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인간 평등이념과 근대 인도의 신불교운동

        배상환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7 No.-

        이 글은 근대 인도사회를 평등이념에 근거하여 조망하고, 나아가 근대 인도사회의 달리트 운동과 신불교운동을 통하여 인간 평등이념을 알아보았다. 근대시기 인도에 도입된 서구의 평등이란 개념은 고질적인 사회적 패악으로 남아있는 카스트제도를 부정하는 사회개혁운동의 이념적 매개가 되었다. 따라서 카스트 서열이동이나 문화개작과 같은 사회변화의 중심에 산스크리트화, 박티운동 그리고 달리트운동 등이 일어났다. 이 중에서 달리트운동은 하층계급 및 힌두 사회구조 안에 들어가지 못하는 불가촉천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더욱이 인도의 독립을 전후로 하여 불가촉천민에 대한 사회적 위상은 간디와 암베드카르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갈등을 낳게 되었다. 불가촉천민을 신의 아들로 인정하고 힌두 사회의 공동체 구성원으로 인정하고자 하였던 간디는 불가촉천민의 지위 향상에 어느 정도 영향을 가져왔지만, 힌두 사회의 평등권을 구현하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암베드카르는 힌두사회 내부에서 불가촉천민의 사회적 평등권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깨닫고 급진적 달리트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불교를 통하여 진정한 평등사회를 이룩하고자 하였다. 이에 필자는 신불교운동의 토대로 간주되는 여러 가지 달리트운동을 조망하였고, 특히 불가촉천민의 정체성을 문제 삼아 전개되었던 아디운동과 반카스트운동 및 반브라흐만의 형태를 견지하는 달리트운동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달리트운동에 영향을 받은 암베드카르가 불교로 개종한 이후 신불교운동을 어떻게 전개하였는지를 논의하였다. 더 나아가 신불교운동을 통하여 불가촉천민의 정치․경제․사회적 평등권의 획득을 주장했던 암베드카르의 사상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근대 인도사회에서 전개된 신불교운동의 사상적 원형에 주목하여 실제 신불교운동의 이념적 성향이 근대 서구사상가들 중 존 듀이와 볼테르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음을 탐구하였다. 특히 신불교운동이 문헌학적 연구를 통해 불교사상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전통적 불교를 왜곡했다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한계를 명시하였다. 따라서 신불교운동은 근대 서구사상의 토대 위에 불교적 사상이 가미되어 전개된 사회개혁운동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view of modern Indian society to compare with the human equal ideology and in addition, take a view of Neo-Buddhist movement of modern Indian society on the basis of equality from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viewpoint. The concept of equality, which was introduced to India in the modern age, became the ideological medium of social revolution movement, denying caste system, which has been a chronic social problem. Therefore, there were social changes such as cultural adaptation and there was a new recognition change about the untouchable, who could not belong to Hindu social structure. The social statuses of the untouchable, who suffered from inhuman treatment, caused new interpretation and conflict around Gandhi and Ambedkar. Especially, the effort of Gandhi to admit the untouchable as the sons of God and admit them as the community members of Hindu society was not helpful for improving the ranks of the untouchable. On the contrary, Ambedkar recognized that it was impossible to realize social equalities of the untouchable inside Hindu society and displayed radical dalit movement. I discussed how Ambedkar, who recognized that the caste can't be removed in Hindu society, asserted the justification of Buddhist conversion. In addition, I researched the thought of Ambedkar, who asserted that the untouchable should acquir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equality through Neo-Buddhist movement. I observed that modern western thought occupy important position in the ideological trend of Neo-Buddhist movement after concentrating to philosophical model of Neo-Buddhist movement displayed in modern Indian society. Ambedkar, who experienced western education, was affected by a lot of modern western philosophers. Among them, John Dewey and Voltaire gave the greatest effects to him. Although Neo-Buddhist movement shows the trend that it is close to Buddhist philosophy through literature study, it has a weak point that it is not free from the criticism that it distorted traditional Buddhism. Therefore, I reach the conclusion that Neo-Buddhist movement is a social revolution movement, which was displayed through the medium of western thought, in which Buddhist thought was a little bit diluted.

