하는은 매우 중요한 학습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공동체를 다룬 기존 연구들을 살펴 본 결과 공동체의 목적과 가치, 문화 등을 공유하여 구성원들이 상호 정체성과 신뢰감을 갖는 것이 중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성원들간에 적절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체 지식을 생성해 나가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WOO(Web based multi- user Objected O 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사회·심리적 안정감, 역할 분담, 활동, 창조적 지 성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하고 사회적 실재감의 요소를 강조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 구성요 이 WOO 기반 학습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WOO 기반 학습환경은 동체를 설계할 수 있는 요소를 충분히 갖추고 있으며, 창조적 지식 구성을 위해 효과적인 도 사용될 수 있다. 향후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WOO 기반 학습공동체가 보다 효과적인 학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eb based learning refers to the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can make full use of the variety of resources and share their own perspectives and opinions with fellow-learners without time and space limitation. The educational potentials of web based learning lie on the worldwide-networking of dispersed learners and community-building onlin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review the importance of learning communities in the web based environments and to explore the variety of design factors for learning community-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which gain keen attentions from educational fields, consider most learners' activities with which they actively interact fellow members for resolving complex problems in the real world situations and learner-oriente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rmer researches, this paper reviewed in order to draw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efficient and even attractive community-building, and suggested five design principles such as 1) social and psychological comfort such as shared purposes, values and culture of the involved community, and self/community identity based on the trust-building with fellow members, 2) proper role play with leadership, 3) different types of synchronous or asynchronous activities and interactions, 4) creative knowledge construction, 5) physical workplace supported with technological tools. With these five design principles were suggested major functional applications in the Woo learning environments in this paper. Furthermore, this paper reviewed the matter of applications for those design elements in the WOO(Web based Object Oriented) that is one of prominent virtual realities and concluded that WOO learning environments could facilitate active interactions with learners, aware each other by exchanging online messages, and construct objects, which were vital factors for community-building.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미디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권성호,서윤경,강인경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미디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논의들을 재조명하고, 개념 중심의 미디어 교육과정과 다중미디어 리터러시 내용을 중심으로 PBL이 적용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상징 체계 이론, 지각 이론, 창의성 이론, 발달이론 등이 논의되었고, 개념 중심의 교육과정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교육과정은 “우리가 만드는 방송국”이라는 큰 주제 하에 13개의 소주제가 설정되고, 각 주제별 학습목표와 교수-학습 활동 내용, 학습 자료 종류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본 교육과정의 특징은 학습자 중심의 제작과정이 이루어지며, 미디어 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들도 손쉽게 수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과내용이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This is the study of designing a curriculum of the media education for the higher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fourth, fifth and the sixth grades. Supporting the idea of the media education, various background theories have been discussed. Following this idea, the curriculum which is developed PBL is focusing on the concepts-based media education process and multi-media literacy contents. This study also deals with the examples of the curriculum and some background theories such as symbolic system, perception, creativity and strategy of developing. On the topic of "the Broadcasting Station We are Making", this curriculum has 13 sub categories including learning objects and subjective learning, activities of Instruction, and suggestions of support materials. Extremely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this study is basically about the student-oriented curriculum, not teachers. Besides this curriculum easily applied in the class even by teachers, who have never learned the media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our new ideas for developing the media education in Korea. 1. Both theorists and practitioners should design the effective curriculum of instruction, with organizing various groups of learners and teachers. 2. Many different kinds of instructions and contents should be designed through the systematic researches in the educational technology. 3. The instruction should be organized through the learner's ages and developments 4. The new paradigm of the instruction in the field of the open media education should be studied using the media tools with the enthusiasm of improving the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