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작물의 일차적 재해방지 요건으로서의 다요인 평형조절 개념

        박천서 한국작물학회 198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4 No.2

        The primary countermeasure for environmental stresses of crops grown in Korea would be to maintain top soil content of available B for upland crops and Si for low land rice in balance with other nutrient elements such as N, P and K, so as to maintain those nutrient balances in plants. Development of standard levels of elements in soils for balances uptake of those elements by plants are needed under the multi nutrient factor balance concept using the soil test results.

      • KCI등재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박천수(朴天秀)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69 No.-

        본 연구는 고분의 曆연대에 대해 100년 이상의 연대폭을 보이는 등 심각한 견해차를 노정되고 있는 신라 가야고분의 역연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연구사를 검토하고 피장자의 추정이 가능한 고구려 태왕릉 출토 마구, 기년명을 가진 중국제 도자기와 공반된 백제마구, 일본열도의 연륜연대 자료 등을 통하여 한일고분의 교차편년의 기준이 되는 경주시 황남동 109호분3.4곽.부산시 복천동21.22호분.大阪府大庭寺TG232窯, 황남대총 남분, 합천군 옥전M3호분.埼玉縣稻荷山古墳의 역연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역연대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종래 역사적 사건과 연계하여 역연대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해석에 대한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황남동109호분3.4곽, 복천동21.22호분, 大庭寺TG232窯은 4세기 말, 황남대총 남분은 5세기 중엽, 옥전M3호분, 稻荷山古墳은 5세기 후엽으로 그 역연대가 설정되었다. 이는 역연대의 기준이 되는 3者가 모순 없이 整合성을 보여주는 점에서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시 복천동21.22호분을 5세기 중엽으로 보는 연대관은 400년 전후 광개토왕의 남정을 지나치게 의식한 것이며, 이는 신라의 영향력이 부산지역에 미친 시기를 늦추어 보고 이 지역의 독자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에 의한 것이다. 한편 황남동109호분3.4곽을 4세기 중엽으로 보고, 황남대총 남분을 5세기 초로 보는 견해는 신라의 성장을 과대평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기마민족이 김해지역으로 이주하고 또한 다시 일본열도와 영남내륙지역으로 이동하였다는 주장은 그 실제성과 해석의 방법론적 문제뿐만 아니라 그 근거로 제시한 역연대가 전혀 일치하지 않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로 볼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자한다. 본고에서는 역사적 맥락에 의해 선험적으로 역연대를 결정하는 것을 止揚하고, 고고자료의 분석에 기초한 객관적인 역연대의 구축을 지향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하여 역사 해석의 합리적인 시간축이 제공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which show serious differences of opinions about historical absolute date of tombs over more than 100 years. First research history was reviewed and through excavated harness of Goguryeo King Tae’s tomb which can estimate the period of buried person, Chinese porcelains with records of names of years, excavated Baekje harness, growth ring chronicle data of Japanese archipelago for absolute date of the third/fourth gravers of tomb No.109 at Hwangnam–Dong in Gyeongju city, the gravers of tomb No.21/22 at Bokcheon–Dong in Busan city, Obdera TG232 Kiln in Osaka Prefecture, South tomb of Hwangnam Great Tomb, the graver of tomb Okjeon No.M3 in Habcheon–Gun and Inariyama tomb in Saitama Prefecture, which all become the standard of crossing dating of Korean & Japanese tombs were mainly reviewed and discussed. And based on discussion of absolute date were induced in connection to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past and re–review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As the result, absolute date of the third/fourth gravers of tomb No.109 at Hwangnam–Dong, the gravers of tomb No.21/22 at Bokcheon–Dong and Obdera TG232 Kiln was set as the end of the 4th century, absolute date of Hwangnam Great Tomb was set as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nd the graver of tomb Okjeon No.M3 and Inariyama tomb was set as late period of the 5th century. It is judged to have higher reliability because all three parties, which become the standard of absolute date, show conformity without contradiction. Opinion of absolute date of the gravers of tomb No.21/22 at Bokcheon–Dong around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is from too much consciousness of the expedition to the south of Great King Gwanggaeto around the year of 400 and it was intended to emphasize identity of this region by postponing the period of influence of Shilla on Busan region. On the other hand, opinions of regarding the third/fourth gravers of tomb No.109 at Hwangnam–Dong as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nd south tomb of Hwangnam Great Tomb as the early part of the 5th century are judged that growth of Shilla was overestimated. Just like thi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that we cannot recognize insistence that horse–riding people moved into Gimhae region and also again moved to Japanese archipelago and inland region of Yeongnam as historical events since not only issues of its reality and methodology of interpretation but also absolute date suggested as the ground are not conforming at all. In this thesis, establishment of objective absolute date based on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was pursued by sublating deciding absolute date in transcendental experience by historical logical connection. It is believed that reasonable axle of time of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will be provided through this

