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 발현을 위한 이야기 쓰기 과제 구성 연구

        방은수(Eunsoo Bang)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9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과제 수행 조건을 중심으로 창의성 발현을 위한 이야기 쓰기 과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어과 내에서 창의성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논의의 초점은 학습자가 과제 수행 과정에서 충족해야 하는 과제 수행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적, 언어적 측면에서 창의성과 관습성 간의 관계를 살피고, 이야기 쓰기 과제 구성 원리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야기 쓰기 과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결과:이야기 쓰기 과제 구성 원리를 밝히면, ‘삶의 구체적 맥락을 반영한 서사적 문제 제시’, ‘이야기 쓰기 과정에 관여하는 관습적 요인 파악’, ‘과제 수행 과정에서 충족 요건의 구체화’ 등이 있다. 과제물 분석 결과, 학습자들이 과제 수행 조건을 일정 수준 이상 충족 할수록, 과제 결과물의 완성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내용과 표현 측면에서 참신했다. 결론:과제 수행 조건은 기존의 관습성으로 수렴하지 않으면서, 창의적 과제 수행을 유도하는 방편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앞으로 국어적 창의성 발현을 유도하는 과제 수행 조건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story writing assignment for creativity expression based on performance condition. Method:The focus of the discussion was to establish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learner should fulfill the assignment. To do thi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custom in terms of cognitive and linguistic aspects and suggested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narrative writing assignment. Finally, we presented the actual story writing assignment and analyzed the writing results of learners. Results: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narrative writing assignment, there are ‘presenting narrative problems reflecting the concrete context of life’, ‘identifying customary factors involved in narrative writing process’, and ‘specifying requirements for fulfillment in the task performance process’. As a result, as the learners’ condition of the task fulfilled more than a certain level, not only the completion of the task result was high, but also it was novel in contents and expression. Conclusion:The assignment performance condition can be used as a way to induce creative assignment without converging to conventional custom.

      • KCI등재

        AI 시대의 미래 만들기(Creating Future)를 위한 서사교육의 방향

        방은수 ( Bang Euns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이 연구는 ‘AI 시대에 학습자가 어떤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AI시대를 대비하는 서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서사는 AI 시대에 유토피아적 미래로 나아가는 방향을 탐색할 수 있는 일종의 시뮬레이터이다. 학습자는 허구를 매개로 인물과 사건, 가상의 시공간을 설계하여 AI 시대의 미래를 서사적으로 모의실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래 세대인 학습자가 AI 시대에 만들어 나가야 자신들의 삶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따라서 AI 시대의 미래 만들기 차원에서 서사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AI 시대 교육의 지향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AI 시대의 교육이 사실이나 지식, 기술적 소양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미래 만들기의 수단으로서 서사교육의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사는 삶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AI 시대 미래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뮬레이션하는 삶의 도구이다. 학습자는 서사적 모의실험을 통해 AI 시대에 더 나은 미래 만들기를 전략적으로 기획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AI 시대에 걸맞는 인간적 성장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AI 시대에 미래 만들기를 위한 서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체적 내용을 밝히면,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미래의 딜레마 상황 성찰’, ‘관계적 상상력을 통한 AI와 인류의 공진화 모색’, ‘서사적 상상력을 통한 좋은 삶의 탐색’ 등이 있다. 이미 한국사회에서는 AI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징후들이 포착되고 있다. 분명한 것은 AI 기술이 촉발시킬 사회적 변화와 혼란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앞으로 다가올 AI 시대를 대비한 교육적 논의가 절실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학습자의 학습 역량 및 기술적 소양 강화 중심의 AI 교육에서 벗어나 AI 시대의 미래 만들기에 교육적 접근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narrativ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AI era, focusing on the question consciousness of'What kind of future should learners create in the AI era?' Narrative is a kind of simulator that can explore the direction to a utopian future in the AI era. Learners can narratively simulate the future of the AI era by designing characters, events, and virtual time and space through fiction. In this way, learners, the future generation, can only reflect on their lives when they make it in the AI era.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education in terms of creating the future of the AI era. First, we looked 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AI era. He argued that education in the AI era should go toward reinforcing imagination about the future, not facts, knowledge, or technical literac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education as a means of making the future was discussed. Narrative is a life tool that simulates the future life of the AI era in various ways while securing the continuity of life. Learners can strategically plan to create a better future in the AI era through narrative simulations.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find ways to achieve human growth that fits in the AI era. Finally,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narrative education to create the future in the AI era. Specifically, there are'reflection of future dilemma situations through moral imagination','seeking co-evolution of AI and humanity through relational imagination', and'exploration of excellence in life through narrative imagination'. In Korean society, signs that signal the advent of the AI era are already being spotted. What is clear is that we cannot fully predict the social changes and disruptions that AI technology will trigger. This is wh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educational discussions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AI era. This study can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s an educational approach to creating the future of the AI era, moving away from AI education focused on reinforcing learners' learning capabilities and technical literacy.

