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스타그램 빅데이터를 이용한 COVID-19 전후 대전 나들이 특성에 관한 연구

        백효진,조성수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uting behavior in the social distance during the COVID-19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posts. Words collected from the Instagram posts with the hashtag ‘Daejeon Outing’ were classified into place types, outing purposes, emotions, and companions, followed by frequency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During COVID-19, the use of recreational facilities (green areas) has increased as a place for Daejeon outings, while the use of commercial areas has decreas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visiting green spaces in the Daejeon suburb was more active. Parenting and dating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purpose words prior to and during COVID-19. During COVID-19, the eigenvector centrality of eating out decreased while walking increased. The frequency and eigenvector centrality of words such as “celebration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erms of emotions, negative scores increased slightly during the pandemic, and the companions were mostly limited to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members and lovers. The distinguished result in this study is the increase in the use of suburban green spaces, and through this, it suggested that the physical and functional connection of major green spaces in the Daejeon suburb should be dealt with more importantly in the city plan. 연구는 코로나 기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나들이 행태 변화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게시물을 통해 탐색하였다.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대전나들이’ 게시물을 통해 수집된단어를 장소 유형, 목적, 감정, 동반자로 분류하고 빈도분석, 감성분석,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코로나 이후 대전나들이 장소는 도심 상업지역 이용이 낮아지고 휴양시설(녹지)의 이용증가가 나타났다. 특히, 대전 외곽 및 근교의 녹지공간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적 단어에서는 육아, 데이트가 우선순위를 차지하며, 외식ㆍ외출의 중심성이 낮아지고 산책의중심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념일, 경조사 등의 단어빈도 및 중심성도 대폭 감소하였다. 감정에서는 팬데믹 이후 부정의 점수가 소폭 증가하였으며, 동반자는 가족, 아이, 연인의 사적인관계로 축소되는 경향에 있었다. 본 연구의 대표적 결과는 코로나 이후 교외 녹지공간의 이용증가이며, 이를 통해 대전광역권 주요 녹지 여가 공간의 물리적․기능적 연계가 더욱 중요하게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1901년 『충청남도연산군양안』을 활용한 연산현 읍치의 계층별 주민분포 특성에 관한 고찰

        백효진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villagers in different socio-political classes in the late 19th century using parcel-level land register data archived in the 『Chungchengnam-do Ryang-an』 of 1901. Using a map constructed from the ‘Ryang-an’, the author exam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villagers whose classes were defined based on a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Gyeong guk-daejeo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upper class tended to occupy the most favorable residential location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Chi-so’, an administrative office complex. Second, the subordinate class mainly resided in front of the ‘Chi-so’, along the axis of the administrative offices due to administrative convenience. Third, the commoners, including government slaves, tended to reside nearby administrative facility. Of the commoners, those who occupied smaller lots than the legal allowance were located nearby upper class houses, probably due to their livelihoods depended on the upper class. Overall, the spatial pattern of this area was formed by the interrelation and occupation between villages in different cla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1) visualizing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based not on administrative facilities but on villagers’ socio-political classes, and 2) using the ‘Ryang-an’ as a data source for spatial analysis. 본 연구는 1901년 『충청남도연산군양안』에 기록된 필지정보를 통해 당시 거주민의 계층별 분포특성을 명확히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경국대전』의 「급조가지」 계층분류를 기준으로 1901년추정도 상에 계층별 주민 분포 양상과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첫째, 상위관인은 치소의 배치와상관없이 거주환경이 가장 양호한 입지를 점유하는 특징이 있었다. 토착성씨인 송(宋)씨가 중심을 이루며, 이들은 연산현의 주요행정을 맡았던 집단으로 판단된다. 둘째, 하위관인은 치소배치축을 공유하는 치소 앞 마을에 주로 위치하며, 행정편의에 따른 공간 점유 특성이 드러났다. 셋째, 관노(官奴) 등 말단 관인을 포함하는 서인은 치소 각 시설에 인접하는 특성을 보였다. 서인중 법률의 택지규모 보다 작은 택지는 상위관인 택지 주변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는 생계와 관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도시인 연산현 읍치에는 각 계층이 상호관계하며 공간을 점유하는특징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행정구역이 아닌 읍치 일대의 공간영역을 대상으로, 행정시설이 아닌 주민계층별 택지분포를 공간지도에 가시화한 점, 공간연구에 있어 양안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고정리 재실마을의 공간배치에 관한 조사 연구 - 광산김씨 제의시설과 택지분포를 중심으로

