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몽골의 외국인 투자법제 비교 연구

        배정생(Bae Jaeng Saeng),엔크타이반 잡크랑(Enkhtaivan Javkhlan),강문경(Kang Moon Kyu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3 No.-

        몽골은 구소련의 붕괴와 함께 개혁개방 추진 직후였던 1990년 외국인투자 총액 96만 6천 달러에서 2006년 3.1억 달러, 그리고 지난 2012년 총 3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와같은 對몽골 외국인 투자비율 급증의 영향으로 몽골 정부는 2013년 10월 3일 “투자법”을 새롭게 제정하였다. 한국의 경우 1962년 외국인투자 총액 350만 불에서 1984년 외국인투자법 개정 이후 4억2천만 불로 증가하였고 2010년에는 1756억불을 달성하게 되었다. 한국의 이러한 결과는 정부가 주도적으로 외국인투자 초기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분석과 검토를 통하여 관련 법제를 완비함으로써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주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한국과 몽골은 1990년 수교 이후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맺고 이를 빠르게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또한 현재 한국과 몽골의 FTA협상을 위한 준비도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국의 전반적인 외국인 투자환경 및 법제를 살펴봄과 동시에 특히 2014년 개정된 한국의 “외국인투자촉진법”과 2013년 제정된 몽골의 “투자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상대국에 대한 법제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Mongolia during 1990-2007 represented a 13 percent rise annually, and its investment figure jumped from $965,000 in 1990 to $310 million in 2006. By 2012, foreign investment in Mongolia kept a stable pace, scaling up to 3.1 billion in 2012. But Mongolian foreign investment had sharply decreased to 45% in middle of 2012 to 2013, and Mongolian Assembly hurriedly was enacted the newly “Investment Law” on October 3, 2013. In 1984, revised “The Foreign Investment Law” of Republic of Korea was amended the total amount of foreign investment by $420,000,000 from $3,500,000 in 1962, After that a total amount of foreign investment was increased to $175,600,000,000 in 2010. The review was consider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great trust that experts did not cause an unexpected fault and promoted the foreign investment to be successful from the beginning. In addition, recently, the studies of newly enacted ?Investment Law? of Mongolia are rare and required to determine insufficiencies newly enacted ?Investment Law? of Mongolia, and therefore need to make comparative study of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Investment Law? of Mongoli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ork is to study the environment of foreign investment law in both countries respectively and to determine the features and improvements to the ?Investment Law? of Mongolia.

      • KCI등재
      • KCI등재

        각국의 화학물질관리제도의 시행과 우리의 대응방안 - 중국의 신화법을 중심으로 -

        배정생 ( Bae Jaeng-saeng ),강문경 ( Kang Moon-ky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3

        As the awarenes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s increasing, such phenomena can also be found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trade. Along with the EU’s REACH which entered into force since June, 2007, the regulation of chemicals is undergoing rapid changes worldwide. Following the EU, Japan has also recently amended the “Act on Evaluation of Chemicals and Systems”, thereby strengthening the review process of chemical substances. Also, the amendment of the U.S’s Toxic Substances Control Act and Taiwanese adoption of licensing system of new chemical substances, which is to be entered into force in June 2011, are major changes that will substantially influence internationally. China’s Department of Environment Protection announced its adoption of the Act on Management of New Chemical Substances on October 15, 2003. This Act designates those chemical substances, which has not been already registered under the list of chemical substances that has either been imported or manufactured within China, as new chemical substances. It also requires both manufacturers and importers to register new chemical substances whil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e or before importing. Under the China’s aforementioned Act, new substances which has been imported or produced within China are classified into certain level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chemical substances or risks. These chemicals are managed by regulating on notification, evaluatio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procedures. Therefore, while either producers or importers must fulfill the registration process, currently the degree of recognition by Korean corporations is still at the low level compared to EU’s REACH. Now, China is the largest export market for Korean chemical corporations so that the changes in regulation of chemical substances in China will significantly influence the export volume of Korean corporations. Therefore, the government, in joint conjunction with academics, should not only promote and educate those exporting corporations of this regulation, and also find out supporting means in practice.

