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말하기 평가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박창균(Park Chang G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의 대안으로 절충적 말하기 평가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수준별 평가 대상을 세 가지 방법으로 평가하여 점수와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절충적 평가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평가 방법에 따라 말하기 점수에 차이가 있다. 둘째,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에 비해 총체적 평가와 절충적 평가, 절충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의 점수 차이는 크지 않다. 셋째, 절충적 평가의 ‘내용 구성’, ‘표현전달’, ‘상호작용’ 범주는 총점과 상관관계가 높다. 넷째, 분석적 평가의 평가 요소 ‘주제 전개’와 ‘완급 조절’는 모든 수준의 평가 대상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자신감’은 상관이 없었다. 다섯째,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에 대한 평가자의 인식은 두 가지 평가의 장단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여섯째, 절충적 평가에 대한 평가자의 인식은 총체적 평가의 어려움이나 문제점과 유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한 절충적 평가는 평가 내용을 범주화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각각의 평가 범주별로 점수를 합산하여 채점하는 방식이다. 절충적 평가는 총체적 평가의 편의성을 유지한 채 평가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분석적 평가처럼 평가 범주별 채점을 통해 균형감 있게 평가하되 평가 기준에 얽매이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절충적 평가는 평가 총체적 평가나 분석적 평가와 점수 편차가 크지 않고 평가 범주의 타당성이 검증되어 총체적 평가나 분석적 평가의 대안적인 평가 방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complementary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to holistic and analytical evaluation. The evaluation was evaluated by three methods, and the validity of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was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cores and the correl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speaking scores according to the three evaluation methods. Second,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holistic and complementary evaluation, complementary evaluation, and analytical evaluation compared to holistic evaluation and analytical evaluation. Third, the content composition, expressive delivery, and interaction categories of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score. Fourth, the evaluation elements of analytical evaluation Thematic development and Completeness control were correlated with all levels of evaluation, but Confidence did not. Fifth, the evaluator s perception of holistic evaluation and analytical evaluation did not differ greatly from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two previous evaluations. Sixth, the evaluator s perception of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is similar to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 holistic evaluation. In conclusion,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a method of categoriz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and scoring the scores according to each evaluation category.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offers the details of the evaluation more concretely while maintaining the convenience of the holistic evaluation.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valuated in a balanced manner by scoring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ategory like the analytical evaluation, but is not bound to the evaluation standard. This complementa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holistic evaluation, analytical evaluation and score deviation were not large, and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ategory was verified, and it was shown that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evaluation.

      • KCI등재

        초,중등 학생의 화법 양성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담화 유형을 중심으로 ; 토의 담화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 점검

        박창균 ( Chang Gyoon Park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3

        이 연구는 토의 담화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통시적, 공시적으로 고찰하여 문제를 점검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국어과 교육 과정 변천 과정에서 토의 교육의 지향점과 교과서에 반영된 토의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2007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토의 수행양상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토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 점검을 통해 드러난 주요 문제점과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의 교육의 도입 시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과정 변천을 실천적으로 경험한 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토의 교육의 도입 시점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토의의 교육적 가치나 사회적 효용성을 고려하여 토의 교육의 내용이나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 토의의 비중을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위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토의 절차에 대한 ‘형식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속성 중심’의 토의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토의의 본질에 천착한 속성 중심의 토의 교육은 타교과나 일상생활로의 전이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의 토의 능력에 대한 실제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모둠별 토의 수행 양상을 점검하여 소집단 대화로서 토의 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효율적인 토의 수업을 위해서 모둠 구성 방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동질적인 모둠 구성을 통해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토의 수업을 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scuss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aspects of diachronic and synchronic. So, So discussion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reviewed. In discuss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aspects review revealed major problems with and alternat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ussion education research is needed on when to start. Practical experience with curriculum chang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 to determine when to put the introduction. Second, the discussion of the educational value and social needs, consider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e discussion should be expanded. Overweighting and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to teach a range of levels and there is a need to organize. Third, the discussion of the procedures and types of education away from the center ‘attribute-centric’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discussion education. ‘Attribute-centric’ discussion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and everyday life can increase the metastatic. Fourth,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discussion skills assessment should be practical. Self-assessment of individual students, rather than focus on the ability to perform small group discussions should be evaluated. Fifth, to develop effective discussion clas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way organized groups. Through homogenous groups organized through voluntary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can seek to discussion class.

