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강점기 보통학교 국어교과서의 식민주의 연구 -2기 보통학교국어독본에 수록된 서사물을 중심으로-

        방은수 ( Eun-soo Ba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5 No.-

        본고는 일제강점기 보통학교 국어교과서의 식민주의를 고찰하는 데 그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근대적 지배 방식의 관점에서 2기 보통학교국어 독본의 서사물을 분석했다. 조선 아동에 대한 국어독본의 영향력은 근대적 네트워크의 발달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일제는 국가의 통제 하에 놓이는 근대적 네트워크를 통해 창출된 공공 영역을 장악했다. 이를 통해 일제는 조선 아동의 정신적 조형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특히, 국어독본의 서사물은 조선 아동의 정신을 권력의 통치 이념에 동시적으로 연결하여 동시간적 감각을 공유하는 상상의 공동체를 가능하게 했다. 이 과정에서 식민 권력이 관리하는 ‘공(公)’은 전 사회적으로 확산되어 조선 아동의 정신을 규율하는 기제로 작동했다. 그리고 ‘공’권력에 의한 조선 아동의 규율화 의도는 국어독본의 서사물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그 양상은 시간에 따라 자신의 신체를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신체의 규율화, 전래동화의 전근대적 인물상을 활용한 순종적, 순응적 태도 형성,마지막으로 식민지 경제 체제에 적합한 자본주의 질서의 내면화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일제는 궁극적으로 조선 아동을 식민지 질서를 스스로 유지.재생산하는 주체로 구성해내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closer look at the colonialism of Gugeodokbon’s narratives for primary school in Japanese Colonial Era. Gugeodokbon’s influence came from mordern network development. The mordern network created ‘public area’. The Japanese Empire seized the public area. And then they utilized the area to spread their ideology. The typical case was Gugeodokbon’s narratives. Therefore Gugeodokbon was the JapaneseEmpire’s official network. And the Japanese Empire utilized Gugeodokbon’s narratives as a tool of the discipline power. The Japanese Empire’s intention reflected the Gugeodokbon’s narratives. The Japanese Empire’s disciplining aspect was ‘government of Chosun child’s body baesd on time’, ‘emphasis obedient attitude the pre-mordern character of folk tale’ and ‘internalization of modern capitalism rule’. Through the Gugeodokbon’s narratives, we guess that the Japanese Empire reconstitution Chosun children as a colonial subject.

      • KCI등재

        콤플렉스 중심의 인물 이해 연구

        방은수 ( Bang¸ Eun-soo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3

        이 연구는 콤플렉스를 중심으로 인물을 이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콤플렉스를 활용한 인물 이해는 교육적으로 몇 가지 의의를 지닐 수 있다. 첫째, 인물의 복잡한 심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인물의 복잡하고 모순적인 면모를 일관된 틀로 이해를 시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둘째, 인물의 콤플렉스 이해는 인물의 삶을 경유하여 자신의 감정을 돌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콤플렉스를 활용한 인물 이해가 심리적 치유의 방편으로 활용될 여지를 지닌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콤플렉스를 주심으로 인물 이해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전개 과정에서 구체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유안의 『뺑덕』을 예시 작품으로 활용하였다. 콤플렉스 중심 인물 이해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면, ‘콤플렉스를 드러내는 심리적·신체적 징후 포착’, ‘콤플렉스를 초래한 심리적 경험에 대한 탐색’, ‘콤플렉스의 의식화를 통한 자기 실현’ 등이 있다.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understand a person with a focus on the complex. First, it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 the complex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addition, it opens the possibility to try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contradictory aspects of the character in a consistent frame. Seco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complex provides an opportunity to take care of one's emotions through the character's life. This suggests th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 using the complex has room to be used as a means of psychological healing. Next, the principle of understanding complex-centered characters was discussed. In order to secure concreteness and validity in the course of the discussion, Bae Yu-an's 『Pepdeok』was used as an example work. Specifically, the principles of understanding complex-centered characters include 'captur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signs that reveal complexes', 'exploring psychological experiences that cause complexes', and 'self-realization through conscious awareness of complexes'.

