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민속학사 : 일본 민속학의 발자취와 전망 -야나기타(柳田) 민속학과의 관계로부터-

        사노겐지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6 No.-

        야나기타 구니오는 민속학이란 일본인과 일본문화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과학적으로 묻는 것이며, 인간의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경세제민의 학문이라고 했다. 1930년 대에 야나기타 민속학은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일본 민속학의 전개는 야나기타 구니오의 생애, 학문에 대한 자세와 대부분 겹치는데, 야나기타 민속학과 전후 전개해 온 일본 민속학은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민속학의 활성화와 재생의 길은 현실의 사회문제를 직시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만 한다. 근대사회의 민속학적 관심의 시초는 에도시대의 국학에 있다. 국학이란 외래사상에 영향 받지 않은 일본 고래의 문화로, 일본 고전이나 고대 역사 속에서 발견해 가고자한 학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유풍과 흔적이 시골 생활 속에 남아 있다는 것을 국학의 대성자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지적했다. 한편 쓰보이 쇼고로는 진화주의적 인류학의 입장에서 풍속과 관습에는 전시대의 잔존이 인정되어 각지에서 토속 조사를 실시해 그결과를 비교하면, 풍속과 관습의 기원이나 변천이 증명된다고 주장했다. 일본 민속학은 에도시대 국학의 흐름을 잇기는 하였으나, 메이지 전기 영국 인류학을 소개한 쓰보이 쇼고로의 토속학 등의 영향도 받은 것이다. 근대 과학으로서의 일본 민속학의 탄생기는 1910년부터 1935년까지이다. 일본사회는 메이지유신에 의해 근대화가 급격하게 진행 되었으나 1920~1930년대에 걸쳐 전통적인 생활문화를 재평가하여 근대화의 의미를 상대화한 운동이 활발하게 행해졌다. 각 분야의 활동 목적이나 성격은 다르지만, 근대화 속에서 망각되고 낮은 평가밖에 받지 못했던 농산어촌의 전통적 생활문화에 존재의미가 있는 것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민속’이라는 말에는 근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재평가 입장의 표명과 그 생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운동론으로서의 뉘앙스가 있었다. 전후 민속학은 야나기타 민속학과 결별해 독립과학으로서 일본 민속학의 정립화로 특징지을 수 있지만, 오늘날까지 일본 민속학은 야나기타 민속학의 틀을 초극하는 데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야나기타의 경세제민의 학문으로서의 민속학을 계승하는 한편, 일본 민속학의 수립에 진력한 미야타 노보루가 사망한 2000년까지를 민속학의 성장기라고 할 수 있다. 야나기타 사후 일본 민속학의 담당자로서는 대학과 지방 민속학회의 활동이 있고, 고도 경제성장에 따른 민속쇠멸에 대한 문화재적 관심이 민속지 작성의 기운을 고양했다. 메이지 시대를 산 야나기타가 피했던 테마라고 할 수 있는 ‘여성·성·차별’이라는 문제를 미야타는 민속학적 시점에서의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리고 민속학은 그 종합성에 의의가 있다고 한 논의로, 현재의 민속학은 ‘역사민속학·지역민속학·비교민속학·종교민속학·신도민속학·불교민속학·환경민속학·도시민속학·여성민속학·관광민속학·응용민속학’ 등으로 그 모습을 갖춘 민속학이 많아지고 있고, 이러한 민속학의 세분화를 현대 민속학의 경향이나 동향의 하나로 지적할 수 있다. 야나기타의 민속학은 일국민속학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향토’의 범위인식의 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회전축에서부터 향토의 범위는 넓어질 수 있으며, 야나기타가 말한 세계 민속학도 정보화 사회인 오늘날에는 실현의 가능성에 더 가까워졌다. 종래 사람의 구별인 ‘인종’·‘민족’·‘국민’·‘계급’을 넘어서 생활문화 수준에서의 공감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공속의식을 가진 ‘세계 상민’이라는 개념이 오늘날의 세계에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비교민속연구에서 세계상민학(世界常民學)으로 -복(福田)사상과 세계평화-

        사노겐지(佐野賢治),이석구(번역자) 비교민속학회 2024 비교민속학 Vol.79 No.-

        민속학은 가정, 마을, 국가, 민족 등 사회와 지역을 구성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상민常民, 서민의 일상생활을 듣고 쓰는 것을 통해 민속지로 문자화, 자료화하고 입론해왔다. 일찍이 야나기타 구니오(柳田國男)는 그 대응으로 향토 연구,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学), 비교민속학, 세계민속학의 전개를 구상했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이 인식하는 생활세계의 범위는 스마트폰이나 PC를 비롯한 정보기기의 발달로 전지구적 규모로 확대되었으며 그에 더해 순식간에 알 수도 있게 되었다. 바꾸어 말하자면 개인과 세계의 관계가 직접화. 가시화된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다문화 공생사회의 전제로서 비교민속연구, 비교민속학의 추진에 의해 각각의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 공동체가 먼저 자신의 향토를 알고, 나아가 나라나 민족을 넘어 생활문화 차원에서 상호 이해하며, 고립이 아닌 공감과 연대의 배려하는 공동체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세계상민학이란, 민속의 사정과 현상을 가리키는 세계민속학은 아니고 국적, 시민권에 관계하는 세계시민과도 다르며 각 지역의 향토 문화를 담당하고 있는 실제의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다. 세계상민학의 목적은 인류에게 최대의 불행과 전쟁을 억제하고 세계 평화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현대 사회의 분쟁과 전쟁 요인은 표면적으로 정치·경제적 갈등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내면적인 민족· 종교 문제, 즉 문화적 가치관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증오를 낳는다. 복전福田 사상은 개인화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정보가 순식간에 지역을 초월하여 전달되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 불교의 테두리를 넘어 사람들을 세계평화로 이끄는, 배제가 아닌 포용의 협동자조 사상으로서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의사 나카무라 데쓰(中村哲)의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실천 사례를 소개한다. Folklore studies target groups that constitute society and regions, such as families, villages, states, and ethnic groups, by listening to and documenting the everyday lives of the common folk and commoners, turning these observations into folkloristic writings and data for analysis. Early on, Yanagita Kunio proposed the development of local studies, folklore studies of a nation, comparative folklore, and world folklore in response to these efforts. However, todays perception of the living world has expanded to a global scal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devices like smartphones and PCs, making it possible to quickly gain knowledge. In other words, we have entered an era of globalization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world has become direct and visible. As a premise for a multicultural coexistence society, the promotion of comparative folklore research and studies necessitates that the residents living in each region first understand their locality and then go beyond their country or ethnicity to understand each other on the level of living culture, fostering a community consciousness that emphasizes empathy and solidarity, not isolation. World Common Folk Studies is not the same as World Folklore, which refers to the circumstances and phenomena of folklore, nor is it related to world citizenship concerning nationality or citizenship. Instead, it points to the actual people responsible for the local cultures of each region. The goal of World Common Folk Studies is to prevent the greatest misfortunes and wars to humanity and to realize world peace. The causes of modern societys conflicts and wars are not only superficial political and economic disputes but also underlying ethnic and religious issues, i.e., cultural value differences that generate deeply rooted hatred related to peoples everyday lives. The Fukuda philosophy, emphasizing inclusion and cooperative self-help beyond the confines of Buddhism, deserves renewed attention in todays society, where individualization is advancing, and information transcends regions instantly, leading people towards world peace. The practice of Dr. Tetsu Nakamura in Afghanistan is introduced as an ex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