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구조변동과 명예의 의미론 -『빌헬름 마이스터』 소설들에 나타난 결투 모티브를 중심으로

        서송석 ( Song Suk Suh ) 한국괴테학회 2015 괴테연구 Vol.- No.28

        Dieser Beitrag zielt darauf ab, den in den Wilhelm Meister-Romanen zu beobachtenden Zusammenhang zwischen dem Wandel der gesellschaftlichen Struktur und der Semantik auf Grundlage der Systemtheorie von Niklas Luhmann zu untersuchen. Hierfur wird zunachst der theoretische Rahmen dargelegt; Die Gesellschaftsstruktur ist eine Bedingung, in der sich kommunikative Elemente selektiv miteinander verbinden, um die weiteren Kommunikationen zu operieren. Doch diese Struktur andert sich im Lauf der Geschichte. So differenziert sie sich von standisch auf funktional hin. Parallel zur Evolution der Gesellschaftsstruktur verandert sich auch die soziale Semantik, die als Begriffs- Themen- und Ideenvorrat verstanden wird. Der Argumentationsansatz dieses Artikels geht von einer Ubergangsphase aus, in der die beiden primaren Differenzierungsformen, namlich stratifikatorisch und funktional differenzierte Formen ineinander greifen. Dabei sind die Romanfiguren bewusst oder unbewusst diesem sozialen Umbau und den darausfolgenden Normenkonflikten ausgesetzt. Zur Vertiefung der Romananalyse behandelt die Arbeit zwei in den Romanen dargestellte Duell-Geschichten, die zeigen, dass die Semantik der Ehre als fundamentales Grundkonzept fur die hierarchisierte Gesellschaft immer mehr an Bedeutung verliert und die Gesellschaftsstruktur nicht mehr von aristokratischem Vorrecht abhangig ist, sondern sie will eher eigenen spezifischen Bereich, in dem sie je nach Funktion uber eigene Kommunikation verfugt, stabilisieren. Dementsprechend fungieren die Duelle nicht mehr als eine Verteidigung der Ehre, sondern sie stellen vielmehr eine unrechtliche Tat dar. Lothario, die Zentralgestalt der reformatorischen Adelsgruppe in den Lehrjahren hat beispielsweise ein großes wirtschaftliches Reformprojekt, dadurch er das Abschaffen der Steuerfreiheit mit Blick auf die Legitimation der eigenen Eigentumsverfugung durchfuhren will. Auf der anderen Seite wird er in ein Duell involviert und verletzt. Wie Lothario befinden sich auch andere Romanfiguren, die Teil dieser neuen Ubergangsgesellschaft sind, in der ambivalenten Lage, sich gleichzeitig mit alten und neuen Begriffen, Ideen und Vorstellungen auseinandersetzen und die daraus resultierenden Schwierigkeiten bewaltigen zu mussen. Mit Hilfe von Luhmanns Theorie und der Betrachtung von Goethes Wilhelm Meister-Romanen kommt der vorliegende Beitrag zum Ergebnis, dass der soziale Umbau hin zu voneinander unabhangigen Ausdifferenzierungen ein irreversibles Phanomen ist und die semantische Evolution in den Romanen auf die Veranderung der individuellen Lebenshaltung unvermeidbar einwirkt.

