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레트 적재효율을 고려한 농산물 포장상자 통합규격에 관한 연구

        서교,이정재,서병륜,Suh, Kyo,Lee, Jeong-Jae,Suh, Byong-Yoon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7 No.1

        Despite the variety in sizes and shapes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unified standardization of packing has been a long time necessity. In this study the stacking efficiency of packing standards for each box using packing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on the standard pallet is evaluated. As a result of simulation the unified packing standard for agricultural products is suggested by 550$\times$366 mm.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unification of the standards can help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reusable packages and to improve efficiency of agricultural logistics.

      • KCI등재

        일관수송용 T-11형 및 T-12형 파렛트에 적합한 연안용 화물컨테이너(8 & 12 피트) 공용 표준치수 산정에 관한 연구

        김덕열 ( Deokyeol Kim ),서병륜 ( Byongyoon Suh ),송상화 ( Sanghwa Song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7 로지스틱스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일관수송용 파렛트(T-11, T-12 형)에 적합한 연안용 화물컨테이너(8, 12 피트)의 공용 배수 치수를 개발하는 것이며, 물류 모듈체계의 하나인 파렛트 최대 평면치수 1,140 x 1,140mm와 1,240 x 1,040mm를 기준으로 배가법과 승산법을 적용하여 컨테이너의 공용 배수치수를 선정하였다. 첫째, 화물컨테이너의 구조는 측면도어 개방형으로 최소 안쪽 너비는 2,280mm로 고정하고 길이는 CAPE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둘째, 최대 평면 치수를 8피트에 4개, 12피트에 6개가 적재되도록 2 내지 3배로 배가한 다음에 상 · 하역 작업의 여유치수를 추가하여 새로운 1차적 치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1차로 도출한 치수 중에서 가장 큰 치수를 공용 배수 치수로 선정하고, 컨테이너에 파렛트 4개 또는 6개의 적재방법과 효율을 분석하여 최적화 여부를 시뮬레이션하고 ISO 및 KS 규격에 부합되는 가를 최종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 종류 파렛트에 대한 컨테이너 공용 배수치수는 최소 내부 너비가 2,280mm, 내부 길이는 8피트가 2,580mm, 12피가 3,580mm로 선정되었다. 공용 배수치수는 파렛트 적재효율이 8피트의 경우 T-11형이 83.9%, T-12형이 83.2%, 혼적 시에 83.5%, 평균 적재효율은 83.53%이며, 12피트는 T-11형이 88.9%, T-12형이 88.2%, 혼적하는 경우 88.4%, 평균 적재효율은 88.5%이다. 결론적으로 공용 배수치수는 파렛트 적재효율이 모두 83% 이상으로 되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평균 적재효율은 12피트가 8피트 보다 약 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mon size for coastal freight containers (8, 12 feet) suitable for through transit pallets (T-11, T-12 type). The common doubling size of the container were selected by applying doubling method and multiplication method based on the plan view size(pvs) of 1,140 x 1,140 mm and 1,240 x 1,040 mm, which is one of the logistics module systems. First, the structure of the freight container is the side door open type, the minimum inside width size is fixed to 2,280 mm, and the inside length size were adjusted by CAPE simulation program. Second, a new primary dimension was derived by doubling the plan view size of the four pallets to 8 feet, six pallets to 12 feet, and then adding the clearance of the material handling loading operations. Third, the common doubling size was selected the largest size among the first derived sizes, simulated the optimization by analyzing the loading method and efficiency of four or six pallets in the container, and finally confirmed whether it compliance with the ISO and KS standards. Therefore, the inside width of both containers is 2,280mm, the inside length size of 8 feet is 2,530mm and 12 feet container is 3,580mm. The load efficiency of 8 feet container, T-11 type is 83.9% and T-12 type is 83.2%, mixed with T-11 and T-12 type is 83.5 %, average is 83.53%, and in case of 12 feet, the load efficiency of T-11 type is 89.9%, T-12 type is 88.2%, mixed with T-11 and T-12 type is 88.4% average load efficiency is 88.5%.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 common doubling sizes are comparatively excellent because the loading efficiency of the pallet is over 83%, and the average loading efficiency of 12 feet container is more 5% higher than 8 feet.