      • KCI등재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전략

        박창균(Park Chang-G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토의수업 맥락을 고려하여 퍼실리테이션의 개념을 정의하고 토의수업의 지향점을 참여적 의사결정으로 설정하였다. 성공적 토의를 위한 참여적 의사결정의 원리는 ‘완전한 참여’, ‘상호 이해’, ‘협력’, ‘포괄적 해결책’, ‘공유된 주인의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참여적 토의수업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으로는 ‘토의 분위기와 환경 조성하기’, ‘퍼실리테이션 도구와 기법 활용하기’, ‘참여 형식 바꾸기’, ‘참여자의 갈등 조정하기’, ‘토의 관찰 및 피드백 제공하기’, ‘퍼실리테이터의 책임 이양하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퍼실리테이션이 토의수업 전략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퍼실리테이션 기법에 대한 교사 연수, 퍼실리테이션에 대한 인식 확대, 거시적 차원의 토의수업 설계와 실행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propose facilitatio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discussion classes. In the context of discussion class, the concept of facilitation was defined and the direction of discussion class was set as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In the discussion classes, the principle of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presented full participation , mutual understanding , cooperation , inclusive solution and shared ownership . And the facilitation strategies for participatory discussion classes suggested creating a discussion atmosphere and environment , using facilitation tools and techniques , changing the participation format , managing the conflicts of participants , monitoring discussion and providing feedback’, and ‘transferring responsibility of facilitator’. In order for facilitation to be strategies for discuss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train teachers on facilitation techniques, expand perspective of facilitation, and design and implement discussion class at the macro level.

      • KCI등재

        문화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매체언어 교육의 방향

        박창균(Park, Chang-gyoon)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이 연구는 문화론적 관점에서 매체언어 교육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문화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문화적 문식성 신장으로 보고, 매체언어 사용과 매체 텍스트 소통의 문화적 현상에 주목하여 매체언어 교육을 통한 문화적 문식성 신장 방안을 꾀한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화의 정의를 범주화하여 매체언어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문화 능력으로서 문화적 문식성을 규정하여 매체언어 교육에서의 교육 양상과 가능태를 점검하였다. 그리고 문화적 문식성과 매체 문식성의 관계를 설정한 후에 문화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매체언어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ought the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al phenomenon of media language use and media text communication as the ultimate goal of cultural education a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literacy, and aims to promote cultural literacy through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is study, I tried to categorize the definition of culture and examined its relation with the media language, and then defining cultural literacy as cultural ability, I examined the aspect and possibility of education in media literacy education. After establishing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I proposed the direction of media language culture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literacy.

      • KCI등재

        스피치 프로젝트가 말하기 능력과 말하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창균 ( Park Chang-gyoon ),이기정 ( Lee Ki-jyung ) 한국화법학회 2023 화법연구 Vol.- No.60

        This study conducted a speech project targeting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valuated their speaking skills and speaking anxie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ccordingly, the speech project continued for one year, and the students' speaking skills evaluation and speaking anxiety test were conducted three times. In add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OVA method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ech project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peaking skills. Second, the speech project was effective in reducing students' speaking anxiety. Third, in speech projects,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speaking skills to interact with the audience and the audience-conscious speaking anxiety factor were observed at different tim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위한 교과별 수업 의사소통 초등학교 교과별 수업대화의 문제 상황 분석

        박창균 ( Chang Gyoon Park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6

        This study found that situation of communication problem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bout elementary subjects classroom convers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untability of teachers for situations of communication problem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improving of subjects teaching. Second, communication problem of all subjects occurred frequently in the following categories: ‘teacher guidance’, ‘level grasp’, ‘class operating’. Third, the korean language ‘teacher question’, the social studies/moral subjects ‘teacher feedback’, the mathematics ‘student understanding’, the science/practical arts ‘teacher guidance’, the arts subjects ‘teacher attitude’ categor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urth, teacher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need to prepare for considering the subject properties. Fifth, the solution about situations of communication problem must be sought in a multidimensional spectrum.

      • KCI등재

        면담,면접 지도의 원리와 실제 ; 수업대화에서 소통의 문제 상황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박창균 ( Chang Gyoon Park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1

        이 연구는 중요 사태 파악법을 통해 수업 시간에 교사와 학생이 직면하는 의사소통의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NVivo9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수업대화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주요 문제 상황을 발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에서 학생과의 의사소통에 대해 폭넓은 시각과 과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둘째, 수업대화에서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하는 전형적인 상황은 주로 교사 요인이 상위 범주를 차지하였으며,의사소통 문제 발생의 원인도 교사 요인(76.4%)이 학생 요인(22.2%)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수업대화에서 교사로 인한 소통의 문제 상황은 ``학생 수준 파악``, ``학생 특성 파악``, ``교사 설명``, ``교사 태도``, ``교사 안내`` 등이 상위 범주를 차지하였다. 넷째, 수업대화에서 학생으로 인한 소통의 주요 문제 상황은 ``수업 집중``, ``학생의 말``, ``모둠 활동``, ``학생 대답``, ``학습 태도``순으로 나타 났다. 다섯째, 의사소통의 문제 상황은 독립적이기보다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고 복합적인 성격을 띤다. This study is to collected materials about situation of communication problem through the CIT (Critical Incidents Technique) and analyzed systematically by utilizing NVivo9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a wide range of concepts and the process of perception about communication. Second, the parent category of a situa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problem occurs, the teacher factors were accounted. And cause of the communication problem, the teacher factor i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the students were accounted for Third, teachers in classroom conversation due to major problems of ``student level of understanding``, ``student characterization of understanding``, ``teacher`s explanations``, ``teacher`s attitude``, ``teacher`s guide`` in order. Fourth, students in classroom conversation due to major problems of ``class attention``, ``group activities``, ``student`s answer``, ``learning attitude`` in order. Fifth, situations of communication problem are complex and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