      • KCI등재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에 나타난 결혼정치학

        서송석(Suh, Songsu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8

        본 논문은 괴테의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Wilhelm Meisters Lehrjahre」 가 그려낸 결혼이야기를 남녀 간의 사랑과 연애의 결실이 아닌, 정치적 사건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곧 결혼의 성립과 조건들을 둘러싼 복잡한 상황들을 관찰하면서 그 가운데 권력 또는 권력의 사회적 진화 형식으로서의 영향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젊은 귀족 로타리오는 신분중심의 사회가 위기를 맞는 상황에서 새로운 시대를 위한 개혁의 적임자로 자처하지만 정작 자신의 결혼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는 관습적인 방식을 고수한다. 곧 결혼 그 자체를 목적으로 여기기보다는 가문의 보존과 기득권 유지를 위해 결혼을 일종의 수단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혼동기가 전통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결혼의 추진과정 역시 암묵적인 복종을 요구하며 결정의 폭을 제한하는 권위적 방식이 도입된다. 그는 자신이 결혼하고자 하는 테레제가 이미 빌헬름의 청혼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그 두 사람의 약속을 무효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했고, 따라서 자신의 여동생인 나탈리에로 하여금 빌헬름과 결혼하도록 일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권력의 우세함과 열세의 차이가 드러나고 그러한 차이가 결혼 성립을 재편성하는데 있어서 영향력의 형식으로 현재화한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olitical strategy of marriage in Goethe s novel, analyzing the marriage 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a political event, rather than the fruit of love and romance between characters. It is a methodological attempt to show how political power influences the arrangements and conditions of marriage. The young noble Lothario perceives himself as a competent person for the sake of social reformation that is strongly required in the age of epochal crisis in Europe, however he still sticks to the customary way of promoting his own marriage and his sister s. Consequently, rather than considering marriage itself as a purpose, he uses his marriage as a means to preserve the aristocratic family, property and hegemonic stability. In order to actualize this strategy and accomplish the goal, he is not reluctant to select a political way in which individual decisions must be limited to a certain extent.

      • KCI등재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소설들에 나타난 경제체계의 분화와 매체의 발견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서송석(Suh, Songsu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8

