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충 산란 유도와 대리모를 이용한 매 Falco peregrinus의 개체수 증식에 관한연구 : 매와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를 중심으로

        백충렬(Choong-Ryul Baek),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2004년 2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약 3년 7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매목 매과 2종(매와 황조롱이)의 특성을 알아보고, 보충 산란 유도 및 대리모를 이용한 매의 개체수 증식과 대리모로서 황조롱이의 적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야생 매의 보충산란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알을 채집하는 시기가 매우 중요하며, 마지막 알을 산란한 후 적어도 15일 이전에 알을 채집해야 보충산란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매의 대리모로서 황조롱이의 장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와 비슷한 시기에 짝짓기 행동을 하고 산란을 한다. 둘째, 매의 알과 황조롱이의 알은 그 모양과 색깔이 비슷하다. 셋째, 황조롱이는 다른 맹금류에 비하여 그 개체수가 많고 번식력 또한 강하다. 넷째, 매의 유조를 육추하는 동안 사람에게 각인되지 않고 야생성을 살려 줄 수 있다. 증식된 매를 야생으로 되돌려 주는 재도입(Reintroduction)을 통하여 생태적인 균형유지와 생물종다양성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매의 공급은 최근 고급 레포츠로 각광 받고 있는 우리의 오랜 전통 문화인 매사냥의 발전에 기여 할 수도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매 이외에 다른 맹금류에도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많은 절종위기에 처한 맹금류의 복원 및 보전에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자연을 알고자 하는 많은 학생들 및 일반인들에게 매를 좀 더 가까이 관찰 할 수 있는 학습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We had surveyed about two species of Falconiformes Falconidae from February 2004 to July 2007. And available for surrogate mother of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used method of clutch size control purposed to increase of individual number of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2) We think after collected the eggs Peregrine Falcon, to induce the additional egg-laying(clutch size control) egg gathering is very important, after the last egg-laying should be done at least within 15days. 3) Advantages of Common Kestrel as a surrogate mother of Peregrine Falcon. ① Peregrine Falcon and the same time, mating behavior and laying. ② Egg's shape and color are similar. ③ Compare to other birds of prey, Common Kestrel has a high population, and strong propagation power. ④ During raising the young falcon, it must not be tamed to people but keep its wild type. 4) Reintroduction of Peregrine Falcon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maintaining ecological balance and biodiversity. moreover, stable supply of Peregrine Falcon can give a contribution in development of hawking which is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ome into the spotlight as a high a high quality leisure sports in today. 5)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tudy can be adapted to other birds of prey, and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in restoration or conservation of birds of prey which is endangered. Moreover, this can provide an opportunity of observation and learning about Peregrine Falcon to people who want to know the environment.

      • 딱새(Phoenicurus auroreus)의 번식생태에 관한 연구

        백충렬(Choong-Ryul Baek),김진희(Jin-Hee Kim),박예라(Ye-Ra Park),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07 한국조류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9월까지 공주대학교 구내 및 주변에서 번식하는 딱새를 대상으로 관찰하였다. 딱새는 둥지 짓기, 산란기, 포란기 및 육추기의 생활사를 갖는데, 그 중 포란기와 육추기가 약 37일 정도 소요된다. 둥지는 마른 풀, 이끼, 잔가지, 동물의 털 등을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으로 만든다. 둥지의 크기는 외경 150.32±9.80㎜, 내경 97.00±4.70㎜, 깊이는 50.40±7.60㎜이었으며, 알의 크기는 장경 18.50±0.62㎜, 단경 14.30±0.57㎜, 무게는 1.76±0.13g 이었다. 알의 형태지수는 77.29±1.28로 타원형에 가까웠다. 딱새 유조의 성장 중 부리와 부척은 꾸준한 성장곡선을 나타내었으며, 날개, 꼬리, 전장은 부화 후 초기에는 성장률이 낮았으나, 약 12일 전후로 급속히 성장을 보이며 S자 곡선을 나타내었다. 체중은 15일 전후로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18일 전후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먹이 섭취량 또한 체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15일 전후로 증가양상을 나타내었으며, 먹이의 종류로는 메뚜기목과 사마귀목이 가장 많았다. 수컷과 암컷이 번갈아 유조에게 먹이를 급여해주었으며, 하루 중 먹이를 많이 급여해 주는 시간은 오전은 6시~7시사이가 많았으며, 오후에는 3시~4시, 5시~6시가 가장 많았다. 유조에게 먹이를 급여해 주는 횟수는 수컷에 비해 암컷이 월등이 많았다. We had surveyed about Daurian Redstart at the five nest sites in Kongju and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from February 2004 to July 2007. Daurian Redstart has abaut 37 days life-cycle including nesting period to fledgling period. The nests were 150.32±9.80㎜ in outside diameter, 97.00±4.70㎜ in inside diameter, and 54.40±7.60㎜ on depth. The clutch size was 4.2±0.75. The eggs were 18.50±0.62㎜ in major axis, 14.30±0.57㎜ in minor axis, 1.76±0.13g on weight and oval close to circle as a shapeness 77.29±1.28. Comparing 3-day chicks from hatching date with fledgling, the length of bill and tarsus of chicks was not different and total length, tail length, wing length were different before and after 12-day from hatching date. Daurian Redstart favorite Orthoptera and Mantodea types of food. Variation of average number of visitors per day was 6:00 am-7:00 am, 3:00 pm-4:00 pm and 5:00 pm -6:00 pm peak parts of the day.

