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설정보 분류체계 활용도 측정을 통한 분류체계 활성화 방안

        박환표,이재섭,Park, Hwan-Pyo,Lee, Jae-Seob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5 No.6

        최근, 산업구조는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제조산업에서 정보서비스 중심의 산업으로 산업구조의 중심이 소프트하고, 고부가가치의 지식경제사회로 급격히 전환하고 있다. 건설산업도 점차 대형화, 복잡화됨으로써 건설정보화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ulcorner$건설정보 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lrcorner$ 를 추진하여 2001년 5월에 실무적용을 위한 대 $\cdot$ 중분류 등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적용기준' 을 건설교통부 공고로 2001년 8월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기 구축된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는 건설공사에서 실무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을 분석해 보면, 새로운 표준화체계로 추진하기에는 기존의 체계를 변화시키기 어렵고, 잘 개발된 정보표준화의 홍보가 부족하고, 법적 인 구속력이 미약하여 그 적용이 미흡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 발주처의 정보분류체계의 인식부족 및 활용분야의 인식부족으로, 그 실무 활용성이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각 주체가 건설관리 분야에서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건설업무 활용도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그 활용도가 미약한 것으로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관리 분야에서 각 업무의 정보분류체계 활용도 측정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기 구축된$\ulcorner$정보분류체계$\lrcorner$의 각 파셋이 각 업무단계에서 어느 정도 활용되는 지를 분석하였고,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Both public and private have invested to establish and operate construction CALS, construction management (CM),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CIC), and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EVMS). A standar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is essential to operate the systems mentioned above. Therefore, Korean government released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ICICS) in 2001. However, the ICICS is not widely used in construction due to: 1) difficulty of changing existing system, 2) insufficient publicity of the ICICS, and 3) no legal binding force. Especially, participants in construction do not recognize applicability of the ICICS. This research surveyed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he ICICS. This survey includes both customized classification systems used by companies and the ICICS and investigates the degree of utilization and drawbacks. The results show some construction companies use their own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others use the ICICS prepared by the government. Furthermore, the degree of recognition is in sufficient. The degree of use in design management, specifications, cost and schedule management is very limited. The publicity and education are critical to induce the utilization of the ICICS. The necessity of revision was recommended based on pilot project study that is performed to measure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ICICS on the projects.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the measurement model for information application and analyzes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the ICICS in different phases of construction.

      • KCI등재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박환표,신은영,이교선,Park, Hwan-Pyo,Shin, Eun-Young,Lee, Kyo-S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6

        The engineering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is 70$\sim$80% of advanced countries. And Korean' companies fall behind China and South-East Asia in a competitive price. Recently, there are increased the amount of overseas order received in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But, there is not enough the supporting policy of gover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throughout benchmarking support system of overseas construction in advanced companies. Such research was obtained through business trip & consultation with related specialists for the difficulties of domestic companies in advancing into overseas market. This research provided governmental plans to advance into overseas market. First, this research provided assurance system and connected plan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t) in construction. Second, this research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overseas marketing survey and overseas construction marketing center. Third, this research provided the support system of bidding information and the training system of professionals. 우리 건설기업의 기술경쟁력은 선진국의 70$\sim$80%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고, 저임금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중국 동남아 등 후발국가와는 가격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국면에 처해있다. 최근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수주액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정부의 실효성있는 지원정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 건설기업의 해외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해외건설업계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선진국의 해외건설 지원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해외건설 지원체계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건설금융 및 보험지원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건설공사 보증지원방안과 공적개발원조의 건설공사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해외시장개척 활동강화를 위하여, 해외시장조사 확대방안과 해외건설 무역관 설립, 신 비지니모델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해외건설 전문인력 및 기술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해외건설 수주정보 지원방안과 해외건설사업의 전문인력 양성방안, 해외건설협력 체계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의 대외경쟁력 저하원인 분석을 통한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

        박환표,조문영,상훈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5 No.6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field is less than 3~5% of the gross construction cost, but engineering's role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performance of final facility is decided in the engineering stage.Nevertheless, before now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are more concentrated on construction works than making strateg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investment in construction engineering sectors.Therefore this research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throughout analytic method 'SWOT' to those developing countries, which are potential big market objects, such as Russia, Libya and Indonesia. Such research was obtained through business trip & consultation with related specialists for the difficulties of domestic companies in advancing into overseas market.Moreover this research have analyzed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and reason for competitiveness weaken by various aspects, it provides governmental and private plans to advance into overseas market. Especially, to strengthen domestic companies into advancing overseas market, it has suggested that tax & subsidy privileges, supporting plans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overseas and strategic coopera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 KCI등재

        건설엔지니어링업체의 기술경쟁력 강화방안

        박환표,이교선,지상욱,상훈,Park Hwan Pyo,Lee Kyo Sun,Ji Sang Wuk,Park Sang H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3 No.3