        본 논문은 독일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을 토대로, 괴테의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연극적 사명』,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그리고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에서 나타나는 사회구조 변동, 특히 경제체계의 분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루만에 따르면, 사회는 크게, 신분계급 질서가 고착화된 형태로서의 성층사회, 그리고 하나의 특정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분화된 기능사회로 구별된다. 이 때, 기능분화사회로의 진입은 의식 주체가 각 기능사회를 유지하는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방식으로 참여하는지, 그리고 그 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하는 매체를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지에 따라 결정된다. 전인적인 교양의 완성을 꿈꾸는 주인공 빌헬름은 처음에는 연극에만 몰두하며, 돈을 매체로 하는 경제사회에 참여하는 것에는 의미를 두지 않는다. 하지만, 사회구조 변화의 불가피성을 인식하고 있었던 귀족들과의 접촉으로 경제체계의 매체인 돈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게 된다. 즉, 단순한 지출이나 소비가 아닌, 매체의 획득과 소유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것이다. 다른 한편, 신분중심의 사회에서 누려왔던 안정적 삶을 더 이상 보장받지 못하기 된 귀족들은 그들의 기득권적인 우위를 바탕으로 정치체계와 경제체계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소득의 증대와 소유의 안정을 위해 새로운 도시건설 또는 해외 이주라는 다양한 계획을 세우며 이의 실현을 위해 다른 계층과의 연대도 적극적으로 모색한다. 하지만 매체의 취득 또는 경제 커뮤니케이션에의 진입이라는 관점에서 귀족들은 여전히 유리한 위치에 서며, 그러한 점에서 성층사회로부터 이어지는 비대칭적 사회구조가 존속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 This paper concentrates on analysing of the evolutional change of the social structure depicted in Goethe"s three Wilhelm Meister"s novels, namely Wilhelm Meister"s Theatrical Calling, Wilhelm Meister"s Apprenticeship and Wilhelm Meister"s Travels on the basis of Niklas Luhmann"s systems theory which proclaims that societies differentiate themselves in the direction of performing of the specific function. In particular the modern aspect, in which the remarkable diffentiation of the economic area from the old conventional system can be observed, will be researched for the thematic approach. It is essential to be accustomed to the symbolically generalized medium, because the sufficient understanding how the monetary media operates in the transforming society leads people to involve themselves successfully in the economic function that is related to the stable life for the future. Wilhelm in his early days devotes himself to the theatrical art, parallel to this, he is hardly conscious of, does not know how the economic system operates, he does not have the conception of the possession, but as he grows mentally and educationally he learns to form a active attitude to the capitalizing in the economic world that money produces. On the contrary the noblemen in the novels notice the necessity of the gradual malfunctioning of the old system in which they have founded their existential background, and therefore try to adjust the irreversible social change not only by collecting capitals through the join of the economic activity, but also by cooperating with people who are not in the noble class. 본 논문은 독일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을 토대로, 괴테의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연극적 사명』,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그리고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에서 나타나는 사회구조 변동, 특히 경제체계의 분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루만에 따르면, 사회는 크게, 신분계급 질서가 고착화된 형태로서의 성층사회, 그리고 하나의 특정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분화된 기능사회로 구별된다. 이 때, 기능분화사회로의 진입은 의식 주체가 각 기능사회를 유지하는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방식으로 참여하는지, 그리고 그 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하는 매체를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지에 따라 결정된다. 전인적인 교양의 완성을 꿈꾸는 주인공 빌헬름은 처음에는 연극에만 몰두하며, 돈을 매체로 하는 경제사회에 참여하는 것에는 의미를 두지 않는다. 하지만, 사회구조 변화의 불가피성을 인식하고 있었던 귀족들과의 접촉으로 경제체계의 매체인 돈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게 된다. 즉, 단순한 지출이나 소비가 아닌, 매체의 획득과 소유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것이다. 다른 한편, 신분중심의 사회에서 누려왔던 안정적 삶을 더 이상 보장받지 못하기 된 귀족들은 그들의 기득권적인 우위를 바탕으로 정치체계와 경제체계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소득의 증대와 소유의 안정을 위해 새로운 도시건설 또는 해외 이주라는 다양한 계획을 세우며 이의 실현을 위해 다른 계층과의 연대도 적극적으로 모색한다. 하지만 매체의 취득 또는 경제 커뮤니케이션에의 진입이라는 관점에서 귀족들은 여전히 유리한 위치에 서며, 그러한 점에서 성층사회로부터 이어지는 비대칭적 사회구조가 존속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 This paper concentrates on analysing of the evolutional change of the social structure depicted in Goethe"s three Wilhelm Meister"s novels, namely Wilhelm Meister"s Theatrical Calling, Wilhelm Meister"s Apprenticeship and Wilhelm Meister"s Travels on the basis of Niklas Luhmann"s systems theory which proclaims that societies differentiate themselves in the direction of performing of the specific function. In particular the modern aspect, in which the remarkable diffentiation of the economic area from the old conventional system can be observed, will be researched for the thematic approach. It is essential to be accustomed to the symbolically generalized medium, because the sufficient understanding how the monetary media operates in the transforming society leads people to involve themselves successfully in the economic function that is related to the stable life for the future. Wilhelm in his early days devotes himself to the theatrical art, parallel to this, he is hardly conscious of, does not know how the economic system operates, he does not have the conception of the possession, but as he grows mentally and educationally he learns to form a active attitude to the capitalizing in the economic world that money produces. On the contrary the noblemen in the novels notice the necessity of the gradual malfunctioning of the old system in which they have founded their existential background, and therefore try to adjust the irreversible social change not only by collecting capitals through the join of the economic activity, but also by cooperating with people who are not in the noble class.

