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학계 고교를 위한 과학-예술융합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변자정 ( Byun Ja-jung ),홍후조 ( Hong Hoo-j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그동안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진학계 고등학교의 비예술전공자들의 보완적 예술교육에 관한 내용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활발한 융합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과학기술과 예술 간의 융합교육을 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시각에서 다루었다. 연구의 목적은 진학계 고교의 과학기술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학습에 대해 보완적인 예술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습자 집단에게 필요한 과학-예술융합교육의 목표, 내용과 방법, 교육과정 운영 기준을 제시하는 가교적인 교육과정기준 개발에 있었다. 연구자는 과학-예술융합 교육과정 기준 개발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학-예술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교육과정 내에서 융합교육에 대한 의미와 개념이 다양하고 폭넓게 자리 잡아야 한다. 둘째, 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융합의 대상이 되는 교과교육 간의 핵심, 보완 영역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융합교육을 위한 총론과 각론 간의 연계적이고 보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범교과적인 다양한 주제의 소총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진학계비예술전공자 집단에게도 보완적이고 연계적인 과학-예술융합교육의 수요가 있으며, 교육계는 이에 관해 교육과정적으로 대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교육과정기준 개발은 과학-예술의 융합이라는 독립적인 새로운 교과교육으로서 기준개발이 아닌 다양한 영역에서 범교과 학습이나 통합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준 개발이다. This study is about complementary arts education for non art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sufficiently, and it covered particularly science/technology arts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recently spotligh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standards that present the goals, contents, methods, and curriculum operation standards of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required by learner groups in need of complementary arts education for their learn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those major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academic high schools. From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science arts convergence curriculum standards, the researcher drew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the meanings and concepts of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settled diversely and widely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Second,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core and complementary domains of curricular education to be converged. Third, we need mini curriculum standards for various interdisciplinary themes that play articulating and complementary roles between generals and particulars for convergence education. Fourth, non art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are also in need of complementary and articulating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circle of education needs to respond to the need through the curriculum. Fifth, the curriculum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not for a new independent curricular education of science arts convergence but applicable for interdisciplinary learning or integrated programs in various domains.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서 연구의 특성과 과제

        홍미화 ( Hong Mi-hwa ),변자정 ( Byun Ja-jung ),윤요순 ( Yun Yo-sun ),차보은 ( Cha Bo-e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초등학교 교과서 관련 연구의 경향과 그 특성을 파악하여 초등 교과서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과서 관련 주요 논문과 보고서, 그리고 실제 교과서로 개발ㆍ적용되는 국어교과서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다음의 과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첫째, 초등 교과서 연구는 교과서 개발자나 교수자 중심의 당위적 활용과 인식 연구에서 벗어나 실수요자인 초등학생의 경험과 활용에 초점을 둔 교과서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 교과서 연구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교과서 내용 연구에서는 교과의 내용 선정과 비중에 대한 분석에서 벗어나 초등 교과서로서의 성격과 가치를 내용과 결합하는 연구, 초등 교과서 간의 내용 통합 가능성 연구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 교과서 구성 관련 연구에서는 초등교과서로서의 공통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반영한 교과별 교과서 구성 요소와 구성 체제 연구를 시도해야 한다. 넷째, 교과서 개발과 제도 관련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의 적용과 효과에 기반한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연구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어교과서 내용 관련 연구는 교육과정과의 연계성과 학교 적용과의 관계 속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의 국어교과서 인식과 활용 측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질적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여섯째, 디지털교과서나 매체 문식성 연구 등 미래의 교육 환경을 반영한 새로운 교과서 연구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elementary textbook research by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textbook research by looking into elementary textbook research and Korean textbook research.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xtbook research requires textbook research focusing on the experience and uti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actual users. Second, research on content of textbooks needs to be carried out to combine character and value as elementary textbooks, and to study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content among elementary textbook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hould be identified and specifically tried to reflect the textbook components and composition system. Fourth, textbook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research require long-term and practical research based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school sites. Fourth, research on the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should be conducted in an integrated manner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pplication, and qualitative studies need to be expand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use of Korean textbooks. Six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various textbook studies that reflect future educational changes, such as digital textbooks and media literacy research.

      • KCI등재

        학부모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백혜조 ( Hei Jo Baik ),민부자 ( Bu Ja Min ),변자정 ( Ja Jung Byun ),조호제 ( Ho Je Cho ),하화주 ( Hwa Ju Ha ),장소영 ( So Young Jang ),이혜정 ( Hye Jung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교육에서 학부모의 영향이 커짐에 따라, 전국적으로 150개 지역에서 4천여 개의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중복, 혼란, 낙차, 비약, 학교급 요구나 수요자 요구를 무시한 제공자 위주 등의 문제를 낳고 있어 일정한 기준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주목적은 교육부, 교육청, 교육지원청, 학교, 학부모교육지원센터 등에서 구체적인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학부모교육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데 바탕이 되는 학부모교육과정기준을 개발·제공하는데 있다. 학부모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주체는 연구진, 협의진, 현장의견진, 심의진이었고, 연구진이 협의진, 현장의견진의 의견을 들어 다듬은 학부모교육과정 기준은 초안, 시안, 심의안의 단계를 거쳐 심의진의 심의 후 최종안으로 확정되었다. 학부모교육과정기준은 크게 세 부분으로, 그 성격·목표·특성을 중심으로 한 기본토대(platforms),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바탕이 되는 내용의 구성체제 및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진 구성 틀(frameworks), 그리고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는데 필요한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한 실행지침(guidelines)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누가(연구진-협의진-현장의견진-심의진), 어떤 합리적이고 타당한 과정과 절차를 거쳐 무엇을(학부모교육과정기준의 초안-시안-심의안-최종안) 개발하였는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교육과정기준 개발 과정과 결과를 반성적으로 기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research for this report was conducted to establish curriculum standards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parents. This report addresses the entire process of “who” (R&D committee, consulting group, lay group, approval council) and “how” the curriculum standards should developed adequately (draft-proposal version-approval version), based on reflective notes. We presided over the principal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by educational researchers, a consulting group and a lay group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a curriculum standards approval council. The researchers gathered preliminary opinions from the consulting and lay groups. These standards were then compiled a written draft, which was then revised as a proposal version and finally as an approval version. The finalization, through deliberation and examination, of the approval version referred to the approval council concretized the fi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tudents` parents. The curriculum standards were composed of three designated parts: platforms for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ontent frameworks for achieving the stated purpos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carrying out the first two p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