      • KCI등재

        2018년도 국내 T-11형 및 T-12형 파렛트 생산/사용 실태조사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

        김덕열(Kim, Deok-Yeol),서병륜(Suh, Byong-Yoon),윤의식(Yoon, Eui Sik),송상화(Song, Sang-Hwa)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2

        파렛트는 아주 단순한 운반도구 또는 적재 깔판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화물을 싣고 달리는 운반용 도구로서 물류의 흐름과 기 능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 매개체 역할을 한다. 하역작업의 생산성과 화물의 운반 활성도를 높이려면 표준파렛트를 사용하여 화물의 적재단위를 대형화하고 기계화 및 자동화를 추진해야 하며, 표준화된 유닛로드시스템을 통하여 공급망의 전체 최적화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 현장에 파렛트의 생산과 사용부문에 대한 실태조사와 연구가 가장 우선적으로 선행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에서 수행하였던 파렛트 및 컨테이너의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계 열 분석을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파렛트 표준규격은 2013년부터 T-11형과 T-12형 두 종류를 일관수송용 표준규격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그동안 조사결과에 따르면 파렛트 규격(치수)에 따른 생산과 사용의 비중은 T-11형이 약 40%, T-12형은 약 13∼14% 수준 으로 집계되었으며, 파렛트 재질에 따른 생산과 사용의 비중은 플라스틱이 약 50%, 목재 재질이 약 40%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The pallet can be perceived as a very simple transport tool or a loading board, but it serves as an important coupling medium for integrating logistics flow and function as a transport tool that is shipping and loading freight.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unloading operation and the transport activity index cargo, the loading unit of the cargo shall be large, mechanized and automated using a standards pallet, and the overall optimization of the supply chain shall be established through the unit road system using standard pallets. To this end, time sequential analysis of survey and research on the production and usage of pallets at industrial sites should be carried out first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atus surveys which is the pallets and containers conducted by the Korea Pallet Container Association for the most recently survey in 2018. The Korean standard for pallet has adopted two types of T-11 and T-12 as standard standards for through transit pallets since 2013.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proportion of production and usage according to the pallet standard (dimensions) is roughly 40 percent for T-11 type and 13 to 14 percent for T-12 type, and the proportion of production and usage by the pallet material is roughly 50 percent for plastics and 40 percent for wood materials.

      • LCA기법을 이용한 플라스틱 파렛트 풀링시스템에 대한 환경성 평가

        이영설 ( Young-seol Lee ),박광호 ( Kwang-ho Park ),위대형 ( Dae-hyeong Wie ),서병륜 ( Byong-yoon Suh ),김덕열 ( Deok-yeol Kim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20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21 No.1

        플라스틱 파렛트는 물류산업현장에서 한 번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 파렛트를 다시 회수하고 풀링시스템을 통해 반복 사용하는 리터너블 물류 운반 도구로 Closed-loop 순환 시스템을 통해 신품의 생산을 최소화하는 자원순환형 제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과정평가(LCA) 기법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파렛트 풀링시스템의 파렛트 반복·재사용에 따른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1회 사용 대비 풀링시스템의 환경적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시스템 경계는 원료취득단계, 제조단계, 사용(유통)단계, 세척단계, 폐기 및 재활용단계로 설정하였으며, 사용(유통)단계는 생산공장, 사용자, 도착지, 회수센터, 세척센터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환경적 개선효과 분석결과, 플라스틱 파렛트 풀링시스템은 1회 사용 대비 6대 영향범주 기준 평균 73.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범주 중 자원고갈 영향범주가 91.5% 감소하여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지구온난화에 대한 환경적 개선효과는 72.8%로 나타났다. The plastic pallet is a resource-circulating product that minimizes the production of new products through a closed-loop circulation system as a returnable logistics transport tool that recovers plastic pallets that have been used once in the logistics industry and uses them repeatedly through a pooling system.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repetition and reuse of plastic pallet evaluated using LCA.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compare with single used plastic pallet. The system boundary was set to raw material extraction stage, product manufacturing stage, use (distribution) stage, cleaning stage, and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And use (distribution) stage was analyzed by subdividing into production plants, users, destinations, collection centers, and washing cen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s, the plastic pallet pooling system showed an average decrease of 73.3% based on the six impact categories compared to single use, and the impact category of resource depletion among the impact categories decreased by 91.5%, showing the greatest effect, and 72.8%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 on global war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