      • KCI등재

        괴테의 『친화력』에 나타난 매체로서의 사랑

        서송석(Suh, Songsu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5

        본 논문은 괴테의 소설 『친화력』에 나타난 사랑을 감정이 아닌,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 인식하고, 그 사랑 매체가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그와 같은 작동을 통해서 어떻게 친밀관계가 형성되며 동시에 기존 친밀관계의 위기를 초래하는 지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매체로서의 사랑은 행위자와 체험자, 곧 사랑을 전하는 전달자와 그 사랑을 받아들이는 체험자를 조건으로 한다. 여기서 문제는 행위와 체험이 언제나 불일치하다는 점인데, 그 이유는 행위자와 체험자는 각각 개별적이면서도 특수한 인격을 갖는 사람으로서 개별적인 인격 그 자체 사이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그 누군가를 개인적으로 알고 싶어 하고 그의 개별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며, 심지어 그 개별성을 구성하는데 관여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그러한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매체로서의 사랑을 끊임없이 주고받는다. 본 논문은 『친화력』에 나타난 에두아르트와 오틸리에의 사랑을 통해서 사랑이 어떤 의미들을 생산해 내는지, 그 사랑이 두 사람 사이에 새로운 친밀관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샤를로테와 결속된 기존의 친밀관계가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분석하였으며, 그 중에서 열정과 과도함이라는 에두아르트의 특징이 작품을 어떻게 비극적인 결말로 이끌어 가는지를 추적하였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about the love not as just emotion, but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in Goethe’s novel Wahlverwandtschaften and also about how this medium of love affects those who love each other, and the study finally looks into the situation, in which how the intimacy is formed among the loving people. The medium of love operates on the basis of act and experience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ac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But the problem is that the act and the experience are always inconsistent, because the actor and the people who perceive this acting are individuals with individual personality. Nonetheless, humans constantly love and receive love, in a sense that they are eager to know someone, grasp their individuality. In this paper, I analyzed what kind of meanings the medium produces through Eduard and Ottilie’s love in Wahlverwandtschaften.

      • KCI등재

        니클라스 루만의 인간과 주체 개념

        서송석 ( Suh Song-suk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7 獨逸文學 Vol.58 No.2

        니클라스 루만은 전통사회학에서 사회의 필연적 구성요소로 간주되어 왔던 인간이라는 개념을 사회학의 연구목록에서 제외시키고 그 자리에 커뮤니케이션을 채운다. 사회의 생성과 유지원리를 해명하려는 루만의 체계이론이 인간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는 이유는 구유럽적 인본주의 전통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던 주체적 인간 개념으로는 기능중심으로 분화되는 사회적 진화의 동력을 제대로 해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루만에 따르면 근대사회는 사회의 복잡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특징은 첫째, 연구대상에 대한 관찰결과의 기술을 해체와 재구성이라는 관점에서 반복적으로 허용하고 연구대상의 분화와 연구영역의 독립을 촉진시키는 학문체계의 분화에서, 두 번째로 사회의 유지원리를 인간의지와 행위기대라는 맥락에서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적 발현에서 발견하려는 사이버네틱스 원리의 도입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기능분화사회의 도래는 인간을 총체적으로 파악가능하다는 주장과 자기 자신과 다른 모든 것들의 근원이 된다는 주체개념의 수용을 어렵게 한다. 본 논문은 사회구조변동과 맞물리는 의미론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인간 및 주체의 개념이 전통사회가 기대하고 있었던 항구적이고 무시간적인 존재론의 틀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다는 루만의 이론을 소개하는데 목표를 둔다. Die Hauptrichtung dieser kurzen Abhandlung folgt wesentlich der Menschen-und Subjektauffassung des deutschen Soziologen Niklas Luhmann. Der Systemtheoretiker tendiert eher dazu Menschen aus der Gesellschaft zu exkommunizieren, als sie noch als grundlegende Elemente fur den Gesellschaftsaufbau anzuerkennen, wie es die traditionelle Soziologie tut. Der Grund dafur, dass Luhmann sich von den Menschen im Rahmen des aktuellen soziologischen Forschungshorizontes abwendet, und an ihrer Stelle Kommunikationen als gesellschaftliche Bestandteile annimmt, liegt in seiner Zeitdiagnose, das heißt: Der Ontologie-basierte Begriff des Subjekts, nach dem es sich selbst und allen anderen Dingen zugrundeliegt, kann nicht mehr erkaren, wie sich die moderne Gesellschaft in Richtung auf eine funktional differenzierte Evolution konstituiert. Hierfur werden zwei relevante Bezugspunkte exemplarisch dargestellt. Einerseits, die spezifische Ausdifferenzierung der Wissenschaftssysteme, die unablassige Auflose-und Rekombinationsmoglichkeiten bezuglich der Forschungsgegenstande, stimulieren. Andererseits, das Phanomen der kybernetischen Operationen in der Gesellschaft, in der die Analyse der sozialen Ereignisse weniger von menschlichen Handlungen oder Verhaltenserwartungen als von kommunikativ emergenten Sinnproduktionen abhangt. Diese Beobachtungen besagen schließlich, dass man mit dem Begriff vom subjektiv handelnden Menschen die Gesellschaft nur wenig durchschauen kann, in dem Sinne, dass die alteuropaisch gebrauchlichen Begriffe mit der Steigerung der sozialen Komplexitat nicht kompatibel sind.