      • KCI등재

        초등교사의 문학교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태호 ( Taeho Kim ),방은수 ( Eunsoo Bang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1

        이 논문은 문학교실의 실천적 변화를 이끌기 위해 문학교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초등학교에서 문학교사 논의는 초등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에 요구되는 문학교사 정체성을 논구하였다. 초등학교에서는 문학적 지식보다 문학을 향유하는 태도에 중점을 두고, 통합적 차원에서 문학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문학교사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문학교사 정체성을 갖춘 것으로 추정되는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이 문학교사를 문학에 대한 애정과 이를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교사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초등학교에 문학교사가 거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 원인으로 문학적 경험의 부재, 교육대학에서 실행되는 문학교육의 부실함, 문학을 자본화하는 사회구조적 문제 등을 꼽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앞선 연구를 기반으로 평생교육 차원에서 초등학교에 문학교사를 위치시키기 위한 개인적.제도적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identity of literature teacher in the primary school. The most of primary school teachers don’t have identity of literature teacher. This is a big problem to normaliz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because a teacher is the key of education. So we clarify the need for the identity of literature teacher to primary school teacher. And we carry out a qualitative study targeting teachers who study about literature education periodically. Finally, we suggest an alternative that formate identity of literature teacher to the primary teacher on the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교육적 수용 방향

        방은수 ( Bang¸ Eun-soo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이 연구의 목적은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교육적 수용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남북 간에 우열의 논리를 적용하는 인식적 틀을 문제삼고, 통일시대에 남북한 주민들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서사적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을 밝히면, 이들 작품은 인물 형상 측면에서 경계인의 면모를 드러내며, ‘이주’와 ‘정착’을 반복하는 식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또한 시공간적 측면에서 인물의 삶이 지정학적 조건에 결정적으로 좌우된다. 다음으로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교육적 수용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 결과로서 ‘경계적 의미망에 대한 인식 변화’, ‘다중적 정체성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통일 문학교육의 제재 측면에서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교육적 논의가 활성화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ducational acceptance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is, the cognitive framework that applies the logic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the two Koreas was taken into question, and it was attempted to find a direction in which the residents of the two Koreas could coexist harmoniously in the era of unification. The order of discuss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on North Korean defectors were examined. If the details of the discussion are revealed, these works reveal the aspect of a boundary person in terms of the figure of a person, and the events unfold in a way that repeats ‘migration’ and ‘settlement’. Also, in terms of space and time, the life of a character is decisively influenced by geopolitical conditions. Next, the educational acceptance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was discussed,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changes in perception of borderline semantic networks’ and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multiple identit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콤플렉스 중심의 인물 이해 연구

        방은수 ( Bang¸ Eun-soo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3

        이 연구는 콤플렉스를 중심으로 인물을 이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콤플렉스를 활용한 인물 이해는 교육적으로 몇 가지 의의를 지닐 수 있다. 첫째, 인물의 복잡한 심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인물의 복잡하고 모순적인 면모를 일관된 틀로 이해를 시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둘째, 인물의 콤플렉스 이해는 인물의 삶을 경유하여 자신의 감정을 돌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콤플렉스를 활용한 인물 이해가 심리적 치유의 방편으로 활용될 여지를 지닌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콤플렉스를 주심으로 인물 이해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전개 과정에서 구체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유안의 『뺑덕』을 예시 작품으로 활용하였다. 콤플렉스 중심 인물 이해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면, ‘콤플렉스를 드러내는 심리적·신체적 징후 포착’, ‘콤플렉스를 초래한 심리적 경험에 대한 탐색’, ‘콤플렉스의 의식화를 통한 자기 실현’ 등이 있다.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understand a person with a focus on the complex. First, it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 the complex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addition, it opens the possibility to try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contradictory aspects of the character in a consistent frame. Seco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complex provides an opportunity to take care of one's emotions through the character's life. This suggests th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 using the complex has room to be used as a means of psychological healing. Next, the principle of understanding complex-centered characters was discussed. In order to secure concreteness and validity in the course of the discussion, Bae Yu-an's 『Pepdeok』was used as an example work. Specifically, the principles of understanding complex-centered characters include 'captur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signs that reveal complexes', 'exploring psychological experiences that cause complexes', and 'self-realization through conscious awareness of complex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