        엔지니어링의 비용은 공사비의 $3{\~}5{\%}$ 차지하나, 최종 사업목적물의 성능이 결정되는 단계인 만큼 사업초기단계에서 엔지니어링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설계기술력을 선진국과 비교할 때, 계획단계 및 기본 실시설계, 시공단계는 각각 $63\%$, $66\%$, $73\%$로써, 사업초기단계로 갈수록 선진국의 기술수준보다 낙후되어 있다. 특히, 국내 설계기술력은 정부 및 업체의 기술개발에 대한 인식부족과 불확실한 결과 등의 이유로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엔지니어링 분야의 해외진출 실적은 매우 미미하며, 국내 대형국책건설사업에 선진외국의 유사기술을 반복적으로 도입하고서도 고유기술화 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초기단계에 필요한 기획 및 설계기술을 향상시킴으로 국민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고품질의 생활기반을 제공하고, 나아가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우리나라의 특화된 엔지니어링 기술을 수출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시장개방 및 세계의 통합화 추세 등 급속한 경제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설계분야의 기술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st of Engineering is composed of the $3{\~}5{\%}$ of total cost of construction. It is important the role of engineering in the first stage of the business. But, it was not more the technical level of domestic design stage than advanced state. Expecially, it was because of the cognition lack and unreliable results about technical development. The result of that, it was lacking to the draw results of foreign countries. And it was to waste national budget through overlapped adopting of similar technologies from abroad that few projects are performed as their original plan. Therefore, the research is proposed to the intensification plan of technical competitive strength in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y to cope with the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 KCI등재

        건설기술인력의 수급효율화 방안 연구

        박환표,지상욱,이교선,상훈,Park Hwan-Pyo,Ji Sang-Wuk,Lee Kyo-Sun,Park Sang-H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3 No.3

        국내외 건설규모가 축소됨에 따라 건설기술인력의 신규 인력채용기피 및 수급상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대학졸업자의 취업이 극히 어려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대학졸업자의 취업률이 $35\%$미만으로 나타나는 등 건설기술인력의 실업대책이 중요한 사안으로 부상하였으나, 건설기술인력의 과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이 미흡하였다. 또한 대학졸업자의 교육성과에 있어서도 다양화, 첨단화되고 있는 건설산업 현장에서의 수요에도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2003{\~}2008$년간의 건설기술인력의 수급예측을 하였고, 과잉공급된 건설기술인력의 수급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SOC 투자확대, 미취업 건설기술인력의 IT분야 유도, 해외진출 확대 등 건설기술인력의 고용창출방안과 더불어, 건설관련 학과의 탄력적 운영, 기업수요에 대응한 대학교육 등 양적 질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건설기술 과잉인력의 수급대책을 마련하였다. University graduates from construction-related departments are undergoing serious difficulties in getting a job as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luctant to employ new personnel due to the depress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has been downscaled in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In the situation is like this, statistic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among the university graduates is less than $25\%$, the unemployment problem in the construction sector has started to demand urgent countermeasures. This report anticipated demand and supply for technical man power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in between 2002-2008. For preparation of an effectiveness of supply and demand plan on over-supplied in construction technical man power, this suggested expansion of SOC investment, induced into IT field of unemployed construction manpower, enlargement of overseas construction manpower And this considered an elastic operation of curriculum related to construction, and arranged an excess supply and demand of construction technical manpower,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education that will meet with demand of enterprise, etc. on both side of quantity and quality simultaneously.

      • KCI등재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국제 유가와 해외건설 수주액의 상관성 분석

        박환표 한국건축시공학회 2024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국제유가와 국내외 해외건설 수주액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20년간 국제유가 통계데이터와 국내 건설업체와 글로벌 해외건설기업의 해외건설 신규수주액 자료를 토대로 두 변수간의 상관계수(R)와 P-vaule 값을 산출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건설 수주액과 국제유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국제유가는 해외건설 수주액과의 상관계수가 0.8 이상이기 때문에 상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제유가와 Top 250 글로벌 해외건설기업의 신규수주액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6으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제유가의 변동에 따른 해외건설수주액 증감에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아시아 지역과 중동지역의 해외건설 수주액의 상관계수가 매우 높았고, 산업설비와 건축의 해외건설 수주액의 상관계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플랜트의 발주물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 유가변동에 대응하고, 해외건설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출전략을 제안하였다. 주요 방안으로는 다양한 지역 및 공급처 확보방안, 환율 변동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헤지기법을 활용하는 리스크 관리방안, 현지화된 인프라와 현지 시장에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지 파트너십 구축과 현지 인력 확보방안과 건설 현장에서의 기술 혁신과 디지털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해외진출 전략은 유가 변동에 대응하여 해외 건설시장에서의 위험을 줄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ternational oil price fluctuations on overseas constructionorders secured by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e analysis employs statistical data spanning thepast 20 years, encompassing international oil prices, overseas construction orders from domestic firms,and new overseas construction orders from the top 250 global construction companies. The correlationbetween these variables is assessed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s(R), determination coefficients(R2),and p-values. The results indicate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overseas construction orde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omestic overseas constructionorders and oil prices is found to be 0.8 or higher, signifying a significant influence. Similarly, a highcorrelation coefficient of 0.76 is observed between oil prices and new orders from leading globalconstruction companies. Further analysis reveals a particular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oil pricesand overseas construction orders in Asia and the Middle East, potentially due to the prevalence ofoil-related projects in these regions. Additionally, a high correlation is observed between oil prices andorders for industrial facilities compared to architectural projects. This suggests an increase in plantconstruction volumes driven by fluctuations in oil pri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anentry strategy for navigating oil price volatility and maintaining competitiveness in the overseasconstruction market. Key recommendations include diversifying project locations and supplier bases;utilizing hedging techniques for exchange rate risk management, adapting to local infrastructure andmarket conditions, establishing local partnerships and securing skilled local labor, implementing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digitization at construction sites to enhance productivity and costreducti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study, coupled with the proposed overseas expansionstrategies, offer valuable guidance for mitigating risks in the global construction market and fosteringresilience in response to international oil price fluctuations.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competitiveness of domestic and foreign construction firms seeking success in the international arena.

