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영재의 완벽주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연주불안에 미치는 영향

        백고은(Go-Eun Baek),이선영(Seon-You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소재 예술고등학교와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음악 영재를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이 연주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더불어 영재학생이 부모, 동료, 음악전공강사와 같은 유의미한 타인으로부터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양음악과 한국음악 작곡 전공을 제외한 연주 전공 고등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연주 불안,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하위유형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연주불안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요소로 밝혀졌다. 반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연주불안을 높이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완벽주의와 연주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모두 연주불안을 유의하게 낮추었다. 조절효과 검증 결과, 세 가지 요인 중 전공강사의 지지만이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연주불안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라 연주불안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연주불안을 완화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사회적 지지의 세 가지 유형 중, 전공강사의 지지가 고등학생 음악영재에게서 나타나는 완벽주의와 연주불안의 관계를 완충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gifted students in music to identify how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tendencies influence music performance anxiety. Moreover, the research verifies whether social support, which is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from parents, peers and instructors, impacts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The study targeted 401 students attending two arts high schools in Seoul and a national institution for the gifted in art. The participants major in instrumental and vocal music performance. The study outcomes show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serves results in positive outcomes that significantly reduce music performance anxiety, wherea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negatively impacts the students and increases music performance anxiet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asured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s and instructors and revealed such perceived support to significantly and directly reduce music performance anxiety. However, only support from instructors significantly control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music performance anxiety. This study contributes to studies of performance anxiety by tak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measuring the impact of perfectionism on young performers. In addition, social support appears to be a primary factor in mitigating music performance anxiety.

      • KCI우수등재

        음악전공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교수자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백고은(Go-eun Baek) 한국음악교육학회 2020 음악교육연구 Vol.49 No.1

        This study examined how social comparison tendency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music major students. Moreover, the research verifies whether the type of instructor’s social support that students perceive, regulates the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The subjects were 253 music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ir social comparative tendency,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were examined. As a result first, high social comparison tendency impact negative emotion of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nstructor’s support significantly effects on negative emo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regulates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negative emotion of subjective well-being. 본 연구는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사이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지 유형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소재 음악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 주관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음악전공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부정 정서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수자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의 부정 정서를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사회비교경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부정 정서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주전공생의 연주효능감이 내재적 연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 사회비교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슬기(Kwon Seul Gi),백고은(Baek Go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연주전공생들의 연주효능감이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사회비교성향이 두 변인 간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두 달에 걸쳐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음악대학에 재학 중인 연주 전공생 300명을 대상으로 연주효능감, 사회비교성향, 내재적 동기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주효능감이 높은 경우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주효능감이 높은 남학생의 경우 사회비교성향의 수준과 상관없이 내재적 동기를 많이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주효능감이 낮은 남학생의 경우 사회비교성향이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를 많이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연주효능감이 높은 여학생들은 사회비교성향의 수준이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를 많이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연주효능감이 낮은 여학생의 경우 사회비교성향 수준이 낮아질수록 내재적 동기를 많이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주효능감과 내재적 동기 사이에서 사회비교성향의 역할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usic performance efficacy on music intrinsic motivation, and tested whether the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differen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music-performance. After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sponses from 300 university students(majoring in Korean/Western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from April to June 2019,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ho had high music performance efficacy had more high music intrinsic motivation. Also, male who had high music performance efficacy had high music intrinsic motivation regardless of thei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level. On the other hand the more male who had low music performance efficacy compared with others, the higher they had music intrinsic motivation. Meanwhile, whaeras the more female who had high music performance efficacy compared with others, the higher they had music intrinsic motivation, the less female who had low music performance efficacy compared with others, the higher they had music intrinsic motivation. This illustrates how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music performance the students had can affect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music performance efficacy and music in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refore, This result implies that educators should pay attention to students’gender, music performance efficacy and the level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performance to promote intrinsic motivation in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