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산처분과 인적분할에 대한 비교

        박춘광(Park Chun-Gwang) 대한경영학회 2007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1

        본 연구는 국내기업의 자산처분(Sell-offs)과 인적분할(Spin-offs)에 대한 시장반응을 찾기 위하여 이사회결의 일을 공시기준으로 실시한 사건연구(event study)이다. 이를 위해 시장모형(market model)을 사용하여 평균비정상수익률(AAR)과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CAAR)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찾았다. 여기서 자산처분과 인적분할은 기업의 사업축소를 위한 전략이라는 점에서 동일한 목적이다. 하지만 전자는 부채상환을 통한 재무구조개선이나 혹은 신규 사업에 진출하기 위한 준비로서 자산을 처분하여 기업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로 실시되나, 후자는 대부분이 사업의 경영을 전문화하기 위해 사업규모를 축소 조정하는 전략이다. 이와 같은 서로 유사한 국내기업의 사업축소를 위한 조정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찾아봄으로써, 이런 전략들의 실시에 의해 미래 기업에 발생할 이득, 즉 미래의 성과에 대한 기대가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하는 지를 각각 찾아 서로 비교해 보고자 한다. 검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기업의 이사회결의 일을 공시시점으로 한 자산처분과 인적분할에 대한 공시효과는 시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공시 이후의 시장반응은 인적분할에 있어서 공시 이후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찾아 볼 수 있었지만, 자산처분은 유의적인 결과를 찾을 수가 없었다. 셋째, 자산처분 및 인적분할의 시장반응으로 나타난 수익률에 대한 차이를 검정한 결과 사업축소 전략이라는 점에서 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국내기업의 자산처분과 인적분할에 대한 이사회결의 일을 공시시점으로 한 단기적 성과인 공시효과가 시장에 동일하게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국내기업의 사업축소 전략인 자산처분과 인적분할이 기업의 미래가치를 증대시킬 것이라는 기대로 이어지고 이 사실이 시장에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인적분할에 있어서는 공시 이후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찾아 볼 수 있었다. We examine valuation effects on firms that are the subject of asset sell-offs and spin-offs. Methodology is used the market model of the event study. We find the average abnormal returns of 161 days from 10 days before the announcement day to 150 days after the announcement day to use this model. In comparison, announcement day stock return is positive for asset sell-offs and spin-offs. After announcement day, stock returns are significantly positive for spin-offs. Our results suggest share price reactions are positive in response to asset sell-offs and spin-off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인적 분할(Spin-offs)과 공시효과 -인적 분할 이유별 비교-

        박춘광 ( Chun Gwang Park ) 한국금융공학회 2003 금융공학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기업분할제도 중에서 국내 기업이 실시한 인적 분할(Spin-offs)에 대한 공시효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분할회사의 분할원인을 분류하여 세 가지 원인별로 이에 대한 성과를 비교하였다. 이는 동일한 인적 분할이라도 그 원인별로 기업의 사업구조조정 결과가 달리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비교함으로서 그 경제적 의미를 찾기 위함이다. 물론 미국에서는 이미 인적 분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는 인적 분할에 대한 주식시장에서의 그 공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장모형을 사용하여 비정상수익률과 누적비정상수익률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찾기 위하여 표준화된 비정상수익률과 표준화된 누적비정상수익률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인적 분할에 대한 공시효과는 기업가치에 미미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분할 원인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순수하게 기업내의 음(-)의 시너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업집중화 및 업종전문화를 목적으로 실시한 인적 분할만이 그 공시효과가 정(+)의 영향을 크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수한 인적 분할이 기업의 미래가치를 증대시킬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지주회사 설립을 목적으로 실시한 인적 분할과 워크아웃 및 화의 중의 기업이 재무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실시한 인적 분할은 그 표본 수가 매우 적어 이런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새마을금고에 대한 수정 DEA-CCR 모형과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모형과의 기술효율성 비교연구

        박춘광(Chun-Gwang Park),김병철(Byeong-Chul Kim),이덕만(Dug-Man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3

