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공간정보사업의 통합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개선방안

        서동조(Seo, Dong Jo),주용진(Joo, Yong Jin),김은형(Kim, Eun Hy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최근의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 및 집행실적 평가체계는 개별 사업의 평가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사업간의 유기적 연결, 성과 공유 및 확산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공간정보사업의 연차보고서와 총괄 및 조정사업보고서 등의 수행결과와 연차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국가공간정보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평가 체계에 대한 현황과 통합관리 체계개선에 대한 시사점 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평가체계 개선방안은 향후 공간정보사업의 통합관리 사업에 대한 집중관리와 관리 운영체계의 개선 및 사업성과 공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is executed based on the implementation plan and the resultative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n individual project. The evaluation system, however, is limited to providing a myopic perspective for the integrative project managemen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synthesis of the performances to identify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in terms of their commonality, collaboration, and sharing of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d evaluation strategies for the integrative management of the national projects. To fulfill the purpose, annual reports of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and overall management reports were analyzed. In addi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project managers to derive the current usabi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o take their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uggestions for the existing problems, the evalua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Hopefully, in the futu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integrative management and vitalizing the sharing of project results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국토공간자료의 제공을 위한 공간정보시스템의 설계전략

        서동조(Seo Dong J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현재 우리나라 국토공간자료의 이용은 자료에 대한 낮은 접근성, 분석방법의 일관성 유지의 곤란, 결과의 미공유에 따른 중복작업, 자료의 분산에 따른 즉각적인 의사결정의 지연 등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국토모니터링 정보를 통합,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구축된 국토모니터링과 관련된 공간정보시스템의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을 정리하여 국토모니터링을 위한 통합된 공간정보시스템이 갖추어야할 내용과 설계전략을 제시하였다.

      • 국토모니터링 자료제공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타입 정의

        서동조(Seo Dong J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0

        우리나라의 국토모니터링 자료는 복잡한 유통체계와 과정을 거쳐 공급되기 때문에 중복과 일관성 유지가 곤란하고, 자료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모니터링 자료제공을 위한 포털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포털시스템의 사용자 접근성과 사용의 용이성을 고려한 프로토타입을 정의하였다. 가상화에 의한 자료의 통합, 주문형 자료 생산, 표준화의 적용, 자료의 접근성에 관한 속성 분류 등에 내한 내용을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국토모니터링 포털시스템은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 혹은 단순한 뷰어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표준에 의해 공유되는 맵 서버, 서비스 저장소, 자료 서버, 카다로그 서비스, 웹 뷰어, GIS 소프트웨어 시스템 등의 내용을 갖도록 하였다.

      • 기본지리정보로서의 공간통계정보의 표준화 방안

        서동조(Seo dong-j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7 No.1

        해외 주요국의 공간통계정보 현황에 대한 내용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공간통계정보체계를 어떻게 추진해야하는 지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 또한 어떠한 관점에서 표준화의 법제도를 이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통계정보가 어떠한 조직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지, 기본지리정보로서의 공간통계정보가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고 공간통계정보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From the comparison of the current systems for the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in some countries, USA, UK, Canada, and Japan, it was reviewed how to manage and control the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And it was discussed on the types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res and the law systems, and the types of the applications to manage the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Finally, it was suggested to the strategi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as the NGIS framework data.

      • KCI등재

        사이버대학의 NCS 기반 공간정보전공 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동조(Seo, Dong Jo),이성균(Lee, Sung K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3

        평생교육에 기반한 사이버 대학에서의 교육은 산업 현장과 연계된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급격한 사회 및 기술 변화에 따라 새로운 융·복합 교육과정과 같은 새로운 교육체제가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간정보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능력단위로 제시되고 있는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공간정보산업통계조사를 통해 사회적 수요 및 산업체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직무능력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사이버대학의 공간정보전공에 적합한 타일러의 개발모형에 의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Education in cyber universities based on lifelong education needs to improve learners’ job performance through customized curriculum linked to industrial fields. In recent years, a new educational system such as a new convergence and complex curriculum has been introduced in line with rapid soc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In this situation, the curriculum presented as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competency unit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was analyzed and the requirements of social demand and industr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tatistical survey. In this process, a new curriculum was proposed based on the Tyler’s development model. And it would be suitable for majoring in spatial information at cyber universities, depending on the need to develop the curriculum to strengthen job skills.

      • KCI등재

        공간정보 분야의 원격대학 교육과정 개발

        서동조(Dong-Jo Seo),이성균(Sung-Ky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정부는 ‘국가GIS기본계획’과 관련 법률을 통하여 공간정보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 교육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성인에 대한 재교육 기관으로서, 실용도 높은 온라인 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원격대학을 통해서는 공간정보의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원격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의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은 전문성에 따라 기초, 응용, 심화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개념적 기초 이론을 토대로 시스템 개발 및 구축, 주제도 제작 및 공간자료 구축, 분석 도구의 실습 및 활용 등 세 가지 트랙으로 분류하여 제시되었다. 기초 개념에서부터 최신의 유용한 신기술을 반영하였으며, 모듈화된 구조로 되어 있어 교육 수요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By 'National GIS Plan', various strategies and program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fields of geospatial information. The e-learning can make it possible to develop and manage the adaptable curriculums,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practical exercises, and to establish the cooperative systems with the industries. In this study, curriculums of the geospatial fields were developed and suggested for the cyber universities. These curriculums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fundamentals, applications, and advances, and into three tracks, system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mapping and geospatial data construction, and practice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current demands in geospatial industries. Owing to be the modularized structure, proposed curriculums would be easily adapted and updated to the change of the new demands.

      • KCI등재

        비점오염원 수문유출모형에 적용 가능한 위성영상의 토지피복 분류항목 설정

        서동조(Dong-Jo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1

        비점오염원의 유출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토지피복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위성영상자료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문 유출모형에 사용되는 인자와 부합되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이 되지 못한 채 단순한 분류항목으로만 사용되거나, 육안 해석용으로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위성영상으로부터 수문유출 모형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여, 위성영상을 통한 효과적인 비점오염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수문유출 모형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지피복 항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점오염원 유출모델의 주요 인자,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토지피복 항목, 그리고 국내외 각 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지피복 분류체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비점오염원에 의한 원단위, 유출곡선지수의 토지피복 계수, 토양유실량 예측공식의 식생인자, Manning의 조도계수 등의 인자들이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정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위성영상으로부터 수문유출 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결과가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절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수문유출모형 관련 기관의 전문가로부터 토지피복 분류항목의 적정성에 대한 자문 과정을 거쳐 결정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습지로 비점오염원 관리체계가 필요한 우포늪의 토평천 유역을 대상지로 하였다.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적용할 위성영상으로는 분광 해상도가 높은 Landsat ETM Plus 영상과 공간 해상도가 높은 SPOT-5 영상을 사용하였다. To measure the amou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some efforts are tried to utilize satellite imagery. But, as the factors for water models do not relate with the landcover categories for satellite imagery, satellite imagery are adapted to roughly classified thematic map or used only for the image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andcover categories of satellite imagery to relate with the water models. To establish the categories of the landcover for the water models, it was investigated to get main factors of water flow models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to review the existing study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is result, it was convinced that the basic unit on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landcover coefficients of SCS Curve Number, the crop factor of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s are the useful parameters to extract information from the satellite imagery. After the setup the categories for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it was finally defined from the the consultation of the water model specialist. Woopo wetland watershed was selected to the study area because it is a representative wetland in Korea and needs the management system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There were used Landsat ETM Plus and SPOT-5 satellite imagery to assess the result of the image clas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