      • KCI등재

        < 프랑스 지역학 언어학 > : 나토의 코소보 사태에 대한 무력간섭의 합법성

        배정생(Jaeng Saeng Bae) 한국프랑스학회 200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33 No.-

        Notre etude a pour but de poursuivre 1`volution de la doctrine sur 1`intervention humanitaire en droit international et d`analyser la lgitimit de 1`intervention militaire de 1`Organisation du Traits de 1`Atlantique Nard(OTAN) au Kosovo, plus particulirement de frappes ariennes contre la Republic de Yougoslavie face la situation au Kosovo. Cette etude est constiturse de deux parties. La premiere partie(section 1) porte sur 1`volution et le dbat concernant 1`interventian humanitaire depuis lpoque du droit international classique jusqu` nas fours. Compte tenu de la multiplication de la notion et de la ncessit de 1`intervention humanitaire face la crise au Kosovo, il nous a sembl opportun de faire une mise au paint quant aux bases juridiques et aux problemes de I`intervention humanitaire. Nous aeons ensuite, dans la deuxime partie(seation 2), analyst la legitimites de I`intervention militaire de I$quot;OTAN au xegarde du droit international. Au tours des dernicres annes, le Conseil de scurit des Nations Unies a autorists, plusieurs reprises, le recours la force en vertu du chapitre V1I de la Charte des Nations Unies afro de proteger la population en danger. D`autres actions militaires collectives contre un Etat ont eu lieu en dehors du cadre fix par la Charte. I1 en est de meme pour 1`intervention militaire de 1`OTAN au Iosovo. Les frappes ariennes perptres contre le territoire de la Yougoslavie constitue une violation du paragraphe 4 de Particle 2 de la Charte des Nations Unies. En ce qu`elle viole la rgle du non-recours a force, consacre par la Charte des Nations Unies, 1`intervention de I`OTAN est contraire tant la lettre qu`a 1`esprit de celle-ci, et ne justiFie gu8re par 1`interprtation extensive de certaines de ses dispositions. Ainsi, la Charte des Nations Unies et le droit international positif ne semblent pas prwoir spcifiquement le droit d`intervention humanitaire camme une exception la rgle du non-recours la farce. La ma,iorit de la doctrine s`est prononcrse dons ce sens. De plus, le recours 1`intervention humanitaire, en tout tat de cause, nest pas valable, du fait des modalits illicites des bombardements ariens et les cnoyens mis en oeuvre par les membres de 1`OTAN stint extremement disproportianns par rapport aux buts de cette action militaire. Sans une resolution du Conseil de scurit autorisant spcifiquement 1`emploi de la force arme, 1$quot;OTAN n`a pas mandat pour intervenir militairement au Kasovo. En conclusion. ses frappes aeriennes cantre la Republic fedrale de Yougoslavie sont illicites au regard du droit international.

      • KCI등재

        Mega FTA와 양자간 FTA의 환경챕터 분석

        전용일(Young Il Jeon),배정생(Jaeng Saeng BAE)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9 No.-