        This study is performed to compare what relation is the technical efficiency in stochastic frontier and DEA model. In order to estimate what relation is the two methodologies, it is used to Cobb Douglas production function known as parametric method and modified DEA-CCR known as non-parametric method. The stochastic frontier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and modified DEA-CCR used cross-sectional data of 13 areas of Community Credit Cooperative in 2009. According to the estimated technical efficiency,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stocahstic frontier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and modified DEA-CCR model.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echnical efficiency between two models, it has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and Mann-Whitney test. The two test results are recognized the convergence of ranking not completely, but it has not the difference in Mann-Whitney test results of the technical efficiency by Cobb Douglas production function model and modified DEA-CCR model, also i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conclusion,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efficiency measurements have figured out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epending on how to measure. 본 연구는 새마을금고에 대한 기술효율성 분석과 관련하여 모수적 효율성 분석과 비모수적 효율성을 분석할 때, 상호간에 결과가 일치하는지 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연구를 위해 2009년도 13개 지역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두 방법론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보았다. 이를 위해 모수적 방법으로 확률적 프론티어 생산함수인 콥-더글라스 함수 모형과 비모수적 방법인 수정 DEA-CCR 방법으로 기술효율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 값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확률적 프론티어 생산함수 모형에 의한 기술효율성 분석결과와 수정 DEA-CCR 모형을 이용한 효율성 분석결과와는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두 모형에 의한 기술효율성 분석결과 값들에 대한 스피어만 서열상관과 Mann-Whitney 검증을 실시 해본 결과, 완전하지는 않지만 순위의 일치성이 인정된다고 할 수 있었으며, Mann-Whitney 검증결과는 확률적 프론티어 생산함수 모형에 의한 기술효율성과 수정 DEA-CCR 모형에 의한 기술효율성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모수적, 비모수적 기술효율성 측정결과는 측정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업의 국제화와 현금보유

        박춘광 ( Chun Gwang Park ),남현정 ( Hyun Jung Nam ) 한국금융공학회 2014 금융공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주요 요인들 가운데, 기업의 현금 보유와 국제화 요인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현금 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다음으로 기업의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련성에 대하여 기업의 국제화가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규명해보고자 한다. 즉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련성 연구에서 이를 확장하여 국제화 변수를 도입 하고자 한다. 기업의 국제화에 따른 국제화 변수는 기업의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련성에 대하여 기업의 국제화에 따른 조절효과로 나타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분석하는데 그 초점을 두었다.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12년 동안에 공시한 연결재무제표를 이용하여 해외수출액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한 결과, 632개 상장기업이 선정되었으며, 이 표본의 횡단면 자료와 시계열 자료를 토대로 합동(pooled) OLS, 고정효과모형 그리고 확률효과모형으로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기업의 현금보유액이 많을수록 기업가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업의 국제화가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련성 분석에서 국제화 조절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금보유는 -0.364만큼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국제화 조절효과를 고려한 경우에는 현금보유가 기업가치에 -0.702만큼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국제화될수록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에 역(-)의 영향관계가 더욱더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아울러 국제적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들의 경우에 기업의 현금보유 정도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기업의 현금보유와 국제화 효과와의 관련성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기업의 국제화 정도가 실질적으로 기업의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ash holdings on firm performance of listed manufacturing companies. And then we explore the relationship and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nationalization between cash holdings and firm performance. We analysed cross-sectional data of 632 listed companies from 2000 to 2011 using the pooled OLS, fixed effects estimation, random effects estimation.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there was a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ash holding and firm value. Internationalization of company showed to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cash holdings and firm performance The more internationalized companies,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cash holdings and firm performance was more strong. Excessive slack resource represents a lack of operational capacity and negligence cash holding by slowing growth internationally negative(-) the effect on corporate valu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재량적 발생액을 고려한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박춘광 ( Park Chun Gwang ),( Kwak Youngsik ) 한국금융공학회 2016 금융공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기업의 현금보유 요인과 재량적 발생액 요인이 기업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현금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다음에, 기업의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련성에 대하여 재량적 발생액이 미치는 영향을 찾고자 한다. 즉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와 그 영향을 조사하는데 본 연구의 초점을 둔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5년 동안, 한국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 기업-년도를 고려한 7702개의 표본을 선정하였다. 이 표본에 대한 재무 및 회계 자료를 추출한 다음, 이를 사용하여 합동회귀모형과 패널자료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들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두 모형 모두에서 기업의 현금보유는 기업가치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현금보유가 기업가치의 촉진유인으로 작용하며, 즉 기업의 안정자산인 현금보유가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재량적 발생액이 현금보유와 기업가치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재량적 발생액이 순수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량적 발생액의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현금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 수준이 낮은 기업일수록, 즉 높은 보고된 회계적 이익의 질을 가진 기업의 현금흐름은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기업의 현금보유는 기업가치를 더욱더 확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ash holdings on firm,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discretion accruals between cash holdings and firm value. We use total 7,702 firm-year observations over fifteen-year period from 2000 to 2014 and employ pooled-OLS and panel data analysis. In order to test the impact of cash holdings on firm value, cash holdings a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 as well as discretionary accruals as moderating factor. Tobin’s Q, dependent variable, is proxy of firm value and five control variables.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cash holdings are significantly positive with firm value, indicating cash holdings motive for firm. In addi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that cash holdings as a safe assets increase firm value. And Discretionary accruals play a role as a moderating factor between cash holdings and firm value.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decrease the positive impact of cash holdings on firm value. It indicates that firm with lower discretionary accruals, in other means higher quality of accounting earnings are considered as higher reliability of cash holdings. Accordingly, lower discretionary accruals enhance firm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