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백경순 ( Kyung Sun Bae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연구에 필요한 자료 제공하고자 하였다.『미래유아교육학회지』, 『아동학회지』,『열린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학논집』,『한국영유아보육학』의 6개 학술지에 게재된 36편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분야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으로는 교사가 보이는 상호작용 유형,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교사의 상호작용 촉진 방안 모색,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변인 간의 관계성 연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문헌고찰 연구, 소수계층 유아와의 상호작용의 6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연구유형으로는 양적연구와 함께 질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교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유아 연령은 만5세와 영아에 치중되어 있었다. 자료수집은 관찰과 다중측정을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질적분석과 다중분석을 많이 사용하였다.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향후 일상생활지도를 포함한 유아교육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유아를 대상으로 다양한 시각에서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6 piec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studies published by『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Journal of Child Studies』,『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and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st studies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re quite poor an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hed more light on this issue. This study consists of six parts which are as follows: the types of interaction, the outcomes of the types of interaction, the searches of improvement of interaction,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action, the research of the thesis on the interaction by other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he children in need. The study uses both the quantitive and qualititive methods with teachers mainly be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children involved in the study are mostly five-year olds and the rest are infants. Observation and measurements by group are used to collect information for the study. The quality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variables are also in use. Studying this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s important to develop children education. Studies focusing on different aspects of education should be encouraged, especially with the intent to improve children behaviour.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백경순 ( Kyung Sun Bae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교사 8명으로 하였으며,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면담내용은 학기초에서 학기말 그리고 등원에서부터 귀가까지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분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사의 면담내용을 녹음하였고, 녹음내용을 전사한 후에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해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드러내는 현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교사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교육철학과 동떨어진 상호작용에 대하여 딜레마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교수실제와의 차이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정서적인 지원을 하는데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진정한 양방향적인 의사소통의 실현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교사의 융통적인 사고방식 함양을 위한 지원 그리고 사회·정서적 지원 또는 일상생활 지도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며, 직전교육에서는 실천력있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particular study focuses on the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t these aforementioned institutions. The test subjects were 8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constantly monitored during their class time with young children. The recorded data was then analyzed qualitatively. This study revealed some limitations of the teachers (test subjects) in their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Firstly,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teachers proved to be a dilemma in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Secondly,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became apparent. Thirdly,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o their young children proved to be difficult. In conclusion, the necessary requirem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 a) Providing aids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b) Providing aids for developing the open-mindedness of teachers. c) Providing aids for effective development of the habits of young children and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 KCI등재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백경순 ( Kyoung Sun Bae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영·유아의 일상생활지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열린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학논집』의 4개의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98편의 “생활지도 관련 논문”이었다. 연구결과,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편이지만 2010년부터 활발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내용은 “유아의 행동”을 심도있게 분석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교수행동”에 관한 연구는 적은 편이었다. 또한 세부적 연구주제는 적응(학기초, 초등학교), 기본생활 습관(예절, 정리정돈, 식생활, 경제습관, 규칙, 인사, 배변, 낮잠, 가정생활), 대인관계(갈등, 우정 또는 또래관계, 배려, 도움, 나눔) 등 이었다. 연구유형으로는 질적 연구가 많은 편이었고, 연구대상은 주로 유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소수계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자료수집은 관찰과 면담을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질적분석과 다중분석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근거로 유아의 생활지도에 관한 교육내용을 집대성하고, 교수방법을 발달시키는 기반을 마련 하는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theses on guidance for children in order to offer data that will give information on children`s educational guida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98 pieces of daily life studies published by『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Studies related to daily life of children" were insufficient but starting from 2010, the studies started to become active. In the contents of the study, "children`s behavior" took the largest amount of the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least studied contents were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More detailed subjects of the study are adaptation(the beginning of the preschool term, elementary school), daily habits(manners, cleaning and arrangement, eating habits, economic habits, rules, greeting, defecation, napping, home life), personal relations(disagreement, friendship and peer relationship, regarding another person`s feelings, helping, sharing). In the type of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The studies were mostly focused on young children.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used most profoundly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and multiplexed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has integrated the contents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guidance, and provided groundwork for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method.