      • KCI등재

        야스퍼스와 쿠르티우스의 괴테 논쟁 - 독일의 재건과 전후 극복의 관점에서

        서송석 ( Suh Songsuk ) 한국브레히트학회 2021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44

        본 논문은 1947년 야스퍼스의 괴테상 수상 연셜 “우리의 미래와 괴테” 해석을 두고 벌어진 첨예한 논쟁 사건을 다룬다. 전범국가로서 독일의 책임 범위를 둘러싼 불협화음 및 재건 과정에서 파생된 사회적 혼란스러움이 여전한 가운데, 괴테 탄생 200년이 되는 1949년에 언론에서 갑작스럽게 촉발된 야스퍼스와 쿠르티우스의 괴테 논쟁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당대 독일의 괴테 비판 내지는 괴테 수용이 어떠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이 논쟁의 과격한 성격은 괴테가 우리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가에 대한 두 학자의 상반된 이해를 반영하기에, 본 논문을 통해 괴테 해석으로 표출되는 야스퍼스와 쿠르티우스의 서로 다른 미래 전망과 독일의 자기반성에 대한 평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로만어학자인 쿠르티우스가 괴테 숭배를 노골화하면서까지 논쟁을 공격적으로 이끈 이유는, 독일과 유럽을 재건하는데 있어서 유럽 전통으로부터 근원적인 단절을 역설한 야스퍼스의 주장을 무력화하기 위해서이다. 야스퍼스는 독일이 그 누구도 예외일 수 없는 총체적 범죄행위로부터 정화되기 위해서는 괴테를 포함한 전통의 무조건적인 계승을 철폐해야 한다고 본 반면, 쿠르티우스는 야스퍼스가 자유와 학문, 교양과 기독교 문화가 일구어낸 찬란한 유럽 문명을 통째로 거부한다고 비판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쟁은 시간을 초월하는 보편주의의 가치가 독일의 부활을 위한 핵심 요소라고 믿는 쿠르티우스의 신념과 전통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새로운 차원의 비판적인 괴테 수용을 설파하고자 한 야스퍼스 철학 사이의 날선 대립이 현재화된 하나의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Diese Studie behandelt eine heftige Debatte über Goethe, deren Anlass ein von dem deutschen Romanisten Ernst Robert Curtius im Goethe-Jahr 1949 in der Wochenzeitung Die Zeit veröffentlichter Beitrag unter dem Titel “Goethe oder Jaspers?” war. Dabei knüpfte sich die Kontroverse vor allem an seine radikal kritische Interpretation von Karl Jaspers’ Rede “Unsere Zukunft und Goethe” insbesondere aber an die aggressive Rhetorik gegen Jaspers. Dabei geht es um die gengensätzliche Weltauffassung zwischen Curtius und Jaspers, die durch die unterschiedliche Sicht auf Goethe zusätzlich radikalisiert wird. Vor diesem Hintergrund liegt das Hauptinteresse dieser Arbeit darin, die unterschiedlichen Ansätze von Jaspers und Curtius hinsichtlich des Wiederaufbaus Deutschlands und der kollektiven Schuldfrage nach dem Zweiten Weltkrieganhand ihrer Goethe-Rezeption aufzuzeigen und zu analysieren. Jaspers beharrt in diesem Zusammenhang auf einer totalen und ausnahmslosen Abkehr von der europäischen Tradition, während es für Curtius wesentlich ist, das europäische kulturelle Erbe zu erhalten und wieder zu beleben. So erscheint Goethe entweder als Gegenstand der Innovation oder als Bewahrer europäischer Traditionen und Werte.