      • KCI등재

        뇌과학적 관점에서 한글교육의 적기에 관한 연구

        방은수 ( Bang Eun-so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0 No.79

        그동안 조기 한글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그럼에도 한글교육의 적기에 대한 논의가 학문적 탐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는 뇌과학적 관점에서 한글교육의 적기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한글교육의 시기가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뇌과학적 관점에서 읽기 학습에 따른 뇌의 신경생리학적 변화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뇌과학적 관점에서 한글교육의 적기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원칙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한글교육의 적기는 ‘신경병리적 증상 없이 한글을 안전하게 배울 수 있는 시기’, ‘한글교육이 지적 기능의 발달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기’, ‘한글교육에 동반된 정서적, 인지적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기’로 제시하였다. 향후 한글교육의 적기에 논의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right time for Hangeul education from a brainscience perspective. First, by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ing of Hangeul education influenced learning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Next, we discussed the neurophysiological changes in the brain following learning to read. Finally, from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I would like to present a standard or principle to judge the right time for Hangeul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best time for Hangeul education is 'a time when Hangeul can be provided without neuropathological symptoms', 'a time when Hangeul education can have good intellectual function development', and 'a time to minimize the emotional and cognitive burden associated with Hangeul education'. We hope that discussions will be activated in a timely manner for Hangeu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동화 텍스트 분석 연구 - 탈식민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

        방은수 ( Bang Eun-s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59

        이 연구에서는 탈식민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동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서가 한국 사회의 다문화현상에 대해 균형 잡힌 관점을 드러내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2007·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동화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작품 속에서 외국인 및 다문화 아동의 재현 방식, 이들을 대하는 한국인의 태도, 정서, 말, 행동 등을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과 유색인 간의 비대칭적 관계’, ‘백인에 친화적인 한국인의 태도’, ‘저항의지가 소거된 이주 외국인 및 다문화 아동’, ‘자본주의 사회에 뒤쳐진 이주 노동자에 대한 온정주의’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과서 수록 다문화 관련 동화에서는 다소 미약한 형태의 탈식민주의적 의식을 보여주는 작품도 있었지만, 이주외국인 및 다문화아동의 인권 감수성을 섬세하게 고려하지 못한 측면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viewpoint of postcolonialism, we analyzed the multicultural - related fairy tale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In this process, the fairy tale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revised in 2007 and 2009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attitudes, emotions, words, and behaviors of the Koreans who deal with foreigners and mixed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and colorists’, ‘the attitude of Koreans who are friendly to white’, and ‘consideration and compassion for migrant workers behind capitalist soc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are some works showing the decolonial consciousness in a rather weak form in the collection of the textbooks in the multiculturalism.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discrimination according to race is repeated unintentionally

      • KCI등재후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동시문학

        방은수(Bang, Eun-soo) 한국아동문학학회 202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0