        TPP 협정은 총 3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환경챕터는 제20장에 속해 있다. TPP는 가장 발전된 규범을 지향하는바, 기존 FTA에 있던 조항이 보다 구체화 혹은 개선되고, 진일보한 새로운 조항이 추가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그중 환경챕터가 그러한 예라고 할 수 있다. TPP 환경챕터는 높은 수준의 환경보호 내용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신(新)환경이슈로서 선박으로부터 해양환경 오염예방, 침입외래 생물종의 통제, 야생동물의 불법밀매, 불법 벌목, 불법 어업 방지 및 해양생태계 보존, 오존층 보호 와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통한 기후변화 문제까지 독려하고 있다. 높은 수준의 FTA 환경챕터를 갖고 있는 한국은 향후 환경협상에서 의무가 담보되는 강행성 있는 규정의 삽입과 녹색신기술의 수출이 가능하도록 협상을 이끌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가장 발전된 규범형태인 TPP환경챕터와 한국이 기존에 맺은 FTA 환경협정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적절한 대응방안을 찾는 작업은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특히 한국이 기체결한 FTA중 가장 높은 수준의 환경챕터를 담고 있는 한-미FTA와 개도국의 입장에서 다소 소극적인 환경챕터를 담고 있는 한-중FTA를 비교분석해보는 것은 향후 성공적인 환경관련 협상을 이끄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세 규정의 비교분석 후 한국에게 유리한 환경챕터 구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대응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국들은 우선 환경관련 규정을 별도의 장(chapter)으로 구성할 것인지, 협력의 장 또는 전문에 선언적인 형태로 규정할 것인지를 정해야 하는데, 우리 입장에서는 높은 수준의 환경보호기준과 녹색환경기술 수출을 위해 별도의 환경챕터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둘째로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도입을 관철시킬 필요가 있다. 경제정책과 환경정책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고, 환경영향평가제도는 개별 국가별로 너무도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어, 이를 조화롭게 통일된 형태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환경협상 시 절차적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하는 절차적 규정 도입을 관철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TPP 환경챕터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가지 절차적 투명성과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RCEP 등에도 도입되어야 한다. TPP agreement consists of a total of 30 chapters, this chapter of the environment is part of the Chapter 20. TPP oriented the most advanced norms a we can find easily that provisions embodied in the existing FTA are more concrete or improved, and one step further provisions are added Among the TPP chapters, environment chapter can be called such examples. TPP environment chapter contains a high leve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new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from ship pollution, Invasive Alien Species control, wildlife illicit trafficking, illegal logging, illegal fishing protection and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protection of the ozone layer and Transition to a Low Emissions and Resilient Economy change. South Korea, which has a high level of environmental chapter of the FTA, should lead the negotiation with the insertion of obligatory regulations to be enforced and the export of green technologies. For this purpose, the work of deriving policy implications and appropriate response measur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chapter in the TPP to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FTA environmental agreements is very meaningful. Especial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KORUS with the highest level of environmental chapter to the South Korea – China FTA with a somewhat negative environment chapter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countries will be a great help in successful environment-related negotiations Afte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provisions, the policy implications and response measures to constitute favorable environmental chapter to Sou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Partners should choose whether environmental provisions regulate in a separate chapter (chapter) or in the declaration form on preamble or in a chapter of cooperation. and in our view it is advantageous to configure a separate environmental chapter for a high level of environmental standards and green environmental technology export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tick to the int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conomic policy and environmental policy has a close connection, and there i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ducted in so many forms for each individual country, so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o a unified harmony form. Third, during negotiations it is necessary to stick to introducing procedural provisions to ensure the procedural transparency and fairness. For this purpose, the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improving the various procedural transparency and fairness dealing with the environment chapter in the TPP should be introduced even RCEP back.

      • KCI등재

        나고야의정서(ABS) 시행 이후 중국 관련법제 및 향후 정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

        강문경 ( Moon Kyung Kang ),배정생 ( Jaeng Saeng Ba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2 No.4

        지난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제 10차 회의에서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에 대한 공유(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에 대한 의정서가 통과되었다. 나고야의정서라고도 불리는 동 의정서는 생물자원을 활용하며 생기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지침을 담은 국제협약이다. 따라서 국내 유전자원이 아닌 타국 유전자원을 통하여 제품을 개발할 경우 유전자원을 가진 제공국에 허락을 받아야 하며, 신제품 개발에 성공해 이익을 얻을 경우 이를 제공국과 나누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각국은 동 의정서의 발효를 앞두고 그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여 왔다. 우리나라는 2013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여, 국내 유전자원의 관리와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국가 중 하나로서 유전자원의 주요 제공국이기도 하다. 이에 중국은 나고야의정서의 시행을 앞두고 2008년 특허법을 개정 및 생물유전자원관리조례의 제정 등 관련법제 완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제약 산업 분야에서 중국과 전통지식을 공유하고 중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자원을 수입하여 왔다. 따라서 우루과이가 50번째 국가로 비준서를 유엔에 기탁함에 따라 90일 후인 오는 2014년 10월 12일 동 의정서의 발효가 예고되어 있는 가운데 나고야의정서에 대한 중국의 관련 법제 및 향후 정책은 우리 산업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함께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was passed at the tenth assembly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held in Nagoya, Japan in October, 2010. Called Nagoya Protocol on ABS, the protocol is an international convention with a set of guidelines to share benefits from the utiliz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As a result, when developing a product with genetic resources of other countries, one must get an approval from those countries. When obtaining benefits from a successful new product development, the benefits must be shared with those countries. Nations around the world had contemplated over countermeasures against the protocol before it came into effect. South Korea enacted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investing efforts into the management and research of its own genetic resources.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richest biodiversity, China is a major country to provide genetic resources. With the upcoming enforcement of Nagoya Protocol on ABS, it has made preparations, revising special acts and spurring the enactment of Ordinance on the Management of Biological and Genetic Resources. South Korea has traditionally shared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China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imported large amounts of resources from it. As Uruguay became the 50th nation that entrusted its instrument of ratification to UN, Nagoya Protocol on ABS will come into effect in 90 days on October 12, 2014. China`s laws and future policies related to Nagoya Protocol on ABS are expected to have direct influences on the industries of South Korea, which calls for thorough analysis efforts and active search for countermeasures.