      • KCI등재
      • KCI등재

        Chemical Factors of Soil Associated with the Prediction Model for Fertilizer Need of N and K in Flooded Rice based on the Multinutrient Factor Balance Concept

        박천서,Park, Chon-Suh 한국토양비료학회 198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6 No.3

        다요인조절개염하(多要因調節槪念下)에서 수도작(水稻作)에 대(對)한 요소시비시(尿素施肥時) N성분적량(成分適量)을 여측(予測)하는 모형식(模型式)에 관여(關與)하는 이앙재배전(移秧栽培前) 경토화학성분요인(耕土化學成分要因)은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 ppm(X)과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Z)비(比)인 X/Z비(比)와 상대가리(相對加里) 활성도비(活性度比)인 Kas/kai이였다. 여측모형식(予測模型式) $NRe=(58.5+0.647x/z){\cdot}F$에서 F는 품종(品種), 기상(氣象) 및 토양조건(土壤條件)에 따라 변동(變動)되는 생산성(生産性) 요인(要因)이라고 정의(定義)하였으며 이 값은 경토중(耕土中) X/Z값보다는 상대가리활성도비(相對加里活性度比)인 Kas/kai의 함수관계식(函數關係式) Fb=.65+1.086Kas/kai에서 여측(予測)함이 보다 합리적(合理的)임을 밝혔다. 이 식(式)의 Kas는 경토중(耕土中) 치환성염기함량(置換性鹽基含量)에서 산출(算出)되는 가리활성도비(加里活性度比)이며 Kai는 표준품종(標準品種)인 진흥(振興)에 대(對)한 리상가리활성도비(理想加里活性度比)로서 기보고(旣報告)(박(朴) 1975)에서와 같이 Kai=0.03+0.00083X/Z에서 산출(算出)한다. 상대가리활성도비(相對加里活性度比)는 Kas=Kai가 되게 조절(調節)하기 위(爲)해서 1.0이 되어야 하는 값이나 품종군별(品種群別)로 차이(差異)가 있어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는 인도형(印度型)과 일본형교잡종(日本型交雜種)인 밀양(密陽) 23호(號)에서는 1.63, 비율빈(比律賓)에서 재배(栽培)되는 인도형품종군(印度型品種群)인 IR8, 20, 36 및 42등(等)에서는 공통적(共通的)으로 0.322가 됨을 밝혔고 가리시비적양여측(加里施肥適量予測)에 활용(活用)할 수 있는 각품종별(各品種別) 리상가리활성도비(理想加里活性度比) $Kai_1$ 및 $Kai_2$는 인도형${\times}$일본형(印度型${\times}$日本型) 교잡종(交雜種) 및 인도형품종군(印度型品種群)에 대(對)하여 각각(各各) 다음 함수관계식(函數關係式)에서 추정(推定)할 수 있음을 밝혔다. $\\Kai_1=0.0489+0.001353X/Z\\Kai_2=0.01+0.000267X/Z$. The chemical factors of topsoil,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prediction models of urea nitrogen (N kg/ha) need under the concept of multinutrient factor balance in soil to maintain optimum nutrient balance in rice plant grown in flooded condition, were the x/z and the Kas/Kai values. In the prediction model or equation $NRe=(58.5+0.647x/z){\cdot}F$, the F was difined as the productivity factor, which was considered to be dependent on the variety, climate and soil, and found to be better estimated as the function of Kas/Kai rather than x/z from the equation Fb=0.65+1.086kas/kai, where the x, z, Kas and Kai, respectively, were available $SiO_2$ ppm, % organic matter, K activity ratio or exchangeable $K^+/(\sqrt{Ca+Mg}+Na^+)$ in topsoil and the ideal K activity ratio determined by the equation Kai=0.03+0.00083x/z for standard variety Jinheung. The relative K activity ratio or Kas/kai in topsoil, which have to be equal to 1.0 in the prediction of K fertilizer need for standard Japonica Variety Jinheung, found to be 1.63 for the varieties of Indica ${\times}$ Japonica or Milyang No. 23 grown in Korean condition and 0.322 for the Indica varieties of IR 8, 20, 36 and 42 gown in the Philippines condition. The ideal K activity rations for different Varieties such as Indies ${\times}$ Japonica grown in Korea or $Kai_1$ and Indica grown in the Philippines or $Kai_2$ were computed to be estim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s respectively ; $\\Kai_1=0.0489+0.001353X/Z\\Kai_2=0.01+0.000267X/Z$.

