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경도지적장애인을 위한 연구 동향 고찰

        서다희(Da Hee Seo),엄윤지(Yun ji Eom),김화수(Hwa Soo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hardnes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national thesis and journal analysis associated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2015 from 2000. Methods: we analyzed the thesis 126 and journal 89 associated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Studi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since 2010, showed a rapid increase since 2014. Second, In research method, Although Studies carried out various research methods experimental study had the largest proportion of 170(79%).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y involved a wide range of target from preschool children to adults. And the highest rate had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Fourth,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presentation program)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in the education and treatment programs of 140(65%). Fifth, the dependent variables(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f the study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language area of 88. And emotional area had 42; social area had 40. Sixth, the sub-items of the dependent variables(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language area is divided into 29 sub-items. Conclusions: Through this finding a more sustainable research is needed for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uggest that this is necessary to carry out more various ways in addition to experimental research studies. In particular, we will need help to lead a appropriate school life through a study of preschool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국내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과 관련된 연구 동향 고찰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김화수 ( Kim Wha-soo ),이숙 ( Lee Suk ),서다희 ( Seo Da-hee ),엄윤지 ( Eom Yun-j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경도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에서 언어특성과 관련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분석을 통해서 언어특성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 및 그에 따른 중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이 연구는 경도지적장애인과 관련되는 학위논문 68편과 학술지 게재 논문 20편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과 관련되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는 2009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013년 이후 급속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방법은 실험연구가 80편(90%)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의 실험대상자는 취학전 아동부터 성인까지 폭넓은 대상이 참여하였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 독립변인은 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이 76편(86%)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연구의 종속변인은 의미와 관련된 연구가 34편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여섯째,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은 의미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34편으로 가장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경도지적장애인의 96개 하위 언어 특성에 대해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한 번에 언어 특성을 비교한 하위 항목이 65개이며, 2회 이상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31개 항목이다. 그 중에서 의미영역(15개), 구문·형태(6), 화용(5)의 순으로 효과성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 및 중재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도지적장애인을 위한 연구가 실험연구뿐 아니라 더욱 다양한 연구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언어에 제한을 보이는 특성연구에 비해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의 수가 상대적으로 너무 적기 때문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경도지적장애인들이 원활한 학교생활의 영위뿐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기 위한 기능적 제한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language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Korean theses and journals related to language characteristics among the studies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2000 to 2016, will be. In this study, 68 theses and 20 journals related to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ses and journals related to the language of mildly handicapped people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09 and have shown a rapid increase since 2013. Second, 80 researches (90%) were the most studied method.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y ranged from pre-school children to adults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76% (86%) of education and treatment programs were occupied by study independent variables (suggested programs). Fifth, the subordinate variable of the study (program effectiveness) was the highest rate of 34 articles related to semantic domain. Sixth, the subordinate variables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the highest in the semantic domain (34). Seventh,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the most intervention programs in 15 (48%) of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various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o the experimental research, by confirming the various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of the mental disabled person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chool life through the study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before the school, and to help the linguistically in the transition period of important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