      • KCI등재

        한·중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에 대한 공유 (ABS)관련 법제에 대한 비교연구

        강문경(Kang Moon Kyung),배정생(Bae Jaeng Sae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3 No.-

        인류의 공통유산으로 인식되던 생물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주권이 강화되면서 지난 1993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유전자의 이용과 보전에 대한 국제규율인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이 발효되었다. 동 협약의 목적은 첫째, 생물다양성의 보존, 둘째, 그 구성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 셋째, 생물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이다. 이 중 마지막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제10차 당사국 총회에서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에 대한 공유(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에 대한 의정서가 채택되어 2014년 10월 12일 정식으로 발효되었다. 이에 각국은 동 의정서의 발효 이후 그 대응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2008년 특허법을 개정하여 특허권 취득과 관련한 부분에서 유전자원의 취득과 원산지출처에 대해 명시할 것을 규정하고 있고, 현재 나고야의정서와 관련된 전문규정을 제정하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고, 뒤이어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제정하여 2013년 2월 2일 동시에 시행하였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근접하여 많은 양의 유전자원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으며, 유전자원에 대한 광범위한 전통지식 또한 중국과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동 의정서와 관련된 주요 상대국중 하나는 중국임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중 양국의 ABS법제에 대해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ABS법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As state sovereignty had been reinforced for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considered as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ame into effect in 1993 as an international regulation on the pre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of genes. The goals of the Convention include preserving biological diversity, ensuring the sustainable utilization of its components, and the fair and impartial sharing of profits generated from the uses of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Held to fulfill the last goal in Nagoya, Japan in 2010, the 10th Conference of the Parties of the Convention adopted 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hereinafter Nagoya Protocol), which came into effect on October 12, 2014. Nations around the world are taking great pains to prepare measures for the Protocol that will soon come into effect. China revised the Patent Act in 2008 and stipulated that the acquisition and origin of genetic resources should be explicitly stated in relation to patent rights and is currently having discussions to set full regulations with regard to the Nagoya Protocol. South Korea enacted “Act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in 2012 and Enforcement Ordinance for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later and implemented both of them on February 2, 2013. Adjacent to China, South Korea imports a large amount of genetic resources from it and shares a broad range of conventional knowledge about them with it. It is naturally anticipated that China will be one of South Korea’s major partners in relation to the Nagoya Protocol after it comes into effect, which is why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ABS act and system and promote their understanding.

      • KCI등재

        각국의 화학물질 관리법제의 시행과 우리의 대응

        강문경(Kang Moon Kyung),배정생(Bae Jaeng Sae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41 No.-

