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의사표현 도구로서 건축모형에 관한 연구 -설계과정에서의 건축모형을 중심으로-

        박항섭 ( Hang Sub Park ),이종협 ( Jong Hyub Lee ),한승엽 ( Seung Yeop Ha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6

        창의적 건축설계 및 소통을 위한 표현도구로서, 설계의 단계 중 제작되는 건축모형은 상상력을 통해 각 상황마다 공간의 흐름, 성격, 조형적 의미, 스케일, 가상형상을 검토해 주는 기능과 설계자가 건축주에게 명백한 의사전달수단으로 시각체험을 제공한다. 디자인의 과정과 표현에서 중요한 부분인 모형은 설계과정에서 2차원의 도면과 함께 기획 및 계획과정에서부터 건축물의 완성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설계자의 표현의도에 따라 재료와 스케일에 맞는 표현인식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설계와 불가분의 관계인 표현도구로서 모형은 완성된 건축물의 표현인 프리젠테이션에 치우쳐 설계과정에서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체계적 자료로서 정리되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계단계별 과정 중, 계획안 결정 과정시 제작되는 건축모형을 연구의 범위로 하여 건축모형의 역할, 의의, 표현방법 등을 연구하고 설계단계별 건축모형의 실무적용 현황을 분석하여 이의 내용이 건축모형연구에 학문적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As an expressional medium of creative architecture designs and communications, the architectural model, which is made in the process of design, has a function of reevaluating the spacial flow, character, formativeness, scale and virtual shape in each situation through creative thinking. Also, an architect can use the model as a clear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the owner, and it offers a visualization experience, as well.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sign process and expression, models have been used as a tool of recognition and expression, which fits the material and scale in accordance with the architect`s intentions, in the various phase of the design process, from two-dimensional along with the planning and Schematic process, to the completion of the architecture. However, it is not being organized as an academic or a systematic data in actuality, even though its role in the design process is very important since architectural data is weighted toward presentation, the indivisible expression of the completed architecture. Thu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how the architectural models produced in the blueprint decision process, within the phased design process, are applied in the actual working stages and to utilize the contents as an academic database.

      • KCI등재

        논문 : 현대건축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공간과 공간의 사이영역을 중심으로-

        박항섭 ( Hang Sub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5

        본 연구는 현대건축공간구성에 있어서 정체성이 있고 시대성이 반영된 공간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이공간의 유형을 분류하고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이공간의 유형은 유니트화된 목적공간과 목적공간의 사이영역이 주변환경과 관계하면서 생성된 목적 공간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보충해주는 전이공간 유형 과 가변성을 갖는 전이공간 유형 의 평면분절유형 과 비어진 장소가 적층된 프로그램에 활기를 주는 소통의 공간으로서 열려진 수직광장유형 과 적층된 프로그램 사이의 유동적 프로그램 수용공간 유형 의 단면분절유형 으로 분류된다. 전이공간의 특성은 첫째 움직임과 행위에 의한 장소 사건을 통해 관념화된 장소 분명한 정위를 제공하는 장소를 통해 생성되는 장소성 둘째, 주변을 둘러싼 공간 프로그램과의 상관관계에 의해 생성되는 가변성 셋째 자유로운 공간 표현으로의 이질적 공간에 의해 생성되는 개방성 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공간구성에 있어서 전이공간이 다양한 공간과의 접목을 통하여 창의적 건축 공간 구성의 가능성을 주며 현대건축의 다양하고 다원화 되어 있는 양태를 이해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e transitional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s is to propose a new perspective on how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the diversified and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s.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architectures that inhibit clear illustration of zones of transitional space or those that obscures spatial distinction by interpenetrating mutual spaces when it comes to Architectural Space Composition. Types of the Transitional Space have been categorized into segmented plane types and segmented section types, and it retains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Variability and Openness. Such study presents possibility of creative Architectural Space Composition through grafting of various spaces in Transitional Spaces when it comes to Architectural Space Composition.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건축설계과정에서 건축모형의 중요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승엽 ( Seung Yeop Han ),박항섭 ( Hang Sub Park ),이종협 ( Jong Hyub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건축설계과정 중 건축형태 및 공간재현 도구로서 건축모형이 건축설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무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연구 분석한 논문으로, 건축모형 제작의 이유, 건축모형의 설계과정상의 비중, 건축모형 제작과정에서의 효과적인 표현방법과 재료 등에 대한 1차 주관적 인식 내용의 조사결과를 기초로 이를 객관화 하기위한 정량적 측정방법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화된 지표를 마련하였다. 이는 창의적 건축설계를 위한 실체적 공간인지 과정으로서 건축모형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증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건축설계 교육 시 체계적인 모형교육의 합리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건축설계과정상 건축모형제작의 중요도에 미치는 건축설계 영향요인 분석은 형태와 디자인 개념 도출을 위하여 건축모형이 중요하며 건축모형 제작과정에서의 제작기술과 적정한 재료의 사용 등이 건축설계과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축설계과정에서 건축모형제작이 건축가의 개념과 이를 표현하기 위한 제작의 노하우, 재료의 선택 등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낸다. This thesis examines and analyzes effects that an architectural model has on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question investigation with hands-on staff. It consists of a materialized and objectified index based on subjective survey about the reasons of manufacturing architectural model,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model, effective expressive method and materials of architectural model through quantitative measure.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he necessity and benefit of architectural model as a substantive space for creative architectural design; also, it is to provide a reasonable groundwork for methodical model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nufacturing model on architectural design indicates that architectural model is important for design and concept inducement and production technique and use of proper materials have positive effects on architectural design. It also shows that manufacture of architectural model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refore, an architect`s concepts and know-how and choice of manufacture to express the concepts are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