        이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동시문학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감염병이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조명하였다. 그 결과, 포스트코로나 시대는 기존과 결이 다른 완전히 새로운 시대이며, 코로나19 이후의 세계에서는 부정적 사회상이 확대되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포스트코로나 시대는 신인류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으며, 이들을 코로나키즈(Corona Kids)로 명명하였다. 코로나키즈의 세대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키즈는 유소년기에 타인과 직접 대면에 대해 부담감을 가진 세대이다. 둘째, 코로나 키즈는 언택트 문화의 세례를 받은 본격적인 세대가 될 것이다. 셋째, 코로나 이후의 세계에서 아동은 과거의 경험을 가지고 미래를 살 수 없는 최초의 세대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코로나 시대에 대한 동시문학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 아동문학 잡지에 수록된 코로나19 관련 동시이다. 분석의 초점은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하여 동시가 제기하는 물음과 아동에게 전하려는 메시지의 내용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잃어버린 일상의 회복에 대한 희망’, ‘관계 단절로 인한 내면의 고립감’, ‘코로나19 위기에 대한 성찰’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ildren’s poetry literature of the Post-corona era. First, the infectious diseases was illuminated in the post-corona which was exist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t-corona era is a completely new era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and that negative social images may expand and appear in the world after Corona19. And the Post-corona era predicts the birth of a new human race, and they were named as Corona Kids.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Corona Kids are as follows. First, Corona Kids is a generation that felt burden with face-to-face with others during childhood. Second, Corona Kids will be a full-fledged generation who has been baptized by the untact culture. Third, in the Post-corona world, children may be the first generations who cannot live the future with their past experiences. Further more, this research looked at the phenomenon of simultaneous literature in the Corona era. the target of the analysis is the simultaneous cases related to Corona19 in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s. the focus of the analysis is on the questions posed at the same time in relation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content of the message to be conveyed to children. If this research look at the specific contents, ‘hope for the recovery of lost daily life’, ‘inner sense of isolation due to severance of relationship’, ‘reflection on the COVID-19 crisis’, etc.

      • KCI등재후보

        1970년대 베트남전쟁 동화에서 참전 군인 형상 연구

        방은수(Bang, Eun-soo) 한국아동문학학회 201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4

        이 연구는 아동문학에서 베트남전쟁이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를 탐색해 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이에 따라 국가 권력의 베트남전쟁 담론과 관계망 속에서 1970년대 베트남전쟁 동화의 참전 군인 형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 권력의 지배 담론이 아동문학 작품에서 참전 군인의 형상에 투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군묘지의 뻐꾸기』에서는 민족주의적 부채 의식을 상기시키는 전사자로서, 『개나리의 여행』과 『장군의 꿈』에서는 기독교적 반공 의식을 무장한 한국군으로, 『하노이에서 온 아이』에서는 베트남 아동에 대한 시혜자로서의 따이한으로 형상화되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이들 베트남전쟁 동화가 국가 권력의 전쟁 담론과 영향 관계 속에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intention of exploring how the Vietnam War has been represented in children’s literature. Using the discourse on state power during the Vietnam War, we analyzed the figuration of the war soldiers of the Vietnam War Donghwa of the 1970s. From this analysis, we confirmed that the dominant discourse on state power is reflected in the images of soldiers in children’s literature. In “국군묘지의 뻐꾸기,” Korean soldiers reminisced about a national sense of debt, and in “개나리의 여행” and “장군의 꿈,” the Korean army was armed with Christian anti-communism sentiment. In “하노이에서 온 아이,” the children of Vietnam were embellished with a desire for hope. From this analysis, we demonstrated that the discourse on the impact of war on state power was reproduced in the Vietnam War Donghwa.

      • KCI등재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교육적 수용 방향

        방은수 ( Bang¸ Eun-soo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이 연구의 목적은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교육적 수용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남북 간에 우열의 논리를 적용하는 인식적 틀을 문제삼고, 통일시대에 남북한 주민들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서사적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을 밝히면, 이들 작품은 인물 형상 측면에서 경계인의 면모를 드러내며, ‘이주’와 ‘정착’을 반복하는 식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또한 시공간적 측면에서 인물의 삶이 지정학적 조건에 결정적으로 좌우된다. 다음으로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교육적 수용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 결과로서 ‘경계적 의미망에 대한 인식 변화’, ‘다중적 정체성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통일 문학교육의 제재 측면에서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교육적 논의가 활성화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ducational acceptance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is, the cognitive framework that applies the logic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the two Koreas was taken into question, and it was attempted to find a direction in which the residents of the two Koreas could coexist harmoniously in the era of unification. The order of discuss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on North Korean defectors were examined. If the details of the discussion are revealed, these works reveal the aspect of a boundary person in terms of the figure of a person, and the events unfold in a way that repeats ‘migration’ and ‘settlement’. Also, in terms of space and time, the life of a character is decisively influenced by geopolitical conditions. Next, the educational acceptance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was discussed,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changes in perception of borderline semantic networks’ and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multiple identit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인물 구성 중심 서사적 모의실험 교육 연구