        최근 환경보호에 대한 의식이 점차 높아지면서, 통상무역 분야에도 그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급속한 과학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로 환경오염이 손꼽히고, 화학물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향후 각국은 지금 보다 더 적극적으로 환경 규제와 이슈에 대해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국가경제의 대부분을 수출에 의존하고 있고, 그중 화학 관련 제품의 비중이 높은 경우, 상대국의 관련 법규와 절차를 더 철저히 숙지해야 함은 물론이다. 2007년 6월 EU가 REACH규정을 발효한 이래로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과 같은 문제에 각국이 관련 법 규정을 제·개정하며 화학물질관리제도 관련법안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이미 많은 국가들이 관련제도를 시행중에 있다. 한편, 대만의 경우 2009년 6월 기존의 『노공안전위생법』 (Labor Safety and Health Act, LSHA, 勞工安全衛生法)을 개정하여 기존화학물질목록에 등재되지 않은 신규물질은 유해성 위해성 평가 보고서를 제출하여 승인되지 않으면 제조, 수입 및 판매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수출품목 중 화학제품이 차지하는 규모에 비하여, 각국 화학물질 관리제도에 대한 폭 넓은 이해도와 함께 우리 산업계의 낮은 인식도가 여전히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와 기업은 경제개발과 환경보호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려는 세계화의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법의 재정비와 함께, 각국의 환경무역장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The recently increas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s gaining its momentum in trade and commerce, too. With the rapid scientific advancements and social changes, mankind has faced a number of urgent issues in the 21st century, and one of them i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 the regulation of chemicals has been reinforc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n a situation of having to respond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ssues more actively than now. Especially countries like South Korea that depend on exports for most of national economy and have a high percentage of chemical-related products naturally need to be more thorough with the concerned laws and procedures of their trade partner countries. Following EUs announcement of REACH regulation in June, 2007, each country across the world has enacted and revised laws and regulations on such issues as chemical contamination and accelerated their efforts to set up measures for chemical management systems. Many countries are already running concerned systems. Taiwan revised the Labor Safety and Health Act(LSHA) in June, 2009, asking companies to submit an evaluation report of the harmfulness and risk of new matters not registered in the old chemicals list and prohibiting the manufacture, import and sales of the ones not approved. It is still considered as a huge problem for the chemicals industry of South Korea to lack a broad understanding of chemicals management systems around the world and have a low perception of them, given the proportion of chemicals in the exports of the nation. Both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thus need to keep up with the global trend of continuous advancements in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rearranging the domestic laws and making active responses to the environmental trade obstacles of each nation.

      • KCI등재

        생물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 국제규범과 각국의 대응법제에 관한 연구

        전용일(Yong-il, Jeon),배정생(Bae Jaeng Sae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4 No.-

        생물유전자원은 지난 오랜 세월 동안 ‘인류의 공동유산’으로 인식되어 자유롭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생물유전자원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면서 이에 대한 상업적 이용을 통한 국익을 창출하려는 많은 국가가 생겨나면서 생물유전자원을 이용한 기술개발과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2010년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된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는 생물유전자원, 즉 유전의 기능적 단위를 포함하는 식물?동물?미생물 또는 그 밖의 기원의 물질 중 실제적 또는 잠재적 가치가 있는 유전물질 또는 유전자원과 관련된 전통지식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PIC(Prior Informed Consent, 사전통보승인)에 의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러한 유전자원을 이용해 발생한 이익에 대해서는 사전에 체결한 MAT(Mutually Agreed Terms, 상호합의조건)에 따라 유전자원이용국과 유전자원제공국이 공유를 해야 하는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유전자원이 풍부한 제공국은 주로 개발도상국가인 반면,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상업화할 기술은 주로 선진국에 있는 게 현실이다. 나고야의정서가 이상으로 삼고 있는 유전자원에 대한 이익공유가 잘 이행된다면 개발도상국의 수입이 증대되고, 기술이전이 이루어져 빈곤문제가 해결되고, 지구촌 빈부격차의 문제가 어느 정도는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나고야의정서 여러 규정들은 불명확성와 모호성을 갖고 있어 유전자원 제공국들과 이용국들 사이에서 규정에 대한 해석차가 크고 이로 인한 당사국간의 이행과 관련하여 상당한 갈등이 예상되고 있다.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had been recognized as a ‘common heritage of humanity’ during the last years, so that we could be available by free access. 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value of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is highly appreciated many countries that make a national interest through the commercial utilization of this technology are emerging so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industry using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develops rapidly. Nagoya Protocol on access and benefit sharing of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adopted by the 10th Conference of the Partie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in 2010 regulates that if you want to use the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or genetic material that has actual or potential value among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that is, the plant?the animal?the microbial or other originated material containing functional units of heredity, this access should be made by the PIC(Prior Informed Consent), and for the profit generated by using the genetic resources, the Country Using Genetic Resources and the Country Providing Genetic Resources should share this benefit in accordance with MAT(Mutually Agreed Terms) concluded in advance. On the other hand while genetic resource-rich countries are mainly developing countries, the technology to commercialize genetic resources are mainly in the developed countries realistically. If the benefit-sharing on genetic resources Nagoya Protocol regards as its ideal is better implementation, profits and incomes of developing countries is increasing, the poverty is being solved through the technology transfer and the problem of the global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seems to be resolved to some extent. However, the Nagoya Protocol provisions contain uncertainty and ambiguity so it is expected that there is a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 of rules between the Countries Using Genetic Resources and the Countries Providing Genetic Resources and so with respect to the implementation significant conflict happens.