      • KCI등재

        야스퍼스와 토마스 만의 괴테 인식 - 시대진단과 세계이해라는 인식지평의 변화

        서송석 ( Suh Songsuk ) 한국브레히트학회 202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43

        본 논문은 20세기 초반 나치의 부상과 맞물린 극단적 민족주의의 기승과 몰락,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의 패망과 국가 재건에 이르기까지 독일인들의 실존을 위협하는 일련의 정치사회적 사건들을 독일 안팎에서 몸소 체험한 독일 지성사의 대표자 토마스 만과 카를 야스퍼스가 시대진단과 위기극복의 관점에서 어떻게 괴테를 이해하고 수용했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목표를 둔다. 만과 야스퍼스는 패배감과 상실감으로 무기력해진 상태에 젖은 독일인들에게 독일 고전주의의 상징이자 교양시민계급의 모범이라고 할 수 있는 괴테를 소환함으로써 새로운 삶의 노정을 시작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만과 야스퍼스는 독일인들 스스로가 새로운 역사건설을 위한 내적 각성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도록 괴테의 인생과 작품, 세계관, 사회국가적 사건들에 대한 통찰을 재해석하지만, 그 방향성이 서로 일치하지는 않는다. 야스퍼스는 괴테를 흠모하고 존경하는 태도와는 별개로, 맹목적인 괴테 추종은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오히려 그의 한계를 일깨움으로써 괴테에 대한 새로운 적응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반면에 토마스 만은, 새로운 정치 질서에 적응해야 하는 동포들에게 삶의 귀족주의를 표방하는 괴테의 비정치적인 세계시민성을 앞세운다. 두 지성인의 냉철한 사고를 통해서 괴테는 독일정신의 이상을 실현시킨 경탄의 대상임과 동시에 독일의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여는데 있어서 여전히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위대한 독일인이자 유럽인, 그리고 세계시민으로 각인된다. Diese Studie behandelt die Erkenntnisse über Johann Wolfgang von Goethe in Vorträgen von Karl Jaspers und Thomas Mann, die selbst zu Beginn des 20. Jahrhunderts unter einer Reihe politischer und gesellschaftlicher Katastrophen gelitten haben, sowie unter der Brutalität der nationalsozialistischen Politik und der fatalen Zerstörung ihres Heimatlandes. Das Hauptinteresse dieser Untersuchung liegt darin, der Frage nachzugehen, wie die beiden großen Denker im Hinblick auf die zeitgenössische Probleme und deren Überwindung Goethes Leben und Werke, seine Weltanschaung verstanden und akzeptiert haben. Goethe, der größte Mensch im Bereich deutschen Kultur, soll nach wie vor nicht nur als ein symbolisches Vorbild der deutschen humanistischen Klassik, sondern auch als ein Vertreter des traditionellen Bildungsbürgertums gelten. Aber es handelt sich nunmehr nicht mehr um die Verteidigung eines Goethe-Kultes, denn “es darf keine Rechtfertigung durch Berufung auf Goethe geben”(Jaspers 1984, 300) Vielmehr ist es notwendig, sich um eine neuartige zeitgemäße Aneignung von Goethe zu bemühen. Daher plädiert Jaspers für “eine Revolution der Goethe-Aneignung”(Jaspers 1984, 301). Und Thomas Mann weist auf die Nachfolge Goethes hin, nicht im Sinne des deutschen Provinzlertums(Vgl. Mann 1974, 757), sondern im Sinne des kosmopolitschen Europäertums.

      • KCI등재

        예술 및 문학사회학의 지평 확대를 위한 새로운 모색 -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에 비친 예술과 문학개념을 토대로

