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에 관한 연구 2 -기호구성체로서의 국가 이미지

        방교영 ( Gyo Young Bang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2 No.-

        This study is the second report among the three-phased research on Russia`s national image, the image on the nation, its people and the government held in Korean mind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o study images on Russia, the theoretical grounds to qualitatively define ethnic culture were propos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categories of responses that enable respondents to differentiate a nation`s exclusive image: 5 categories based on brand theories (people, government, culture, travel and products). These categories would be investigated and interpreted with another 5 criteria based on Hofstede (friendship, submissiveness, masculinity, toughness and collectivism). In general, Russian people and government have negative national image. It is believed to have a history riddled with Cold war and communism, oppressive and heartless cold image. The history of oppressiveness and coldness is overlapped with the outdated image of the traditional Russian society to make Russia be deeply engraved in the minds of Korean as a society that is cynical and cold, and has the legacy of socialism. In the eyes of Korean, the people of Russia are not submissive, but have a masculine and even collective image. The high rate of aggressiveness, adventurousness and toughness did not create the image of a strong and reliable man and culture, but the one that is similar to men`s ruggedness. But, Russian culture has highly sophisticated aspect and its products have natural image. The cultural and sightseeing history of Russia is not overlapped with the outdated image of the traditional Russian society. A nation`s image is not defined by its people and government, but by the others` imagination. In other words, it is the image reflected in the eyes of the others. By studying Russia as a model, this paper explores how a country develops ``identity as its image`` to make itself known in a specific market. Russia`s national image, and the image of its people, culture, travel sites, products and the government have almost failed to communicate and promote the history, tradition, ideology, friendship, family and social values, democracy and equality that Russians have desired to guard and protect. They need to be better communicated for due recognition outside the nation.

      • KCI등재

        영미 개인주의 커뮤니케이션의 러시아적 이해

        방교영 ( Gyo Young Ba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3 No.2

        이 연구의 핵심 문제는 영어표현의 민속학적 차원을 드러내는 것이다. 영어는 개인주의에 근거한 소유권, 자유주의, 경험주의, 자기관리의 표현을 가지며 이는 앵글로색슨 문화의 저변으로부터 구성된 족적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언어 반영론적인 시각을 가지지 않는다. 단지 역사적인 시각만을 지닌다. 즉 영어표현에 민족성이 나타난다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세계를 이끌고 있는 사회 경제사적인 철학으로서 개인주의가 여러 가지 개념을 통해 언어표현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는 사실만을 기술하는 것이다. 기술의 방법으로는 비교를 통한다. 개인주의적 의미를 드러내는 영어표현을 40여개 추출하여 이를 러시아어를 통해 비교분석 기술한다. 개인주의는 러시아어와 같이 장기간 집단주의의 철학을 가진 언어와 비교할 때 그 면모가 두드러질 것이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영미의 개인주의 표현은 자체의 독립된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언어로 번역은 가능하지만, 러시아의 표현속에서 상응하는 용어를 찾는 것은 불가능한 차원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영어의 개인주의적 표현은 세계화와 맞물린 시대적인 표현으로서, 앵글로색슨 문화를 그려주는 동시에 자체적인 문화를 드러내는 민속적인 표현이라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이는 세계화를 통하여 보편적인 현상인 듯이 퍼져나가는 영어의 표현이 결국 보편화할 수 없는 민속적 언어라는 사실을 확인해 주는 것이다. The central problematic of this paper is the revelation of some cultural aspects of English, ownership, liberalism, empiricism and self control, deriving from the individualism, and based substantially upon an Anglo-saxon culture and tradition. The paper has supplemented the expressions used only by English speakers in comparing with various resources of Russian culture, as well some asian examples and arguments from the linguistic arguments. The English expressions used and analyzed here are linked, in complex dimension, of problems associated with this culture, not the ethnological or anthropological nature that would be understood as a mirror in linguistic level. These expressions are posed throughout as means of indicating individualism to dominant modes of World economy. Ownership is particularly important here in its history and social spectrum, individualism is most tightly bound up with other concepts like liberalism, empiricism and self-control. Individualism can be crystallized as a sustained meditation upon ownership``s contemporary problem: that of the globalization; and in this sense to speak of individualism is to speak of the problem of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y. The Anglo-saxon model, formalized by this, and operative in both culture and society, implies both a kind of ethnographical form that organizes world history today. These epistemological assumptions have clear political ramifications, contributing to an abstract diagram of economic power. The critique of this model calls for a philosophy of multiculturalism constitutionally opposed to all transcendent powers.