      • KCI등재

        유아교육분야 질적연구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백경순(Baek Kyung-Sun),이대균(Lee Dae-K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 질적연구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질적연구 수준 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육연구』, 『아동학회지』, 『열린유아교육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유아교육학논집』, 『한국영유아보육학』에 게재된 255편의 질적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질적연구 논문의 수는 1995년에는 1.2%에 불과하였으나 2006년도에는 15.2%로 급증하여 새로운 대안적 연구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엇다. 연구주제로는 교수방법, 교사교육, 발달 심리의 세 분야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어서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요구되었다. 연구유형은 참여연구가 주류를 이루었고, 비상호작용적 방법에 의한 자료수집이 다소 이루어지고 있어서 현장의 맥락적 상황을 담아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참여자는 거의 유아와 교사의 관점에 치중되어 있어서, 다양하고 폭넓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타당도 검증 방법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36.9%나 차지하고 있어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있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6개월 이하가 68.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기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연구참여자에 대한 다양한 자료수집과 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여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혀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25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b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Child Studi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and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numbers of studies, research subjects, research types, research participants, cases, examination of validity, period of data collection, and numbers of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ercent of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was 15.6%, 13.7% b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1.5% b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2.3% by Journal of Child Studies. For research subjects, teaching methods was 27.8%, teacher education was 25.5%, and psychology of development was 18.0%. By research types, participant research was 70.2%, interview research was 22.0%, and non-participant research was 7.8%. By methods of data collection, participant observation was 36.4%, interview was 34.5%, non-participant observation was 14.0%, and documentation was 15.1%. Many studies used more than two data collection methods. Among research participants, child participants were 42.7%, adult participants were 41.2%, and both child and adult participants were 10.6%. For participants case, 2-5 people were 21.6%, 6-10 people were 18.8%, 11-20 people were 14.5%. For the examination of validity, the member checking was 27.4%, the triangulation was 24.3%, and inter-observer agreement were 3.8%. 36.9% of researches did not present examination of validity.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less than 6 months for 68.2% of the cases, and 7-12 months for 14.9%. 10.2% of researches did not present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For the numbers of authors, single researcher study was 52.5%, duo researcher study was 34.1%, and trio researcher study was 9.8%. The changes by the year were that the numbers of qualitative researches increased from 1.2% in 1995 to 15.2% in 2006. Also, the researchers were more and more interested in teaching methods and preferred participant observation of data collection methods.

      • KCI등재

        일반환경에 소속된 특수유아의 통합교육(inclusion)을 위한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 원리 적용에 대한 질적연구

        백경순(Baek Kyung-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일반교실에 소속된 특수유아의 통합교육의 실천적 교수전략으로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DAP의 적용은 특수유아를 결손지향적인 존재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개별성을 존중하는 철학에서 시작되었다. 연구결과, 일반 교실에는 특수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놀이가 거의 없었지만 DAP 원리를 적용하면서 부분적 또는 온전한 놀이참여가 나타났다. 첫째, DAP의 적용은 특수유아의 발달수준을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각양각색의 다양성을 지닌 존재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였다. 둘째, 특수유아와 관련된 정보 모으기는 결손지향적인 조사차원이 아니라 특수유아의 흥미나 잘할 수 있는 능력을 찾아내는 것이며, 이는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과정이었다. 셋째, 일반유아들이 사용하는 교구를 특수유아에 적합하도록 부분적으로 수정함으로써 특수유아들은 친숙하게 놀이에 참여하였다. 넷째, 특수유아에게도 일반유아와 똑같은 동등한 기회를 준다면 놀이의 참여는 증가하였다. 다섯째, 특수유아들에게는 쉽고 단순한 것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장기전이 필요하였다. 여섯째, 특수유아에게 매우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는 교사의 상호작용은 지시적 뿐만 아니라 비지시적인 연속성이 필요하였다. DAP의 구성요소인 놀이중심, 개별성, 흥미, 적극적 탐색, 자발성의 원리는 특수유아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하였고, 이를 특수유아 통합교육을 실현하는 원리로 적응할 것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DAP) for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general classroom. DAP came from philosophy tha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urvival skills are importan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Generally,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ardly participated in play in the general classroom environment. Howeve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ould partly or wholly participate in play by DAP educational theory. First of all, applying DAP started with admit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collecting special needs children with positive interests and good skills was important to make strong power for the Inclusion. Third, friendlie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included in the general environment with general teaching and play material adjusted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urth, differentiation and equivalence had different meanings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ift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needed long term processes with easy and simple levels. Sixth,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with special needs required direct and indirect continuity. DAP's structural elements such as play oriented, individual, interests, progressive searching, and spontaneity theory could apply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it realize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clus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장애관련 경험과 교사효능감이 통합보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백경순 ( Kyoung Sun Baek ),이태훈 ( Tae Hoon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1