      • KCI등재

        건설신기술의 현장활용 저해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박환표,배병윤,Park, Hwan Pyo,Bae, Byung Yun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3 No.4

        The incorporation of innovative technology systems into domestic construction practices has catalyzed an organic evolution of the industry, significantly enhancing the level of domestic construction technology and intensifying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the on-site implementation of these groundbreaking construction technologies has proven effective in diminishing construction costs and accelerating project timelines. Nevertheless, despite a period of 33 years since the inception of this new construction technology system, both the volume of designated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on construction sites remain static. As a consequence, this study introduces a strategic plan to dissect and overcome the barriers faced in the adoption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y across a multitude of sectors. The chief outcomes encompass the inception of a new construction technology utilization surveillance system, an assessment of distinct technologies, refinement of the post-evaluation system, and the creation of a new technology market system. This systematic enhancement is anticipated to foste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within the industry.

      • KCI등재

        건설R&D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박환표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0 No.3

        In 1994, Korean constr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received investments amounting to 1.2billion KRW, an amount that rose to 164.8 billion KRW in 2007. Under the current system, construction researchers submit the application records of Constr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 construction projects to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Th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R&D projects has thus been dependent on the subjective reporting of the results by the researchers themselves.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secure confidence in the records of Constr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measures for revitalizing Constr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analyzed approaches to cost-saving in Constr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analyzed economic effectiveness in the results of construction R&D. 건설R&D 사업은 1994년에 12억원으로 시작하여 2007년에는 1,648억원을 투자하였다. 그동안 연구개발자는 연구성과 실적을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에 제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건설R&D성과 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건설R&D사업 성과실적이 연구자의 주관적인 분석결과와 보고자료에 의존함으로써 건설R&D 성과의 객관성 및 신뢰성 확보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R&D 성과 중 개발기술의 현장적용 비용절감액 분석과 객관적이고 신뢰성있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건설R&D의 현장적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해외건설 진출기업을 위한 기업경기실사지수 평가모델 개발

        박환표,고현아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2 No.3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difficulty in establishing strategies when entering overseasmarkets because they do not have an overseas construction economic sentiment index to refer to fordata on overseas construction prospects. Considering that the fluctuation of overseas constructionorders over the past decade has been substantial and large companies and SMEs are actively advancingoverseas, this study developed an evaluation model for an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sentimentindex to grasp the economic experience of overseas construction companies. In 2021 Korean companiesearned 30.6 billion in overseas construction contracts, 87% the level of the previous year, despitedifficulties such as COVID-19 and low oil prices, thanks to efforts by construction companies tostrengthen their strategies for entry, such as regional diversification, and government support forwinning orders. Since the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fluctuates greatly due to changes in theinternatio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conomic sentiment index ofoverseas construction companies. In particular, despite the increase in overseas expansion of small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and engineering companies, the provision of informationon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sentiment index is insufficient, limiting the establishment ofstrategies for overseas construction expans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overseasconstruction market sentiment index model that can understand the economic sentiment of overseasconstruction companies, provide a forecast for overseas construction, and use it to establish overseasconstruction strategies and policies. 국내 건설기업은 해외건설 경기 체감지수를 통한 해외건설 전망자료가 없어 해외진출 전략 수립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최근 10년간 해외건설수주의 변동 폭은 매우 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적극적으로 해외진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본연구에서는 해외건설기업의 경기체감을 파악할 수 있는 해외건설경기 체감지수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해외건설은 2021년에 코로나-19, 저유가 등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지역 다변화 등 건설업체의 진출전략 강화 노력과 정부의 수주지원 등으로전년대비 87% 수준인 306억 달러를 달성하였다. 이러한 해외건설의 경기는 국제 환경변화에 변동 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해외건설기업의 경기 체감지수를 조사 및 분석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규모의 건설업체와 엔지니어링업체의 해외진출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해외건설경기 체감지수에 대한 정보제공이 미흡하여, 해외건설 진출전략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건설기업의 경기체감을 파악할 수 있는 해외건설경기 체감지수 모델을 개발하고, 해외건설 전망을 제공하여, 해외건설 전략 및 정책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