        백효진,황선아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3

        This study is targeting Gojeong-ri, Yeonsan-myeon, Nonsan-si, Chungcheong nam-do, called Jaesil(ritual house) village of Gwangsan Kim cla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lac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ritual facilities and housing lands. Based on the distribution period of the ritual facilities, the ‘Geojeongteo’ was formed in the order of building → cemetery →building, and it is analyzed that the ‘Wongojeong’ was formed in the order of buildings from the graveyard of the residents of the ‘Geojeongteo’. Research shows that ‘Geojeongteo’ is sustained from family branching while ‘Wongojeong’ is sustained for Jaesil management. And it could be clearly seen that this spatial placement was formed over the centuries and maintained the function of Jaesil Village. In order to sustain identity as Jaesil Village, the ritual space should be treated as a cultural space that is shared and transmitted together. Furthermore, it is argued that the functions of the housing complex including the ritual facilities (grave station, shrine, and Jaesil), which are the elements of the space placement, and the curtilage district, must be preserved. 본 연구는 광산김씨의 재실마을이라 불리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를 대상으로, 제의시설과 마을의 택지분포가 공간배치 상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 특성 도출을 목표로 하였다. 유적 분포시기를 통해 거정터가 먼저 건물(마을)→묘→건물(마을)의 순으로 형성되었고, 원고정은 거정터 거주자의 묘지부터 건물의 순서로 형성된 것으로 분석된다. 거정터는 분가관계를 통해 원고정은 재실관리와 관련하여 마을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고정리는 묘역-사당ㆍ재실ㆍ종가-주변가옥으로 연계되는 구조이며, 이 공간배치가 수세기 동안 형성되며 ‘재실마을’을 유지시키고 있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제의공간이 삶과 어울려 전승되는 문화적 공간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재실마을’의 보전을 위해서는 그 공간배치 요소인 제의시설과종가를 비롯한 택지군의 기능 보존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춘천시 도시환경 여건 인식에 따른 여성친화도시 정책수요 분석 연구

        백효진(Hyojin Baek),임혜순(Hyesoon Yim)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2

        우리나라에서 여성친화도시(Women Friendly City)는 1980년대 들어 도시공간에서 젠더관점의 정책적 논의의 필요성이 이야기된 이후, 2009년 여성가족부 정책으로 도입되면서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 실행하는 지역 여성 정책의 새로운 모델로 도입되었다. 여성친화도시를 통해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안전한 도시공간 조성이라는 정책적 과제를 도시공간에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정책수요 발굴단계에서 도시환경이 이러한 정책과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춘천시 2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일과 근린환경에 대한 인식과 필요정책을 조사하여 군집 및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도시환경 인식에 따른 여성친화도시에 대한 정책수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맞벌이 가족(1유형)과 고령층 무직 및 무급가족종사자(2유형)로 분류되었으며, 두 유형 모두 기업의 가족생활중시 제도와 분위기 조성을 필요정책으로 선택했다. 근린 환경 중에서는 전반적인 치안/안전의 만족도가 보통임에도 불구하고 보육환경의 안전성에 대해서 두 유형 모두 만족도가 낮아 보육환경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가장 중요시되는 정책은 기업과 남성의 인식 변화, 기업의 제도적 변화, 직장 및 집 인근의 보육시설 확대, 보육환경 안전성 강화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여성친화도시의 주요 목적인 여성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일⋅가정 양립에 초점을 맞춘 분석으로, 군집분석의 유형 도출에 한계를 가지나,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수요를 도출하는데 있어 도시환경의 여건인식에 따른 정책수요 발굴을 보여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While traditional urban policies and plans have become male mainstream, women-friendly cities derive policies for realizing gender equal environm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women-friendly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own region and to derive the women-friendly policy demands required by local women. This study conducted a cluster analysis of women in their 20s and older in Chuncheon City, and cross-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work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political demands. The clusters were classified into middle-aged regular and dual-income families (type 1) and unemployed and unpaid family workers of the elderly (type 2). Both types have difficulty in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the most reason is the burden of child rearing and housework. I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ype 2, the women friendliness was lower,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family was cited as difficulty. As necessary policies, the corporate regulation and culture that values family were selected in both types. In addition to this, type 1 seemed to recognize the difficulty in work-family reconciliation as a social issue by choosing to create a social culture for expanding men’s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and child-rearing and flexible commute time of corporation. On the other hand, type 2 required the expansion of childcare facilities rather than social aspects. In addition, they considered preventing career interruption and employment expansion as more important policies than competency development such as entering into promising fields. It is judged that the work environment of women in Chuncheon is in the basic stage of discussing whether they are employed or not. Amo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satisfaction of both types was low for the safety of the childcare environment, although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security/safety was moderate. This seems to be highly sensitive to the childcare environment. Type 1 requested childcare facilities in the workplace and type 2 requested it near the home. In other words, it was investigated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 childcare facility in a short distance where women move frequently. In summary, the most important policies for women’s work-family reconciliation in Chuncheon were derived that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corporate and men society, regulations of corporate, expansion of childcare facilities near work and home, and reinforcement of childcare environment safety.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ypes could not be further subdivided, but it is significant that Chuncheon City, which is now in the early stages of a women-friendly city, has come up with policies that should be dealt with importantly in the future.