        선행연구에서 장애유아의 통합보육을 확대하는데 보육교사의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장애관련 경험과 교사효능감이 통합보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보육교사의 통합보육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16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통합보육태도는 보통 수준이었고, 교사효능감은 보통 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특수교육과목 이수나 장애유아 통합경험 같은 장애관련 경험은 매우 낮았다. 둘째, 통합보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경력, 특수교육과목 이수 여부, 통합보육 경험 유무, 교사효능감 7개 변수를 투입한 결과 교사효능감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 향후 보육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보육교사의 장애관련 현직연수 강화와 통합보육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확대하는 유인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degree of disability related experience and efficacy belief for the integrated childcare attitude. So, it surveyed on how do 160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about the attitude for integrating disability infants.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intergrated childcare attitude was average level, teacher efficacy belief more high than average level, and disability related experience very low. The integrated childcare attitude of childcare teacher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work duration.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rgrated childcare attitude was only the efficacy belief of childcare teacher, but not affected age, work duration, and disability related experience. Hereafter, to improve the intergrated childcare attitude of childcare teacher need to ralise a efficacy belief of teacher and provide an in-service training courses of the integrated childcare of disability infant.

      • KCI등재

        환상그림책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2010년부터 2019년을 중심으로

        백경순(Baek, Kyung Sun)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20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그림책의 장르 중에서 환상그림책을 주제로 한 논문을 선정하여 그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부터 10년 동안 등재지에 게재된 환상그림책 관련 논문 45편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환상그림책 관련 논문의 연구내용은 그림책 자체분석, 유아의 반응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활동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내용으로는 등장인물의 성격(심리상태, 자아개념, 어린이 이미지, 성인 이미지, 도덕성, 포스트휴먼), 등장인물의 관계성(갈등, 친구관계, 가족, 소외), 플랏(구조분석, 결말분석), 배경(공간), 유머, 그림의 심미적 요소, 기호해석, 환상과 현실의 경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존 버닝햄, 레오 리오니, 백희나, 모리스 샌닥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깊은밤 부엌에서, 괴물들이 사는 나라, 돼지책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자료수집은 문헌, 실험법이 많았으며, 자료분석은 내용분석, 차이점증, 질적분석으로 나타났다. 환상성을 가진 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새로운 분야의 연구주제를 도출하는 기초자료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research on fantasy picture books. specifically. This paper reviewed 45 research on fantasy picture book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9.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the picture book self-analysis’, ‘the responses by children’ and ‘activities related to picture books’. Specifically, previous studies were about the personality(psycho-mentality, self-awareness, the image of kids, the image of adults, morality, and post human),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conflicts and solutions, friendship, family, and isolation), plot(an analysis of structure, and the ending), background(space), humors, the element of aesthetic picture, semiotic interpretation, and the boundary between fantasy and the reality. Secondly, the books written by Anthony Browne were used the most. The books written by John Burningham, Leo Lionni, Baek hee-na, Maurice Senda appeared in order. The books used the most were as follows: ‘In the night kitchen’, ‘Where the wild things’, ‘Piggy book’, ‘the Tunnel’, ‘Mr Gumpy’s Outing’, ‘Swimmy’, and ‘Cloud Bread’. There were more qualitative studies than quantitative studies. The literature review was mostly used followed by experiment. Also, the analysis of information consisted of the contents’ analysis, difference examination, and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helped understanding of the fantasy picture books, and made a foundation of research on the potential new area of the 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