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가복음에 나타난 ' 생존 ' 모티브

        서용원(Yong Won Suh) 한국기독교학회 200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8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existing theoris of geographical structure on the Gospel of Mark and to exam it into spatial identity theory of humanistic geography. In order to analyze mark`s geographical structure, spatial identity theory of humanistic geography were first examined(chap.Ⅱ). Main frame of the spatial identity theory are as follow :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he second task was to provide an spatial identity of the geographical structure on the gospel of Mark(chap.Ⅲ). According to this analyze, Galilee paradigm and Jerusalem paradigm has a dual structure of spatial identity. Thirdly, the socio- rhetorical trajectories of Mark`s structure were reviewed in light of chap. Ⅲ(chap. Ⅳ). Major findings of this examination are as follows : 1) Not only conflict but also unity is related Mark`s geographical structure. 2) It is very complex that the socio -rhetorical trajectories of Mark`s Structure. That is, Main trajectory : Geographical structure "Galilee-Jerusalem-(Galilee)" Five sub -trajectories : Human race /Ideology/ Education/ Pastoral/ Salvation (History) 3) On the whole, the spatial identit - reflected in the Gospel of Mark is related to the socio-rhetorical trajectories of Mark`s structure.

      • KCI등재

        신약성서 부활 전승의 형성과 선포

        서용원(Yong Won Suh) 한국기독교학회 200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arliest two traditions(Acts 214-41; 1 Cor 15:1-8) in resurrection traditions of the New Testament. The resurrection tradition of the earliest New Testament Church(=the primitive Christian community) is kerygmatic in intention and has arisen in the circle of tradition formed by the primitive community in Jenusalem(Acts 2:14-38; 3:13-26; 5:30-32; 10:36-43). The resurrection tradition of the Hellenistic churches, on the other hand, has come into being by some additional interpretations to the original kerygmatic tradition vis-a-vis the new situation of the Hellenistic churches(Acts 13:16-41, Gal. 1:3-4, 1 Cor. 15:3-5, Rom 8:34). The former is mainly qualified by a credal phrase "God has raised Jesus who was dead" (Acts 3:32, 3:15, 5:30, 10:39-40). while the latter represents the tradition which accompanies the soteriological statement, "for our sins`(Gal. 1:3-4; 1 Cor. 15:3). The Peter`s Pentecost Speech(so-called missionary speeches by Peter or Paul) has summarized the basic kerygma and testimonia of early christian preachers. 1) Acts 2:14-21. The "pouring out of the Spirit" upon "all flesh" is fulfilling the "proclamation to all the nations" of a "change of mind leading to the release of sins" as the Scripture(Jole 3) declare. 2) 2:22-28. Jesus` of Nazareth signs,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already inaugurated the end days of salvation as theScriptures(Psalm 15) declare. 3) 2:29-36. As exalted "Lord and Christ" at God`s "right hand,"Jesus is "pouring out the Spirit" of the "proclamation of a change of mind leading to the forgiveness of sins" as the Scripture(Psalms 109) declare. 4) 237-41. Through a resurrection tradition which inherited the apostlic tradition and added to it the appearance tradition. This development influenced the transition from the creedal stage which emphasizes the eye-witness testimony about the appearance of Christ to the narrative stage which emphasized the risen Christ.