      • KCI등재후보

        월악산에 서식하는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의 번식생태

        염광석(Kwang-Seok Youm),백충렬(Choong-Ryul Baek),이진희(Jin-Hee Yi),정진우(Jin-Woo Jung),오태훈(Tea-Hoon Oh),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 국립공원에서 2009년 4월부터 2010년 8월까지 노랑할미새의 번식생태를 연구하였다. 노랑할미새의 둥지크기는 장경이 160.72±48.24㎜, 단경이 104.93±25.11㎜, 두께가 48.99±7.16㎜, 무게가 37.45±2.81g이였다. 둥지의 재료는 마른풀이 18.002±1.927(52.51%)g, 토양이 9.127±1.547(26.62%)g, 나무뿌리가 3.553±0.304(10.36%)g, 이끼류가 2.895±0.841(8.44%)g, 기타가 0.706±0.505(2.06%)g이였다. 영소지 선택장소는 자연구조물(13.04%)보단 인공구조물(86.96%)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X²-test, P<0.05). 알의 크기는 장경이 18.39±1.02㎜, 단경이 14.46±0.63㎜, 무게가 1.84±0.12g이며, 형태지수는 78.85±5.84%로 나타났다. 한배산란수는 3~7개를 가지며, 평균 한배산란수는 4.78±0.92개였다. 부화성공률은 75.86±15.64%, 이소성공률은 71.59±15.53%, 번식성공률이 54.31±11.78%로 나타났다. We had surveyed about breeding ecology of Grey Wagtail at the in Wor-Ak Mountain from April 2009 to August 2010. It has 160.72±48.24㎜ in outside diameter of nest, 104.93±25.11㎜ in inner diameter and 37.45±2.81g of weight. The nest materials were dry grasses, soil, root, moss type and others. Nest site choice natural structures than prefer artificial structures (X²-test, P<0.05). The eggs had 18.39±1.02㎜ of length, 14.46±0.63㎜ of width, 1.84±0.12g of mass and 78.85±5.84% of shape index, respectively the clutch size was 4.78±0.92 and hatching success was 75.86%, fledgling success 71.59%, breeding success was 54.31%.

      • KCI등재

        한국에서 번식하는 참매 Accipiter gentilis 의 영소지 및 둥지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희 ( Jin Hee Yi ),이인균 ( In Kyoon Lee ),백충렬 ( Choong Ryul Baek ),조삼래 ( Sam Rae Ch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6 No.5

        The present study documented the characteristics of habitats and nests of Goshawk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breeding in Gongju-si, Chungcheongnam-do and Haepyung, Kyungsangbuk-do, Eumsung-gun, Chungju-si, Chungcheongbuk-do from April 2007 to August 2011. Breeding habitat includes of mixes and deciduous trees and ravine forest, ranging from small to large areas and it used make a new nest and fix up the old nest at Goshawk. Goshawk make nests on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Pitch pine Pinus rigidae of 15.8±2.36m (range=7.4∼ 18.7m) in height and 34.6±7.38cm (range=20.8∼47.4cm) in diameter-at-breast height (DBH). It has 135.8±3.37cm in outer diameter of nest, 26.2±2.39cm in inner diameter, 7.1±1.41cm of depth, and 3.1±0.40Kg of weight. Breeding habitat (n=13) has 5∼7 nests. It has 7 (53.8%) nest in fix up the old nest and 4 (30.8%)nests in make a new n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