      • ESCO Special - 에너지절약 건축물의 효율적 프로젝트 수행방안과 사례

        배상환,Bae, Sang-Hwan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2013 esco Vol.84 No.-

        최근 공동주택의 에너지저감을 위한 노력들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제로에너지 공동주택과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기술적용이 필수적이고, 비용 상승을 수반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효율적인 프로젝트 수행프로세스 및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특히 경제성을 고려한 요소기술의 적용은 저에너지 건축물 활성화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고에서는 저에너지 친환경 건축물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서 'IPD프로세스'를 고찰하고, 그린홈플러스 실험주택 건설사례를 통해 활용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설일체유부의 불상응행법과 그 변형

        배상환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8 No.-

        이 글은 설일체유부와 유가행파의 불상응행법에 대한 고찰이다. 유부의 불상응행법은 초기불교 오온설의 개념 중에 행온과 십이처 중의 법처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또한 불상응행법은 유부가 오위법 체계, 즉 색법․심법․심소법․불상응행법․무위법 등의 교학체계를 완성하게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오위 체계에 있어 유부가 특히 관심을 표명하는 것이 불상응행법이다. 왜냐하면 불상응행법은 물질과 정신세계에 속하는 법의 분류 체계가 아니라, 색법과 심․심소법을 떠난 물리적 현상세계의 실체적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무형의 세력적인 존재가 일체 현상에 형성됨을 불상응행법을 통하여 유부는 설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불상응행법은 유부의 독창적인 교설로 인정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여러 유부 논서 중에 상세하게 표출되고 있다. 더욱이 유부의 불상응행법은 유가행파의 논서에 계승되어 비실체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견해가 도출되었다. 유부는 법체실유의 입장에서 불상응행법을 실유적 관점에서 논구하였던 것에 반하여 유가행파는 불상응행법은 색법, 심법, 그리고 심소법 상에 일시적으로 나타난 가립적 존재에 불과하다고 여기고 있다. 필자는 먼저 유부의 여러 논서를 통하여 불상응행법의 개념적 정의를 개관하였다. 또한 전․후기 유부 논서를 통하여 대체로 14종의 불상응행법이 주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음을 논구하였다. 특히 14종의 불상응행법에 대한 각각의 해석을 입아비달마론 을 주요 텍스트로 삼아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이후 유부의 불상응행법에 대한 경량부의 비판과 유가행파의 24종의 불상응행법에 대한 비실체적 견해를 현양성교론 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ittaviprayukta-saṃskāradharma (hereafter it called as CS) in the school of Sarvāstivāda and Yogacara. CS was acknowledged as an original theory of Sarvāstivāda; thereafter this dharma appeared in the texts of Yogacara. The CS developed highly from the concept of samskāraskanda and twelve āyatana of early Buddhism, and more this concept established as a category of five classes dharma. Therefore Sarvāstivāda accomplished a system of their five class’s dharma theory by the CS together with rūpa dharma, citta dharma, cetasika dharma and asaṃskrta dharma. Especially Sarvāstivāda watches with deep concern about the concept of CS in the five class’s dharma. The reason is that CS apart from cases governed by the material and mental phenomena, it indicate an attribute the change in the actual state. As it were Sarvāstivāda demonstrated the formation of power in every dharma through CS. First of all I survey a notion of CS out of several text of Sarvāstivāda. Actually CS has the various forms through the Sarvāstivāda's texts, and then the fourteen forms of substantial CS take the main form. So I survey the fourteen forms of CS from the text of Abhidharmāvatāra sāstra (入阿毗達磨論). Thereafter I inquire the criticism of Sautrāntika about the CS and more study the twenty-four non-substantial CS revealed the text of Prakaranaryavaca sāstra (顯揚聖敎論).