      • KCI등재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 입주 의사와 주거지원서비스 요구에 관한 연구

        백효진(Baek, Hyojin),이한나(Lee, Hanna),김승희(Kim, Seunghee)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2

        이 연구는 공공의 주택지원을 받지 못하는 싱글맘 가족에 대하여 그들의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쉐어하우스에 대하여 논의한다. 일본 사례 연구를 통해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는 공간과 노동력 쉐어를 통해 주거비 절감과 상호 돌봄이 이루어지고 있는 운영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 싱글맘 가족에게 필요한 보육원이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상업시설이 쉐어하우스 건물에서 함께 운영되고 있었다. 위 특징을 바탕으로 한국 싱글맘 가족의 쉐어하우스 입주의사와 희망하는 주거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주거지원은 ‘주거비와 생활비의 경감’, ‘자녀의 방과 후 돌봄서비스’였다. 첫째 자녀의 연령이 10대 후반으로 갈 수록 ‘정보교환 및 상호지지관계 형성’을, 첫째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가사지원서비스’를 선택하였다. 희망하는 주거지원서비스는 가족의 생애주기에 따라 달라지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를 도입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쉐어를 통해 주거비를 절감하지만 주거 수준은 저하되지 않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입주자간 커뮤니티를 통해 가사 및 돌봄을 상호협력하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외부인력을 통한 가사 및 돌봄은 주거비를 향상시키므로 입주자간 상호협력과 절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발굴하여 쉐어하우스의 입주율을 높이면서도 싱글맘 가족의 복지도 실현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shared housing as an option for single-mother families who are not subject to any public housing support to raise their housing standards. Based on a study done in Japan, shared houses for single-mother families ha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with a drop in housing cost and mutual care through sharing of space and labor. Besides, commercial facilities that provide jobs for single mothers and nursery schools for children were in the same building as the shared housing. An analysis surveyed the intent of single mothers moving into the shared house and their desire for housing support services. The most desired living assistance was a reduction in housing and living costs, followed by childcare service after school. For single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 closer to their late teens, information exchange and forming mutual support relationship, and single mothers with younger children picked house chores support service. The housing supports the surveyed families wanted varied depending on the lifecycle of the family.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a method to implement shared housing for single mothers. First, a measure to reduce housing costs but not to lower living standards must be introduced. Second, a measure for cooperation in house chores and care via a resident community must be introduced. An outside force does any house chores and care services would raise the living cost, which means it must be compensated through cooperation among residents. Lastly, various types of shared house model which includes various support services must be developed to raise the move-in rate of shared housing and realize single-mother families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