      • KCI등재

        Fertility Management of Flooded Rice Soil:A Proposal to Minimize The Biological Production Potential-Performance Gap of High Yielding Varieties

        박천서,Park, Chon-Suh 한국토양비료학회 197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2 No.3

        수도(水稻)의 생산능력(生産能力)을 최대(最大)한 발현(發顯)시키는데 필요(必要)한 시비량(施肥量) 결정방법(決定方法)을 시도(試圖)했다. 이 시도(試圖)에서는 양분(養分)의 균형적(均衡的) 공급(供給)을 토양특성(土壤特性)과 품종(品種)의 특성(特性)에 바탕을 두어 공식화(公式化)하고저 했으며, 과거(過去)에 실시(實施)된 시험성적(試驗成績)들을 이용(利用)하여 그 타당성(妥當性)을 검토(檢討)했다. 그 요지(要旨)는 다음과 같다. 1. 다수확(多收穫)을 도모(圖謀)할 경우(境遇), 양분(養分)의 균형적(均衡的) 공급(供給)이 매우 중요(重要)하다. 2. 규산(珪酸)은 시용(施用)된 질소(窒素)를 고수량(高收量)으로 연결(連結)시키는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한다. 3. 수량(收量)에 가장 결정적(決定的)인 몫을 하는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은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및 유효규산(有效珪酸)의 비(比) 즉(卽) $SiO_2$/O.M. 비(比)를 참작(參酌)함이 타당하다. 4. $SiO_2$/OM. 비(比)를 근거(根據)로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결정(決定)코저 할 경우(境遇), 수도(水稻)의 품종적(品種的) 특성(特性)이 고려(考慮)돼야한다. 그 까닭은 품종별(品種別)로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에 영향(影響)받는 정도(程度)가 상이(相異)하기 때문이다. 5. 토양(土壤)에 규산질(珪酸質) 비료(肥料) 혹(或)은 유기물(有機物)의 시용(施用)으로 $SiO_2$/O.M. 비(比)를 변화(變化)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질소량(窒素量)도 변동(變動)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수도품종(水稻品種)의 특성(特性)이 고려(考慮)돼야 한다. 6.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이와 같이 결정(決定)한 다음 가리(加里)의 시용량(施用量)은 질소량(窒素量)과 토양중(土壤中) K/Ca+Mg 비(比)를 토대(土台)로 산출(算出)할 수 있다. Proposal on the ways to determine the optimum levels of nutrients application on rice to maximize the yield was made paying attention on the desirable ratios among the major nutrients including N (organic matter) K, $SiO_2$, Ca, Mg.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1. For the higher yields, the balanced nutrients absorption is important. 2. Silica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the applied N to increased yield. 3. Level of N application should be determined taking account of soil organic matter and abailable silicate contents. The higher the ratio of $SiO_2$/O.M. the more N can be applied for higher yield. 4. Different rice cultivars responds to the ratio of $SiO_2$/O.M. in soils, in different manner, in translating the applied N into yield. 5. By altering the ratio of $SiO_2$/O.M. through the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 or organic matter, the requirement of N in accordance with varietal characteristics can be determined. 6. When amount of N determined by above mentioned approaches, level of K application can be determined upon the basis of the ratio of $K/\sqrt{Ca+Mg}$ in soils.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표층토(表層土)의 인산흡수력(燐酸吸收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박천서,한기학,임수길,이재현,Park, C.S.,Han, K.H.,Lim, S.K.,Lee, J.H. 한국토양비료학회 196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 No.1