      • KCI등재

        서구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의 수용과 인도 불교학의 성립

        배상환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4 No.-

        본 논문은 언어학과 해석학을 통하여 형성된 서구 불교문헌학의 연구 방법론과 이를 통하여 형성되고 발전한 인도불교학의 성립을 살펴보았다. 서구 불교문헌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필사본 연구와 번역이며 다른 것은 필사본 연구를 통하여 형성된 철학사적 연구이다. 서구에서 필사본 연구와 번역은 19세기에 접어들어서야 가능해 졌고, 그 중심에는 뷔르누프가 있다. 그는 당시 생소한 산스크리트 사본과 팔리어 사본을 문헌학적 연구 방법론을 통하여 비교함으로서 실질적인 서구 불교학의 창안을 이루어 냈다. 뷔르누프 이후 수많은 서구 불교학자들이 출현하게 되는데, 그 중에는 서구 유럽을 대표하는 리즈 데이비드, 레비, 뿌생, 프르찔루스키 등이 주목된다. 문헌학적 연구와 비교하여 철학사적 연구 방법론을 주도한 학자는 세나르와 올덴베르그가 있다. 세나르의 연구방법은 불교의 중심 주제들을 신화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고, 반면 올덴베르그 철저하게 역사적, 사실적 관점에서 불교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 두 학자의 연구방법론을 통하여 서구의 근대불교학에서 많은 철학사적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막스 뮐러, 로젠베르그, 체르바츠키 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서구문헌학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인도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전개를 살펴보았다. 서구불교학의 근간이 산스크리트와 팔리어 필사본을 채집하고 편집하는 문헌학적 연구에 국한되었다면, 인도 근대불교학은 제역대조 교정본에 근거하여 텍스트의 교정연구에 보다 비중이 주어졌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또한 인도 근대불교학이 지역적인 특색을 가지고 서구불교학을 수용하였다는 것을 동인도, 서인도, 북인도, 남인도로 구분하여 각 지역의 불교학 연구 성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서구 불교문헌학에 토대를 둔 인도 근대불교학은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여 서구 불교학이 이룩한 성과보다 교리적, 지역적, 철학적, 예술적 범주로 확대되었음을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figure of modern Buddhist study focusing on the western scholars, who have left representative study results in the field of Buddhist philology. In addition, it’s another purpose was to research the trend and category of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was created through the effect of western Buddhist study. Western Buddhist study was the result of reflecting Buddhist study to philological and linguistic study, which was shown in the view of Orientalism. From another viewpoint, western Buddhist study was created by many dedicated works such as edition and translation of Buddhist text, publication of grammar book, writing of dictionary, reorganization of forgotten past age and creation of knowledge based on experimental verification for several centuries. Western Buddhist study can be explained by two viewpoints. One is philological study and another is philosophical study. For philological study, its decisive motive was prepared through the achievement of Burnouf in 1877. Through his achievement, critical view and comparison between Pali and Sanskrit literature were available in the study of western Buddhist philology. As kinds and volumes of Pali and Sanskrit literatures were enlarged, his successor had no choice but to major only one field or one language from the viewpoint of original text's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Therefore, except several extraordinary scholars, who read Sanskrit, Pali, Chinese and Tibetan sutras extensively, such as Levi, Poussin and Przyluski, the Buddhist scholars of the 19th century should devote themselves to Pali and Sanskrit philology. As a result, western Buddhist study was led to the study on grammar, vocabulary and philosophy naturally through philological methodology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such as nirvana and rebirth as well as the concept of Buddha were heterogeneously reflected to the western society.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showed more matured figure through the philological study achieved by western Buddhist study. From the aspect of study methodology, however, it is hard to deny that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has followed the achievement, which was produced by western Buddhist study for few centuries, as it was. In the other aspect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had the local characteristic, experienced the historical process that it was developed from East and West India and then it was enlarged into North and South India.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was originated from East India, has the meaning that it escaped from the step to adopt philological methodology of western Buddhist study and made Buddhist study as an independent study system.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deducted study achievement by focusing on interpretational study and introduction of Pali and Sanskrit literature, but it has made various efforts to restore original form of Sanskrit from Chinese or Tibetan sutra. And moreover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archived collect & translates Tibetan literature, establish the relation between Indian philosophy and Buddhism and display philosophy of Mahayana Buddhism by enlarging its denotation. In other words, it produced many achievements by enlarging the achievement of western Buddhist philology into doctrinal, regional, philosophical and artistic categ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