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Lingual K-loop archwire를 이용한 발치공간 폐쇄시 초기응력 분포에 대한 3차원 광탄성학적 연구

        변보람,김성식,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5

        제1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설측교정치료시 lingual K-loop archwire로 전치부 후방견인을 시행한 경우 전치부 및 구치부에서 치조골에 발생하는 초기응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K-loop의 의 vertical lg 길이는 15mm로 하고 편측당 350gm의 힘으로 활성화시킨 후 상악궁 광탄성 모형의 응력동결을 시행하고 각 치아별로 절단하여 3차원 광탄성법으로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절치의 근심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으며 원심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압축응력을 보였다. 순면에서는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으며 설면에서는 치근측일수록 더 큰 압축응력을 보였다. 치근첨에서는 압축응력이 나타났다. 2. 측절치의 근심면에서는 치관측만 인장응력이 관찰되었고 원심면에서는 고른 압축응력을 보였다. 순면에서는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이 관찰되었고 설면에서는 치관측에서는 인장응력을, 치근측에서는 압축응력을 보였다. 치근첨에서는 압축응력이 관찰되었다. 3. 견치의 근심면은 치관측에서는 인장응력을, 치근측에서는 압축응력을 보였고 원심면은 인장응력을 보였다. 순면과 설면은 치관측일수록 큰 인장응력을 보였다. 순면보다 설면에서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다. 치근첨에서는 압축응력이 관찰되었다. 4. 제2소구치는 근심면은 인장응력을 보이며 원심면은 치관측에서는 압축응력을, 치근측에서는 인장응력을 보였다. 협면은 치관측에서 압축응력을 보였으며, 설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인장응력이 관찰되었다. 치근첨에서는 인장응력을 보였다. 5. 제 1대구치는 근원심면 모두에서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다. 협면에서는 응력이 나타나지는 않았고 설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이 관찰되었다. 협측치근들의 치근첨에서는 압축응력을, 구개측치근의 치근첨에서는 무응력을 보였다. 6. 제2대구치는 모든 치근의 치근첨에서 압축응력이 관찰되었다. 근심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압축응력을, 원심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보였다. 협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인장응력을 설면은 치관측일수록 더 큰 압축응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치부 후방견인시 transverse bowing effect는 뚜렷이 나타났으나, vertical bowing effect는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전치부가 함입되려는 응력이 발생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of alveolar bone in case of en masse retraction with lingual K-loop archwire using the 3-dimensional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followed by stress freezing process. Lingual K-loop archwire which had loop in 15mm height was used and activated by retraction force of 350gm per each si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entral incisor :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mesial and labial surfaces and the larger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dist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root apex, the larger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lingu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root apex. 2. Lateral incisor :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the coronal side of mesi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dist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labial surface.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coronal side and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apical side of lingu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root apex. 3. Canine :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coronal side and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apical side of musial surface.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dist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d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musial and distal surfaces.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root apex. 4. Second premolar :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mesi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coronal side and the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apical side of dist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coronal side of bucc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lingual surface.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root apex. 5. First molar :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mesial and distal surfaces. No stress was distributed at buccal surface.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tensil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lingual surfaces.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buccal root apexes. 6. Second molar : The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all root apexes. As the closer side to crown, the larger compressive stress was distributed at both mesial and lingual surfaces, and the larger tensile stress at both distal and buccal surfaces. Transverse bowing effect was observed in en-masse retraction with lingual K-loop archwire, however vertical bowing effect was not. Rather, reverse vertical bowing effect was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