        방은수 ( Bang Eun-so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6

        이 연구의 목적은 인물 구성 중심 서사적 모의실험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서사 창작 과정에서 인물 구성은 캐릭터 육성 게임과 유사하다. 플레이어가 캐릭터를 보다 나은 존재로 만드는 것처럼, 주체는 서사 창작 과정에서 인물을 어떤 모습으로 발전, 변화, 성장시켜나가는 지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서사적 모의실험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서사적 모의실험은 이야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상적 사고실험으로서 일종의 시뮬레이션이다. 인물 구성 과정에 서사적 모의실험을 활용하면, 인물의 여러 가능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전문 작가의 창작 노트와 소설을 분석하여 인물 구성 중심 서사적 모의실험 원리를 도출하였다. 이 원리로는 ‘인물에 대해 삶의 스타일 부여’, ‘삶의 맥락에 대한 미시적인 설정’, ‘인물의 배역에서 플롯으로의 전이’ 등이 있다. 이를 토대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밝히면, ‘익숙한 인물에 대한 경험적 정보의 차용’, ‘서사적 분기점 설정’, ‘과정드라마를 통한 인물 삶의 극화’ 등 이다. 본 연구는 서사 창작 과정에서 인물 지도 방안을 구체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과 관련한 인지과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서사 교육 연구 방법론을 확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 method of narrative simulation based on character construction. To do this, we first clarify the meaning of the character construc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notes and novels of professional writers, the principle of narrative composition based on characters is presented. Lastly, I proposed a teaching method of narrative simulation for a character construction. It is important for the subject to develop, change, and grow the character in the process of narrative writing. To do this narrative simulations need to be introduced. The narrative simulation is a kind of simulation as a hypothetical thinking experiment in narrative form. Using narrative simulations in the process of character construction, learners can explore various possibilities of a person in various ways. In this process, learners can acquire a model of life that can provide guidance in real life.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characterization of narrative guidance in narrative creation process. And expanded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education research using the results of cognitive science research related to simulation.

      • KCI등재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은유 교육 연구

        방은수 ( Bang Eun-soo ),김상한 ( Kim Sang-ha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8

        이 연구의 목적은 광고 텍스트를 활용하여 은유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통적 관점에서 은유는 시적·수사적 기법으로 논의되었다. 하지만 현대로 올수록 은유는 인간의 인식과 밀접하게 결부된다. 또한 현대 사회의 매체 환경은 다양한 형식의 은유적 표현을 견인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은유에 대한 이론적 변화를 검토하고, 광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은유 교육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인지언어학 및 인지과학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은유적 사고와 작용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은유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 이에 따른 교육 방안 및 실제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방안으로는 ‘광고 텍스트에서 은유적 구조화 과정 추론하기’, ‘동일한 사회적 문제를 중심으로 은유적 표현 비교하기’, ‘은유적 표현의 적절성 평가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광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은유 교육의 외연 확장을 본격적으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은유적 표현물을 대상으로 은유 교육 연구가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theoretical changes of metaphor and try to search metaphorical education methods based on advertising tex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science, metaphorical thinking and its working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Based on this research, we explored the direction of metaphorical education using advertising text, and presented the educational plan and the actual practice accordingly. As a concrete educational plan, we proposed 'Inferring the metaphorical structuring process in advertising texts', 'Comparing metaphorical expressions based on the same social problems', and 'Evaluating appropriateness of metaphorical express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tried to expand the scope of metaphorical education centered on advertising texts in earnest.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study of metaphorical education will be active in various forms of metaphorical expression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