      • KCI등재

        러시아 국가 이미지에 관한 연구: 20~30대 한국 여성을 중심으로

        방교영 ( Gyo Young B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1 슬라브연구 Vol.27 No.4

        본 논문은 20~30대 한국 여성이 바라보는 러시아 국가, 국민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민족문화의 범주를 질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응답자가 국가의 이미지를 배타적으로 구별, 응답할 수 있는 범주를 찾았다. 브랜드 이론에 근거한 5범주(역사, 언어, 사회, 가족, 종교)와 호프슈테더의 문화적 토대인 5범주(우정, 순종성, 남성성, 강인성, 집단성)를 기준으로 했다. 연구결과, 한국 여성에게 러시아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다. 이들은 러시아의 역사가 전쟁과 공산주의로 점철되고 있었다고 판단하며, 러시아가 채택했던 공산주의 체제의 이미지를 강압과 냉혹함의 이미지와 함께 투영하고 있다. 러시아는 소련의 아류로서 냉소적이고, 차가우며, 공산주의의 지배력이 아직도 잔재한 사회로 한국 여성의 뇌리에 각인되어 있다. 접촉성 혹은 소통 가능성의 측면을 측정하는 러시아 국민에 대한 이미지 또한 부정적인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가족에 대한 이미지로서는 다양한 단어가 추출되었으며, 러시아 국민에 대한 긍정과 부정이 반반(48% vs 52%) 정도 우정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반면, 나머지 이미지로서 러시아의 과거 냉전 이미지로 러시아 국민들마저 판단하고 있다. 한국 20~30대 여성들에게 러시아는 ``경직``, ``강압``, ``폐쇄``, ``차가움``, ``냉혹``, ``무서움``의 이미지이다. 이와 같은 자유 민주사회 VS 폐쇄 공산사회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를 20~30대 한국 여성은 극복하지 못한다. 과거로부터 만들어진 이미지는 20~30대 한국 여성에게 순종적이지 못한 남성, 집단의 이미지로 러시아를 바라보게 한다. 이와 같이 피상적 소통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20~30대 한국 여성에게 부정적이지만, 이들에게 러시아는 확증하기는 어려운 불확실한 이미지로서 존재한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국가의 이미지는 고정적이지 않고 변화한다. 국가의 이미지는 국가 스스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에 의해 규정되는 ``남의 눈에 비친 이미지``다. 본 연구는 러시아를 모델로 삼아 한 국가가 특정 시장에 나아가 자신을 각인하는 데서 ``이미지로서의 정체성``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가를 탐구했다.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among the three-phased research on Russia`s national image, the image on the nation, its people and the government held in the minds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o study the image on Russia, the theoretical grounds to qualitatively define ethnic culture were propos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categories of responses that enable respondents to differentiate a nation`s exclusive image: 5 categories based on brand theories (history, language, society, family and religion); another 5 categories based on Hofstede (friendship, submissiveness, masculinity, toughness and collectivism); 3 basic categories for the image of a government (foreign policy, government 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general, Russia has negative national image. It is believed to have the history riddled with wars and socialism, and socialism projects oppressive and heartless cold image. The history of oppressiveness and coldness is overlapped with the outdated image of the traditional Russian society to make Russia be deeply engraved in the minds of Korean women as a society that is cynical and cold, and has the legacy of socialism. In the eyes of Korean women, the people of Russia are not submissive, but have a masculine and even collective image. The high rate of aggressiveness, adventurousness and toughness did not create the image of a strong and reliable man, but the one that is similar to men`s ruggedness. At this time when the Russian government celebrates its 2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it is still viewed by Korean women as a non-democratic, unequal and hierarchic govern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a government represents its people in a modern society, the Russian government represents 50% percent of the image of its people held by Korean women, but suspicion remains on the representativeness. A nation`s image is not defined by its people and government, but by the others. In other words, it is the image reflected in the eyes of the others. By studying Russia as a model, this paper explores how a country develops ``identity as its image`` to make itself known in a specific market. Russia`s national image, and the image of its people and the government have almost failed to communicate and promote the history, tradition, ideology, friendship, family and social values, democracy and equality that Russians have desired to guard and protect. They need to be better communicated for due recognition outside th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