        서송석 ( Suh Song-suk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1

        예술과 사회, 또는 문학과 사회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예술 및 문학사회학은 한편으로는 예술, 문학이 사회적 현상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로부터 독립된 자율성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방향과 연구대상의 외연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예술, 문학과 사회의 관련맥락을 하나의 대칭구도 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던 기존의 방법론은 현대사회에서 예술의 위치, 특히 현대예술의 개념과 그 분화양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제한적인 시각만을 허용할 뿐이다. 예술 그 자체를 하나의 사회로서, 독자적인 자기생산체계로 간주하는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은 예술의 존재론적 본질적 특성을 규범화하기보다는 다른 체계와 구별되는 예술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다. 루만이 말한 바, 예술의 기능은 우선적으로 예술의 구성단위, 곧 예술체계를 구성하는 매체와 형식, 그리고 이 두 개념의 구별 메커니즘의 이해에 기반을 둔다. 예술체계에서는 다른 사회체계에 비해 훨씬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매체와 형식의 결속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예술에 대한 관찰 및 그 관찰을 통한 구별과 지칭 역시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론적 통찰과 연결된다. 이렇게 결합과 해체를 거듭하는 매체와 형식의 결속놀이는 인간의 의식을 유희적으로 자극하는 하나의 가상현실을 창조하며, 이러한 작동은 결과적으로 세계우연성의 생산으로 요약되는 예술체계의 구별된 기능을 특화시킨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 및 문학사회학은 모방, 반영 또는 경계 짓기와 경계 허물기 같은 전래의 규준을 넘어서는 새로운 연구영역 확충의 길을 모색해 볼 수 있게 된다. Diese Studie richtet sich auf die neuen Möglichkeiten der Kunst-, und Literatursoziologie aufgrund der Luhmanns Systemtheorie, die behauptet, dass Kunstsystem als ein Kommunikationssystem im Lauf der gesellschaftlichen Evolution eine funktionsrelevant unersetzbare Spezifikation in Anspruch nimmt. Die klassische, allerdings nachhaltig wirkende kunstsoziologische Vorstellung ist problematisch, weil sie noch auf den gegenseitigen Verhältnisse der Kunst zu Gesellschaft beharrt, aber diese methodologische Ansatzweise stellt die Stellwerte der funktional differenzierten modernen Kunst kaum in Aussicht, fur deren Begriffsumstellung und Differenzierungsaspekte sich die Systyemtheorie auch interessiert. Luhmann zufolge geht es nicht mehr um die Schönheit der Kunst, sondern darum, den in Kunstwerken operierenden Beobachtungsmechanismus in Erkenntnis zu bringen. Beobachtungen machen es möglich, dass man auf die Beziehungslogik zwischen Unterscheidung und Bezeichnen achtet, sodass man durch ‘die rekursive Vernetzung in einem Vorher und Nachher weiterer Beobachtungen’ (Luhmann 1995, 102) wieder unterscheidende Bezeichnungen, die allerdings auf emergente Sinnproduktion der Kunstwerke bezogen werden, dupllziert. Unter Berucksichtigung der systemtheoretischen Kunstauffassung liegt die Funktion der Kunst in der Herstellung der Weltkontingenz, in dem Sinne, dass Kunst zur Konstruktion eigenen imaginären Realität beiträgt, anders gesagt, zur tiefen Erkenntnis der Unterscheidung zwischen realen Realität und fiktiven Realität. Im neuartigen Bereich der Kunst-, und Literatursoziologie kann das menschliche Bewusstsein somit das Wiedererkennen der mehrdimensional erfahrbaren Welt erhalten.

      • KCI등재

        포스트휴먼 담론과 인간 관찰의 전환적 태도

        서송석(Suh Songs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5

        This thesis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posthuma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posthuman discourse without recourse to the concept of humanism that was built on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liberal arts. Posthumans can be classified as a new type of human species on the one hand and discourse itself on the other.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cluding augmented technology, has enabled the emergence of new humanoids such as cyborgs, and this is expected to help overcome the weak physicality of humans and even endow humans with immortality. On the other hand, the formidable power resulting from technological advances, in collusion with capital and political power, gives rise to darker negative prospects for future humans. Posthuman discourse, especially critical posthuman discourse, exposes the tyranny of anthropocentrism and speciesism implicit in humanism and proposes a new way of observing human beings independent of humanism. Finally, this study regards posthuman discourse as a task that is given to humans, since, in order to survive they need to ask and themselves provide the answers with the help of posthuman discourse, and for this purpose, an unbiased observational posture and critical reflection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