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졸취업자가 인식하는 대학교육의 학습성과 분석 연구: 역량인식과 대학교육기여도를 중심으로

        배천웅 ( Bae Cheon-ung ),남혜선 ( Nam Hye-s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대졸취업자가 직장 및 사회 생활을 수행하는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역량(역량인식)과 대학교육이 역량 개발에 도움을 준 정도에 대한 인식(대학교육기여도 인식)이 상응하는 정도를 분석하여 대학교육의 학습성과를 확인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2014년(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졸취업자는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과 함께 `대인관계 역량`과 같은 인성적 자질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대학교육은 `대인관계 역량`보다는 `글을 읽고 쓰는 역량` 개발에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대졸 여자 취업자들은 남자 취업자에 비해 `글을 읽고 쓰는 역량`, `대인관계 역량`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는데, 대학교육은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 개발에 더 크게 기여했다고 인식하였다. 일반대학 졸업자는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였으며, 대학교육기여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전문대학 졸업자는 `대인관계 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대학교육기여도에서는 `자기관리 역량`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전공과 직장의 업무내용이 일치하는 정도가 높은 대졸 취업자일수록 역량인식과 대학교육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서 대학교육의 성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graduates` perceptions of the competence actually required at workplaces or in society (perception of competencies) and to assess their evaluation of college education that helps to develop competence (contributions of colleg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Youth Panel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data of 2014(8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emale graduates thought liter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more important compared to male graduates. However, college education was thought to contribute to developing competence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more than liter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Graduates from four-year colleges recognized that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we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competencies, and university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veloping this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graduates of junior college perceived interpersonal competence as the most important, but college education contributed to developing self-management competence more. College graduates who have a high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their majors and their workplaces have a higher recognition of competences and the contributions of colleg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college education in labor markets.

      • Public educational system an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Bae, cheon-ung(배천웅)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18 No.2

        한국은 국민의 높은 교육열과 정부의 노력에 의하여 1945년 일제에서 해방된 후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단기간에 공교육의 보편화와 대중화를 달성하였다. 대학교의 취학율도 2008년 현재 70% 이상을 달성하였다. 이렇듯 교육기회의 평등을 달성하였지만 교육경쟁은 오히려 더욱 심화되고 있는데 이는 이른바 일류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경쟁이 초등학교 단계에서부터 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입시 제도의 변경, 사교육 억제 등 입시경쟁의 해소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입시경쟁을 위한 사교육은 더욱 극심 해지고 있다. 사교육은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재정적 압박은 물론이고 심리적, 정신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공교육에 대한 신뢰는 더욱 약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사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매우 기이한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of the Korea is remarkable. In terms of the enrollment rate of the prim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Korea has achieved the stage of “the education of the all” from the early 1990s. With the expansion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competition for higher education became severe and the burden of competition was felt even more. One of the problems caused by the high entrance competition is the flourish of the private education. More and more students and parents are becoming to depend on the private education to get high score on entrance exam and their confidence to public education seems to decrease without limits. Private education, which has functioned to supplement to public education, has dominated and incapacitated the public education. Many policies were developed to lighten the burden of competition and to normalize the public eduction, but fail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We are in the situation that future of the public school are determined how the problems of private education is handled and solved.

      • KCI등재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학습참여에 관한 연구

        유지수 ( Ji Su Yu ),배천웅 ( Cheon Ung Bae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2 치위생과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targeted students of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at 15 universities, which are operating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students of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correlation was carried out. To verify influence of each variable upon participation leve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rticipation motive, expectation fo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upon participation level. Based on the resul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rticipation motive of the students and to offer satisfaction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enhancing the expectation for education for educational institution. Especially, given striving to enhance the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the satisfaction with effect on advanced major courses, the university needs to make efforts to increase stature a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 퍼즐교구활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2

        이승영(Lee, Seung-Yeong),배천웅(Bae, Cheon Ung)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퍼즐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건강한 노년기 삶의 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두 가지 요인인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경로당을 이용하시는 만 65세 이상 노인중에서 30명을 실험집단으로, 3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11월 30일에서 2016년 1월 8일까지 실험집단은 퍼즐활동프로그램을 회기 당 60분씩 주2회, 총 12회기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일상적인 생활을 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퍼즐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인지기능이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우을에서도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 평균이 낮아졌다. 이로써 퍼즐활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퍼즐활동프로그램이 노인복지현장 및 노인관련기관, 병원 등에서 노인의 인지기능 증진 및 노인의 정신적인 삶의 질을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uzzle activity program on two factor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hat play important roles for the quality of life in healthy old ag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chose 30 subjects aged 65+ who use Daejeon D senior citizen center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subjects were selected as the comparison group. Puzzle activity programs was a total of 12 times (60 minutes per session) which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30 members of an experimental group as the general living for 30 members of a comparison group from November 30th, 2015 to January 08th, 201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cognitive function level and foun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uzzle activity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ctivity. Second, the average depression level decreased after taking part in the puzzle activity program. As a result, the puzzle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lderly"s cognitive functionn and depression. Therefore, the puzzle activity can be useful not only as the programs at the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 elderly like Senior Welfare Center and Senior Hospital so as to enhance the elderly"s cognitive func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senior life.

      • Public educational system an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배천웅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0 교육연구 Vol.18 No.2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of the Korea is remarkable. In terms of the enrollment rate of the prim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Korea has achieved the stage of "the education of the all" from the early 1990s. With the expansion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competition for higher education became severe and the burden of competition was felt even more. One of the problems caused by the high entrance competition is the flourish of the private education. More and more students and parents are becoming to depend on the private education to get high score on entrance exam and their confidence to public education seems to decrease without limits. Private education, which has functioned to supplement to public education, has dominated and incapacitated the public education. Many policies were developed to lighten the burden of competition and to normalize the public eduction, but fail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We are in the situation that future of the public school are determined how the problems of private education is handled and solved. 한국은 국민의 높은 교육열과 정부의 노력에 의하여 1945년 일제에서 해방된 후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단기간에 공교육의 보편화와 대중화를 달성하였다. 대학교의 취학율도 2008년 현재 70% 이상을 달성하였다. 이렇듯 교육기회의 평등을 달성하였지만 교육경쟁은 오히려 더욱 심화되고 있는데 이는 이른바 일류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경쟁이 초등학교 단계에서부터 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입시제도의 변경, 사교육 억제 등 입시경쟁의 해소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입시경쟁을 위한 사교육은 더욱 극심해지고 있다. 사교육은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재정적 압박은 물론이고 심리적, 정신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공교육에 대한 신뢰는 더욱 약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사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매우 기이한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