      • KCI등재

        일본의 화학물질관리법제에 대한 고찰

        전용일(Jeon Yong-il),배정생(Bae Jaeng Sae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41 No.-

        화학물질의 유통·사용량 증가에 따른 사람의 건강 및 환경 위해성을 예방·저감하고 자국 내 화학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2007년 EU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 (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의 도입을 필두로 기존의 화학물질관리법제를 전면 개편하는 움직임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런 움직임 속에 일본 역시 자국의 화학물질관리법제를 전면적으로 개편하였다. 일본의 화학물질관리심사 및 제조 등의 규제에 관한 법은 화학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초래되는 인체건강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산업용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에 대한 사전 평가 및 관리를 규정한 세계 최초의 화학물질 관리 법제라 할 수 있다. 이후 1986년과 2003년 각각 본법에 대한 소폭 개정이 있었고, 2009년 3차 개정의 경우에는 유렵연합의 REACH규정의 영향을 받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추기 위해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 2009년 3차 개정 화심법은 기존 화학물질을 포함한 포괄적 관리제도 및 우선평가화학물질제도의 도입·실시, 유해성중심의 독성심사에서 위해성 중심의 심사로 전환, 국제적 동향을 고려한 심사 규제체계의 합리성 확보, 국가 주도형의 우선평가물질 심사제도 및 저우려 고분자(Low Concern Polymer)에 대한 면제제도의 도입 등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 세 차례에 걸친 개정을 통해 화심법은 보다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게 진화했으며,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자국의 화학물질관리제도를 강화시키는 한편 국제무대에서 화학산업분야에서의 경제적·기술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따라서 개정 화심법 시행은 국내 화학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무엇보다 기존화학물질을 포함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해 수입하는 수량에 따라 신고서 제출 의무를 이행해야 하며, 1톤 이상 제품을 일본에 수출할 때 관련제품의 물질정보제공에 따른 상당한 비용부담이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로 인해 관련 제품의 원가 인상으로 제품 단가가 높아져 자료보유(안전유해성 자료 등) 업체(선진국 글로벌 기업)와의 경쟁력에서 밀릴 것으로 예상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화학물질관리에 대한 국제적인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유해화확물질관리법의 전부개정(화학물질관리법으로 제명 변경)과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이하, 화평법)이 제정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다(2015.1.1.시행). 특히 화평법은 EU의 REACH 규정과 상당한 유사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화학물질관리에 대한 국제적인 동향을 반영하여 제정한 법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일본의 화심법 역시 EU의 REACH 규정과 상당한 유사성을 띠고 있는 만큼, 우리의 화평법 제정·시행과 일본의 개정 화심법 시행사이에는 큰 연결고리를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인식하여 일본의 화심법을 비롯한 각국의 강화된 화학물질관리법제의 경쟁적 도입이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It’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oday chemical substances take a leading place in daily life, having a enormous impact on our life. Chemical substances also have ambivalence. that is, chemical substances such as medicine, pesticides enable us to live a rich and convenient life, whereas hazardous toxic in chemical substances causes severe damage and harm to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Thus a precautionary chemicals management to reduce the bad effect of the process of using chemicals is requir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which is a comprehensive system for the regulation of all chemicals throughout Europe, Japan revised “the Act on the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Regulation of Their Manufacture, etc” in May 2009. The most important point this revision(amendment) is the introduction of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existing chemical substances and application to precautionary principle in the field of chemical substances management. The Republic of Korea has also joint this trend. the Assembly passed the “Act on the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s” known as “Korea REACH” on April 30th, 2013. It is supposed to come into force on January 1st, 2015. This law is very similar to European Union’s REACH and so called Japan’s REACH. In this situation, our government and corporations should take essential and significant actions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hemical industry and protect influx of hazardous toxic chemical substances from outside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