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중외팔보 알루미늄폼의 파괴 거동에 관한 연구

        방혜진(Hye-jin Bang),이상교(Sang-kyo Lee),조종두(Chongdu Cho),조재웅(Jae-ung Cho),최해규(Hae-kyu Choi)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Aluminum foam has developed in many commercial fields, especially transport machines division as a kind of porous metal. In this paper, Aluminum foam with the initial crack and closed cell form is used to take the axial load-time graph. It is fabricated with adhesively bonded DCB (Double Cantilever Beam) form and accordance with BS (British Standard) and ISO international standard. Using 10 kN Landmarks of MTS Corporation, 15 ㎜/min velocity of mode I shape is applied to aluminum foam specimen with displacement control method. And ABAQUS 6.10 is used to model and analyze the same model as a three dimension with same condition of experiment. Based on the result of axial load-displacement graph of experiment and image of that included of crack length depended on the time, energy release rate will be calculated and then the model is analyzed with this fracture energy condition.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different force aspec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value and there is not big deformation in aluminum foam while Double Cantilever Beam get the force due to aluminum foam has bigger density and modulus than adhesive. Also, the similar maximum value is calculat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of cohesive element comparing with experiment.

      • KCI등재

        접착제로 접합된 이중외팔보 알루미늄폼의 파괴 거동에 관한 연구

        방혜진(Hye-jin Bang),이상교(Sang-kyo Lee),조종두(Chongdu Cho),조재웅(Jae-ung Cho),최해규(Hae-kyu Choi)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8 No.5

        본 논문에서는 초기균열을 갖고 있는 폐포형 구조, 발포알루미늄의 축방향 기계적 거동을 실험 및 유한요소해석으로 연구하였다. 재료시험에서 MTS 사의 10kN Landmarks 를 사용하여, 모드 I 형상의 15mm/min 의 하중속도로 변위를 제어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 범용프로그램인 ABAQUS 6.10 으로 3 차원 형상의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모델을 구성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축방향 변위-하중 그래프와 시간에 대한 균열 길이를 기반으로 에너지 해방률을 계산하였으며, 이 값을 해석에서 파손 에너지조건으로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변위 값에 따른 하중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포알루미늄이 접착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밀도와 탄성계수를 가지므로 발포알루미늄의 변형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closed-cell aluminum foam with an initial crack was investigated to produce an axial load-time graph. Using the 10-kN Landmarks of MTS Corporation, a 15-mm/min velocity of mode I shape was applied to the aluminum foam specimen using the displacement control method. ABAQUS 6.10 simulation was used to model and analyze the identical model in three dimensions under conditions identical to those of the experiment. The energy release rate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n axial load-displacement graph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nd a transient image of the crack length, and then an FE model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is fracture energy condition. The relation between load and displacement was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he aluminum foam deformed somewhat less than the adhesive layer owing to the difference in elastic modulus.

      • KCI등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유형에 따른 광고모델의 효과 연구

        이세진(Se Jin Lee),정진완(Jin Wan Jung),방혜진(Hye Jin B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88

        기업가의 자발적 기부행위로 시작된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이 마케팅적 효과를 인식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 선의의 자선행위에 머무르지 않고,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자리 잡은 추세이다. 이 연구에서는 CSR활동의 형태 중, 기업에 대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원봉사활동과 공익연계마케팅(CRM)의 광고에서 모델 유형(유명인/일반인)의 차이가 소비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해보았다. 연구결과, CSR유형과 광고모델의 유형이 광고에 대한 태도, 기업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CSR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에 효과적인 광고 모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활동 광고에는 일반인 모델을, 반면 공익연계마 케팅(CRM)의 광고에는 유명인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긍정적 소비자 태도를 형성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SR and the type of advertising endorsers influence CSR advertising effect. In this study, two types of CSR activities were examined, volunteering activity and CRM (Cause-Related Marketing) which are the most common types of CS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SR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vertising endorsers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corporate and purchase intention. Specifically, subjects perceived the volunteering activity advertising more favorably with ordinary person endorsement rather than celebrity endorsement. However, in the case of CRM advertising, celebrity endorsement was more effective. Finally, this study provided strategic implications on how to develop CSR advertising. Limitation of this paper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파래분말을 첨가한 떡볶이 떡의 품질 특성

        정경임(Kyung Im Jung),방혜진(Hye Jin Bang),부효진(Hyo Jin Boo),최영주(Young Ju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5

        본 연구에서는 파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고, 파래분말 0%, 1%, 3% 및 5%를 첨가한 떡볶이 떡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파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04 mg TAE/g과 6.73 mg TAE/g으로 나타났다. 파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 mg/ml 농도에서 각각 19.74%와 81.69%로 나타났다(p<0.05). 떡볶이 떡의 수분함량은 무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과 a값은 파래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b값은 파래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떡볶이 떡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경도와 부착성, 탄력성, 씹힘성 및 파쇄성은 파래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응집성은 3%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무첨가군 및 1% 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파래분말을 첨가한 떡볶이 떡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색과 맛, 조직감은 무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은 1%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무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 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떡볶이 떡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파래는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ot water (EIW) and 80% ethanol (EIE) extracts of Enteromorpha intestinali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dduk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0, 1, 3, and 5%) of Enteromorpha intestinalis powder (EIP).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EIW and EIE extracts were 2.04 and 6.73 mg tannic acid equivalents (TAE)/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IW and EIE were marked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were about 19.74% and 81.69%, respectively, at 10 ㎎/ml.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at 0% EIP (p<0.05). The L value and the a value of Topokkidduk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amounts of EIP increased (p<0.05), but the b value of Topokkidduk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amounts of EIP increased (p<0.05). Hardness, chewi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EIP concentration. The cohesiveness was higher at 3% EI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0% and 1% EIP.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addition of EIP (p<0.05). A sensory evaluation revealed a higher color, texture, and taste of Topokkidduk in groups containing 0% EIP, but the flavor was highest for Topokkidduk with 0% EIP added.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er at 0% EI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0 and 1%.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teromorpha intestinalis has great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health products.

      • KCI등재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대동맥 동맥경화성 플라크 판별에 관한 연구

        조유희(You Hee Cho),방혜진(Hye Jin Bang),박종원(Jong Won Park),조정선(Jung Sun Cho) 대한기계학회 202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6 No.2

        고령층의 사망원인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뇌졸중, 심장질환은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고위험성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의료 영상을 이용한 의료진 판독을 통해서 수행되어야 하지만 판독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의료진에 따라 판독 의견이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의 주요 원인인 대동맥 동맥경화성 플라크 상태를 분류하고 영역을 예측할 수 있는 컨볼루션 오토인코더(convolution autoencoder)와 유넷(U-Net) 모델을 수립하여 판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Stroke and heart disease, which account for a high percentage of the causes of death amongst the elderly population, can occur suddenly leading to death. Hence, early diagnoses and continuous management are required. High-risk diseases should be diagnosed through medical personnel using established medical techniques. However, it is time consuming to decide on a diagnosis or the opinion may differ depending on the medical professional. This study aims to shorten the diagnosis period and provide high accuracy diagnoses by establishing the semi-supervised convolution autoencoder and the U-Net models that can classify aortic atherosclerotic plaque conditions and predict the primary locations for stroke occur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