      • KCI등재
      • KCI등재

        식품의 건강함 정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식품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용원(Suh, Youngwon),이수현(Lee, Suhyeon),정수연(Jung, Sooyeon),정드림(Jung, Dream),윤원주(Yun, Wonjoo)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식품의 건강함 정도를 정량화하고, 브랜드 매출 및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실정에 맞는 식품의 건강함 정도를 계량화한다. 둘째, 한국에서 판매중인 모든 가공식품에 식품의 건강함 정도를 적용하고자 한다. 셋째, 식품의 건강함 정도가 실제 기업성과와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식품의 건강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에서 47,605개 제품의 영양성분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9년간 닐슨코리아 제공 식품 브랜드별 매출액 데이터와 2008년부터 2020년까지 13년간 기업의 재무 성과지표와 주가정보를 KIS-Value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 건강함 척도를 기준으로 High healthfulness, Low healthfulness 그룹으로 나누어 t-test 분석 결과, 식품의 건강함 정도가 높은 기업들이 낮은 기업들보다 브랜드 매출과 수익성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고, 시장 가치의 경우에도 더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본 연구의 탐색적 분석과 실증분석 결과 및 전략적 제언을 통해 실무적 연관성을 극대화하고 관련 이론의 발전을 꾀하고자 한다. This study quantifies the overall healthfulness of food and empirically t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fulness and firm performance.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s present an improved overall healthfulness measure reflecting the circumstances in South Korea. Second, the overall healthfulness measure is applied to all processed foods available in South Korea. Third, the authors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fulness and firm performance including actual brand sales, ROA, and Tobin’s Q. To measure the overall healthfulness, the authors analyze nutritional content data of 47,605 products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 this study employs actual brand sales over a 9-year period (2011-2019) by Nielsen Korea and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by KIS-Value. According to the results, companies with higher overall healthfulness showed greater brand sales and firm value than those with lower overall healthfulness. Finally, theoretical, managerial, and public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일터영성을 통해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정아(Jeong-ah Lee),서용원(Young-Won Suh)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직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이고, 이직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내적 가치인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터영성을 촉진하는 방법 중, 리더측면에서 영성 리더십의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 측면에 서 조직이 제공하는 영성지원 프로그램의 영향을 분석하며, 개인측면에서 부하의 지각된 조직지원의 영향에 대해 규명하였다. 또한, 5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Spiritual Leader Scale’이라는 영성 리더십 척도 개발을 통해 좀 더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영성 리더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을 일터영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직장인 331명의 응답을 분 석한 결과, 영성 리더십, 지각된 조직지원이 부하의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영성 리더십이 일터영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터영성은 영성 리더십과 직무열의, 이직의도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변인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직에서 영성지원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하고, 다양한 복리후생 제공을 통해 부하들의 지각된 조직지원이 높을수록, 영성 리더십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밝혔다. 또한, 영성 리더십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조직은 복리 후생을 통해서만 직원들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영성 리더 십을 통해 직원들의 내적 가치 체계인 일터영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그들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This research analyzed 'Workplace Spirituality' focusing on job’s meaning, relationship of people at the workplace. For workplace spirituality facilitation, this research analyzed leader, organization and individual facets. On leader’s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 leadership because it is not studied in this area. On organizational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roviding organization to facilitate individual spirituality. On personal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s research consisted of 2 parts. Part 1 redefined comprehensive concept of spiritual leadership and developed a new scale that can contribute to succeeding research in this area. Part 2 verified four hypotheses as below: First, this research verified antecedents of workplace spirituality such as spiritual leadership,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ore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organizations provide, the more spiritual leadership strengthen workplace spiritualty. And if employees perceive highly organizational support, then spiritual leadership's effect on workplace spiritualty gets higher, too. Third, the research verified how workplace spirituality is mediating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sion, engagement. Fourth, the research shows that spiritual leadership ha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engagement, turnover intension. So, this study revealed organization facilitate employees' workplace spirituality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employees' engagement and to decrease their turnover intension.

      • KCI등재

        일터영성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초월 가치를 통한 상사동일시의 매개된 조절효과

        최주영(Ju Young Choi),서용원(Yongwon Suh) 한국인사관리학회 202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일터영성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터영성이 가치(자기초월 가치, 자기고양 가치)에 미치는 영향 및 가치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일터영성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관계를 가치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사동일시가 일터영성과 가치 관계의 조절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여, 일터영성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사이에서 가치를 통한 상사동일시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24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일터영성은 자기고양 가치보다는 자기초월 가치에 영향을 주며,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은 자기초월 가치보다는 자기고양 가치의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터영성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사이에서 자기초월 가치의 부적인 완전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결과, 상사동일시의 조절효과는 일터영성과 자기초월 가치간의 정적 관계에서 나타나며, 일터영성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초월 가치를 통한 상사동일시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대한 사전 예방 요인으로 일터영성 및 자기초월 가치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and to examin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values(selftranscendence value, self-enhancement value) through supervisor iden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224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including measures of workplace spirituality,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values, and supervisor ident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was mediated by self-transcendence value. Second, supervisor identific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self-transcendence valu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transcendence value was moderated by supervisor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