        토양조사(土壤調査)에서 채취(採取)된 층위별시료중(層位別試料中) 표층(表層) 30cm 내외(內外)까지의 표층토양시료(表層土壤試料) 129점(點)에 대(對)한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를 조사(調査)하고 토양(土壤)(Association)별(別)로 그 범위별(範圍別) 분포(分布)와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를 지배(支配)하는 수종이화학적성질(數種理化學的性質)에 대(對)하여 검토고찰(檢討考察)한 결과(結果)는 대략(大略) 다음과 같다. 1. 대체(大體)로 기경지(旣耕地)에 속(屬)하는 토양(土壤)(Association)의 표층토(表層土)는 미경지(未耕地)보다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가 낮다. 2. 양(陽)이온치환용량(置換容量)이 큰 토양(土壤)일수록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가 크다. 3. 각토양(各士壤)(Association)별(別)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를 지배(支配)하는 주요(主要) 인자(因子)는 다음과 같다. 가) 점토함유량(粘土含有量)이 주(主)로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를 지배(支配)하는 토양(土壤); (1) 하해혼성충적과부식질회색토(河海混成沖積寡腐植質灰色土) 및 충적토, (2) 곡간충적토 및 산록추적토(山麓推積土), (3) 중성내지석회암저구릉(中性乃至石灰岩低丘陵) 및 산록적갈색토(山麓赤褐色土). 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주(主)로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를 지배(支配)하는 토양(土壤); (1) 하성충적과부식질회색토(河成沖積寡腐植質灰色土) 및 충적토(沖積土). 다) 양(陽)이온치환용량(置換容量)과 점토함량(粘土含量)이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를 지배(支配)하는 토양(土壤); (1) 산성암산악암쇄토(酸性岩山岳岩碎土) 라) 양(陽)이온치환용량(置換容量)과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를 지배(支配)하는 토양(土壤); (1) 중성내지염기성암산악암쇄토(中性乃至鹽基性岩山岳岩碎土). 마) 유기물(有機物) 및 점토함량(粘土含量)이 주(主)로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數)를 지배(支配)하는 토양(土壤); (1) 산성암저구릉(酸性岩低丘陵) 및 산록적황색토(山麓赤黃色土). 4. 인산흡수계수측정(燐酸吸收係數測定)에 있어서 $2.5%(NH_4)_2HPO_4$를 사용(使用)한것(y)과 $P{\cdot}700ppm$의 $NaH_2PO_4$를 사용(使用)한것(x)간(間)에는 $y=2.716x+37(r=0.96^{**})$의 직선회귀관계(直線回歸關係)와 고도(高度)의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이 있었다. A total of 129 surface(upto 30 cm depth) soil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profile samples collected during reconnaissance soil survey in 1967, for the determination of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The distribution range for each soil associa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the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have also been examined. The following general conclusions can be drown: 1. In general, the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soil association of presently arable land are lower than the soils which are not in cultivation. 2. The higher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soils, the higher is the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The factors governing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in various soil associations are as follows: Parent Material Soil Association Governing Factor Fluvio marine Low Humic Gley Fluvio marine Alluvial Complex Narrow valley Siliceo mafic materials Red-yellow podzolic Redish Siliceo mafic materials Brown Lateritic Clay content Siliceous crystalline materials Lithosols C.E.C. & Clay content Alluvium Low Humic Alluvium Gley Alluvial Organic matter Siliceous crystalline materials Red-Yellow Podzolic Organic matter and clay content 4. The relation between phosphorus absorption coefficient determined by $(NH_4)_2HPO_4(y)$ and by the P 700 ppm $NaH_2PO_4(x)$ is $Y=2.716X+37(r=0.96^{**})$ which show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