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집단의 휴대전화에 대한 매체인식 비교: 적합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배진한 ( Jin Han Ba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이 연구는 휴대전화에 대한 한·미 대학생들의 매체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연구 결과, 두 집단의 매체인식은 전반적으로 유사성을 보이는 가운데 개별적인 항목별로는 작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알림상황’과 ‘부탁상황’에 걸쳐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한 매체’ ‘가장 효율적이라 인식한 매체’ ‘실제 선택할 의사가 있는 매체’에 있어 두 집단 간에 현격한 응답의 차이가 보이지는 않았지만 미세한 차이가 드러나기도 했다. 한편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따른 휴대전화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의 적합성·효율성 인식의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집단은 문자메시지, 미국집단은 휴대전화 음성통화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매체인식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This study entailed a cross-cultual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mobile phone a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wo nations: South-Korea and the U.S. Results from a survey of 453 college students are as follows: (1) Results revealed numerous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2) Most of all, across `Informing personal appointment situation` and `asking a personal favor situation`, a moderat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found such as in `the most appropriate channel`, `the most efficient channel` and `the most likely to select channel.` (3) Korean participants tended to report `sending a text message` as more appropriate and effective than U.S. participants, and vice versa.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a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is discussed.

      • KCI등재후보

        공적 공간에서의 이동전화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배진한 ( Jin Han Bae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3

        이 연구는 공적공간에서의 이동전화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찾아보려는 탐색적인 의도에서 출발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20대 이하와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각각 300명씩을 추출하여, 총 600여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이가 어릴수록, 우리 사회의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의 영향을 덜 받을수록 그리고 이동전화와 관련된 사회적 규범에 순응하는 정도가 낮을수록 공적공간에서의 이동전화 이용의사는 더욱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사회학작 사디 플란트(Sardi Plant)의 이동전화 이용자 유형구분을 적용해보면, 우리 사회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과 이동전화 관련 사회적 규범에 별로 순응하지 않는 나이 어린 세대들은 대개 ``자유발설형(speak-easy)``에 해당하고 이들은 대체로 여러 공적 공간에서 이동전화 이용의사를 더 강하게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의 영향을 보다 강하게 받고 있어 이로부터 자유롭지 못할뿐더러 이동전화와 관련된 사회적 규범을 비교적 강하게 체화하고 있는 기성세대는 ``공간 마련형``(space-maker)이 많으며, 이들은 여러 공적 공간에서 틈새시간이 나더라도 이동전화를 이용할 의사가 비교적 약한 것으로 풀이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uses of mobile phones in public places(for instance street or park, shopping mall, restaurant, bus or railroad couch, etc.), as they have become a primary media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was executed among two age groups, those below 20`s and above 40`s, with 300 interviewees in each group.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1. As the interviewees of the survey are younger, they are more inclined to leave mobile phone turned on or set phone melody mode, accept calls in public places and have lower receptivity to mobile phone related social norms in public areas. 2. As the interviewees of the survey are less pliant to conventional communication values of our society, they are more inclined to leave mobile phone turned on or set phone melody mode, accept calls in public places and have lower receptivity to mobile phone related social norms in public areas. 3. As the interviewees have lower affinity to the mobile phones, they are more inclined to leave mobile phone turned on, and have lower receptivity to mobile phone related social norms in public areas.

      • KCI등재

        스위치 평균 모델을 이용한 DC/DC 컨버터의 전류불연속모드 모델링과 임계특성에 관한 연구

        배진용(Jin-Yong Bae),김용(Yong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2 No.6

        상태 공간 평균화 모델은 강압형, 승압형 및 승ㆍ강압형 DC/DC 컨버터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별한 계산이 필요 없는 높은 정밀도가 증명된 모델이다. 이러한 모델은 전류연속모드(CCM) DC/DC 컨버터에서 확립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컨버터의 전류연속모드(CCM) 모델로부터 의미있는 결론을 유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위치 평균 모델을 이용한 DC/DC 컨버터의 전류불연속모드(DCM) 모델링 및 임계특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스위치 평균 모델은 전류연속모드(CCM)와 전류불연속모드(DCM) 사이의 DC/DC 컨버터의 경계 조건에 대한 모델로부터 유추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과 실험에 의해서 스위치의 평균 모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MOSFET를 사용하여 입력전압 15[V], 출력전압 24[V], 출력전력 24[W]급 시스템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The state-space average model is extended to buck, boost, and buck-boost topology switching mode DC/DC converters and modified to have higher precision without increment of computation. The modified model is used in continuous conduction mode(CCM) switching DC/DC converters and some significant conclusions are derived. This paper discusses the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DCM) modeling of DC/DC converter and critical characteristic using average model of switch. Average model of switch approach is expended to the modeling of boundary conduction mode DC/DC converters that operate at the boundary between continuous conduction mode(CCM) and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DCM). Frequency responses predicted by the average model of switch are verifi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 A prototype featuring 15[V] input voltage, 24[V] output voltage, and 24[W] output power using MOSFET.

      • KCI등재후보

        공적공간의 유형과 성별,연령,라이프스타일 등 수용자의 인적 속성이 모바일콘텐츠 이용에 미치는 영향

        배진한 ( Jin Han Bae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4

        이 연구는 먼저 모바일콘텐츠의 과학적인 유형화를 시도함은 물론 이를 토대로 수용자의 제반 인적 속성과 이용공간의 차이에 따른 모바일콘텐츠 유형별 선호양상을 경험적으로 살펴보자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사전조사와 온라인 서베이 방법을 사용한 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먼저 성별로는 휴대폰으로 음악듣기 등 4개 콘텐츠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별로는 휴대폰으로 지상파TV보기, 휴대폰으로 게임하기 등 오락적인 성격이 강한 콘텐츠에 있어서는 10대가, 각종 정보/뉴스 얻기, 휴대폰으로 거래하기 등 실생활밀착형 콘텐츠에 있어서는 사회활동이 왕성한 20대에서 40대까지의 연령층이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라이프스타일별로는 개혁추구형이 모든 콘텐츠 유형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반면 대체로 보수적 지체형이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한편 네 가지 유형의 공적공간별로 선호하는 모바일콘텐츠 또한 사뭇 다른 모습을 보였다. 즉, ``폐쇄된 한정적 행위공간``인 강의실과 ``개방된 다양한 행위공간``인 길거리에서는 휴대폰으로 음악듣기를 선호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개방된 한정적 행위공간``인 야외전시장과 ``폐쇄된 다양한 행위공간``인 지하철에서는 휴대폰으로 지상파TV보기를 선호한다고 답한 빈도가 가장 많았다. 아울러 각 공적공간별로 눈에 띄는 응답도 볼 수 있는데, 가령 ``다양한 행위공간(길거리)``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가, ``폐쇄된 다양한 행위공간(지하철)``에서는 휴대폰으로 영화보기를 선택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점은 공간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모바일콘텐츠가 상당히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public places(for instance street, sport complex, conference room, bus or subway etc.), human factors (gender, age, lifestyles) and preferences of mobile conten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pilot study and on-line survey was executed among mobile phone users with 1,024 respondent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1. Females have higher preferences in 4 genres of mobile content such as music listening by cell phone than males. 2. As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are younger, they are more inclined to prefer entertainment content(such as watching TV by cell phone and playing mobile game by cell phone). Also, as the respondents are older, they are inclined to like contents for practical uses(such as news gathering by cell phone and transaction services by cell phone). 3. We find the differences in mobile content genre preferences according to respondent`s lifestyle. 4. And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mobile content genr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public places where content is used. For instance, watching TV by cell phone is more liked content genre in closed and less restraint public places(such as in subwa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