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룹 기반의 웹 캐쉬 교체 기법

        방지호(Ji-ho Bang),하란(Rhan Ha),차호정(Hojung Cha)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A

        효율적인 웹 캐쉬 교체 알고리즘을 통해 웹 서버와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문서에 대한 응답시간과 지연시간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기존에 연구된 교체 알고리즘 중 LRU-SIZE와 LRU-MIN 기법은 일차적으로 캐슁된 문서의 크기에 따라 교체를 하고 크기가 똑같은 경우에 한해서 LRU를 적용하여 교체를 한다. 그러나 LRU-SIZE와 LRU-MIN에 의해서 캐슁된 문서를 교체를 하면 크기의 차이가 크지 않으면서 자주 요청되는 문서가 교체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캐슁된 문서 크기의 로그화에 따라 구성된 그룹에서 자주 요청되지 않는 문서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로그화를 통해 크기의 차이가 적은 문서들이 같은 그룹으로 설정되어 비교되기 때문에 자주 요청되는 문서들이 크기의 차이가 적은 문서에 의해 교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한 교체 알고리즘이 다른 기법에 비해 높은 hit ratio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 HTTP / 1.1 환경에서 응답시간을 개선한 정적 문서 스케줄링

        방지호(Ji-ho Bang),하란(Rhan Ha)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Ⅲ

        접속이 빈번한 웹사이트들의 서버는 동시에 수백개의 커넥션을 처리해야 하므로 효율적인 커넥션 스케줄링 기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SRPT(Shortest Remaining Processing Time first)를 이용한 커넥션 스케줄링 기법은 가장 짧은 처리시간이 남아있는 커넥션을 먼저 처리함으로써 각 문서에 대한 응답시간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커넥션으로 다수의 정적 문서들을 동시에 요청할 수 있는 HTTP/1.1에서 크기가 다른 다수의 정적 문서들이 요청됐을 때, 각 문서에 대한 응답시간은 빠를 수 있으나 커넥션에 대한 전체 응답시간의 향상은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HTTP/1.1 환경에서 웹 서버의 CPU와 메모리의 부하가 높을 때 발생되는 성능저하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정적 문서 요청에 관한 응답시간을 향상시키는 pipelining 기반의 커넥션 스케줄링 기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서 제안한 커넥션 스케줄링 기법이 전체적으로 커넥션에 대한 빠른 응답시간을 보이고, 스케줄링 윈도우의 사용으로 스케줄링에 공평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소프트웨어 보안약점의 중요도에 대한 정량 평가 기준 연구

        안준선(Joonseon Ahn),방지호(Ji-ho Bang),이은영(Eunyoung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2 No.6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보안 침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생명주기 전체에 걸쳐 보안약점을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계속하여 보고되고 있는 다양한 보안약점들에 대하여 시스템 보안과 실제 활용 목적에 미치는 영향이 큰 보안약점을 선별하여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보안약점 및 보안취약점의 중요성에 대한 기존의 정량 평가 방법론들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뢰도가 중요시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대하여 보안약점의 일반적인 심각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정량 평가 기준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기준을 사용하여 2011 CWE/SANS Top 25 보안약점 명세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존 점수와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평가기준의 유용성을 보이고자 한다. In order to protect a software system from security attacks, it is important to remove the software security weaknesses through the entire life cycle of software development. To remove the software weaknesses more effectively, software weaknesses are prioritized and sorted continuous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existing scoring systems for software weakness and software vulnerability, and propose a new quantitative standard for the scoring system, which helps evaluate the importance of software weakness objectively. We also demonstrate the practicability of the proposed standard by scoring 2011 CWE/SANS Top 25 list with the proposed standard and comparing it to the original score of MITRE.

      •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공정성

        方志豪,河蘭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1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12 No.-

        The popular web site is formed hundreds of connections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for such connections due to be scheduled, efficient connection scheduling techniques is needed. The ancient connection scheduling using SRPT(Shortest Remaining Processing Time first) has improved the response time of connections in HTTP/1.0. But, in HTTP/1.1 clients can request multiple static documents. When multiple static documents are requested in HTTP/1.1, the response time of each static document may be improved by the connection scheduling using SRPT. But, we can't guarantee the response time of total connections to be improved.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pipelining based connection scheduling techniques with better response time in HTTP/1.1. In simulation, we can find the response time of total connections to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