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객체 검출 성능 개선을 위한 Rotate DCNv2 Attention

        박혁진(Hyeok-Jin Park),정민구(Min-Gu jeong),백장현(Jang-Hyun Baek),신대교(Dae-kyo Shin),장수현(Soo-Hyun Jang)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s generally used to extract features of images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However, CNN uses a fixed convolutional 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loss occurs in long-range dependenc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reduce the loss of long-range dependencies due to fixed convolutional filters and to improve the object detection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 divides the feature map from Feature Pyramid Network (FPN) into three branches. The first branch applies deformable convolution v2 to attention to local information. In the second and third branches, the information of the feature map is maintained using the offset and mask obtained in the first branch, and attention is paid to global information. Finally, by adding the results of all branches, the information of the original feature map is maintained and the long-range dependency is improv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used the MS-COCO 2017 detection dataset. It shows that object dete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when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existing object detection model.

      • SCOPUSKCI등재

        해파리의 특성을 활용한 하수처리장 처리수 내 미량오염물질 제거 기술

        박혁진 ( Hyeok Jin Park ),김은진 ( Eun Jin Kim ),추경실 ( Kyung Sil Choo ),심주은 ( Joo Eun Shim ),여민경 ( Min-kyeong Yeo ) 한국공업화학회 2024 공업화학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자포동물인 보름달물해파리의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추출한 점액물질(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 JEI)을 활용하여 하수처리장 처리수 내 잔존하는 미량오염물질(중금속과 미세플라스틱)의 제거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은 자-테스터(jar-tester)를 이용한 lab 규모와 자체 개발한 관접속형 혼화반응 시스템과 농축일체형 분리장치를 연계한 pilot system 규모의 두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 조건에서 JEI는 기존 음이온 고분자에 비해 미량오염물질 제거효율이 유사하거나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pilot system 규모로 JEI를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두 번의 혼합과정에 의해 JEI와 미량오염물질의 결합이 극대화되고 이로 인해 미량오염물질 제거율이 매우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기술을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생태계 위해성이 적고 무기성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량오염물질 제거 방법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moval of the trace pollutants (heavy metals and microplastics)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by using the 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 (JEI) of Aurelia coerul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o different scales: the lab scale using a Jar-tester and the Pilot system scale equipped with two newly developed devices in the laboratory, the active tube connection mixed system and the concentration integrated separation device. Compared to anionic polymers currently used in the field, JEI showed similar or higher efficiency to remove the trace pollutants. When JEI was added to the effluent through the Pilot system, the combination of JEI and the trace pollutants was maximized through two mixing processes, and as a result, the removal rate of the trace pollutants was greatly improved.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e present technology as an alternative to removing trace pollutants that can reduce ecosystem risk and minimize the generation of inorganic waste, away from the existing method.

      • KCI등재

        프락토올리고당과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오미자청의 품질 특성 연구

        예리 ( Yeri Park ),혁진 ( Hyeok-jin Choi ),최선강 ( Seon-kang Choi ),경철 ( Kyong-cheul Park ),남일 ( Nam Il Park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34 No.0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청 제조에 있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당류 저감 소재를 사용하여 오미자청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오미자와 설탕, 프락토올리고당, 그리고 이소말토올리고당을 함량과 혼합 비율에 따라 다양한 청을 제조하였으며, 제조 후 저장 기간을 2주 간격으로 두어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오미자청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당도, 산도 및 당산비는 저장 기간에 따라 삼투압에 의해 오미자의 과실 내 수분이 용출되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당원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은 설탕과 프락토올리고당을 혼합하여 제조한 오미자청 S7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두 가지 이상의 올리고당을 혼합한 오미자청 S7-S10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설탕으로 제조한 오미자청 S1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오미자청 S2가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설탕과 프락토올리고당을 혼합하여 제조한 오미자청 S7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이소말토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오미자청 S3 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S3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설탕으로 제조한 오미자청 S1이 가장 저해 활성이 나타났지만, 낮은 pH에 대한 안전성을 나타내며 체내효소에 의해 흡수가 되지 않는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사용한 오미자청 S6이 당류 저감에 있어서 가장 실용적인 활용방안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Omija cheong using sugar reducing materials such as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ltooligosaccharide as a sucrose substitute. Sugar content, acidity, and sugar acid ratio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prepared syrup.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prepared Omija cheong. Acidity and sugar ratio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due to the eluting of water from the omija by osmotic pressure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gar source.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Omija cheong S7, prepared by mixing sugar and fructooligosaccharide; in S7-S10 containing two or more sweetners,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the higher the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S1 prepared from sugar, followed by S2 prepared from fructooligosaccharide. The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the highest in S7, prepared by mixing sugar and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lowest in S3, prepared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However, S3 showed the highest value in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bility. S1 Omija cheong prepared from sugar showed the mo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α-glucosidase. S6 which was prepared using isomaltooligosaccharide that is not absorbed by internal enzymes, showed safety even at a low pH, an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method for sugar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