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배혜원(Bae, Hye-Wo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1

        목적: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특성이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노인 및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 자료는 2019년도 장기요양실태조사의 조사대상자 중 재가급여를 이용하고 있는 수급자의 가족 2,54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재가급여 수급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특성, 주거환경 특성에 따라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x²을 시행하였다. 또한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수급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지역, 가구형태, 건강특성으로는 치매여부가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환경 특성으로는 주택점유형태가 자가(OR=1.477, p<.05) 또는 전세 (OR=1.764, p<.05)일 경우, 거주기간이 20년 이상일 경우(OR=.706, p<.05), 주거공간에 화장실 안전손잡이가 있을 경우(p<.05), 휠체어가 이동 가능한 현관 및 공간이 있을 경우(p<.01) 그 가족의 시설 이용의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돌봄 체계는 가족 또는 지역사회 내에서 돌봄 자원이 균형적으로 분배되는 방향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신체적 기능 외에 인지기능, 치매 등의 정신건강을 고려한 재가 영역 내 돌봄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수급자의 일상생활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급자 가족의 돌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주거환경 개선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재가 중심의 돌봄 체계 구축은 수급자와 수급자의 가족 모두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방향성에 기초해야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heir famili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cipient s willingness to use the facility benefits of the beneficiary s family. Methods : The analysis data utilized the data of 2,541 family members of recipients who are using home benefits among those surveyed in the 2019 Long-Term Care Status Survey. The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with t-test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beneficiary family s intention to use facility benefit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health, and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beneficiary. In addition,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Results : Studies have shown that dementia is an influence factor in gender, region, household type,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as demographic.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 re the owner o f the hou se (OR=1.477, p<).05) or chartered (OR=1.764, p<.05) for a residence period of more than 20 years (OR=.706, p<.05),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s willingness to use the facility was lowered when there were toilet safety handlers (p<.05)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when there was a wheelchair movable front door and space (p<.01). Conclusion : First, in establishing a community care system, care resources will have to be distributed in a balanced manner within the family or community. Second,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mental problems such as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are needed in addition to physical function. Third,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recipient s daily life while also easing the burden of care for the recipient s family. Above all, the establishment of a home-centered care system will be based o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both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은퇴전환기 남성 중고령자의 여가인식 유형화 연구

        김현정 ( Kim Hyun-jeong ),강은나 ( Kang Eun-na ),배혜원 ( Bae Hye-w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은퇴전환기에 있는 남성 중고령자들이 보이는 다양한 여가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남성 중고령자를 중심으로 10명에 대한 심층면접, 선행연구 조사, 신문기사 등 인터넷 조사 등을 통해 Q표본을 68개를 선정하였으며, 생애주된 일자리를 퇴직하거나 퇴직 직전에 있는 남성 중고령자 40명을 대상으로 Q분류를 실시하였다. QUANL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는 전체변량의 34.0%를 설명하였다. 전반적으로 은퇴를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여가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중고령자의 여가인식 유형은 여덟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남성 중고령자의 여가유형은 사회역할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역할탐색형과 은둔자형, 경제상태를 중심으로 일중심형과 여가소비형,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부부활동형과 개인여가형, 그리고 소속감을 중심으로 단체활동형과 단체부적응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유형을 구성하는 남성 중고령자의 일과 여가관련 가치관과 생활양식 등을 파악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은퇴전환기에 있는 남성 중고령자의 여가생활증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perceptions middle-aged men in retirement transition have about leisure engagement and distinguishes them into different types.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Q-methodology is used. Q-samples, 69 statements representative of leisure perceptions are extracted from the Q-population which was constru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with 10 people and by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nd newspaper articles. A total of 40 men (50-69 years old) participated in Q-sorting and QUANL program was utilized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leisure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middle-aged men`s perceptions toward their retirement, whether the retirement is a positive event or a negative event. However, eight types of leisure perceptions are identified according to social role, financial status, family relationships and preferences to participate in social groups; a social role seeking type, a seclusive type, a work oriented type, a leisure adaptive type, a couple oriented type, a personal leisure type, a social group type, a non-adaptive social group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olicy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leisure life of middle-aged me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