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재생을 통한 화랑대역사관 디자인 개발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경춘선 복선 전철화사업이 2010년에 마무리됨에 따라 기존 경춘선의 성북역에서 서울시 경계까지 약 6.3㎞ 폐선부지구간을 공원화하기로 하였다. 이 사업은 2013년부터 전체구간을 3단계로 나눠‘경춘선숲길공원 조성사업’으로 명명되어 공사가 진행되었다. 2017년 하반기부터 진행된 3단계 사업에서는 성북역과 육사삼거리에서 구리시 경계까지의 철도 및 주변공간을 공원화하기로 하고 화랑대역사(驛舍)를 전시관으로 변경하도록 계획하였다. 본 디자인제안에서는 화랑대역을 활용하여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며 경춘선이 지닌 의미를 방문객과 공유할 수 있는 전시관을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의 범위는 크게 건축 공간부분과 내부전시계획부분으로 나뉜다. 건축 공간에서는 기존의 역사(驛舍)를 전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보수하고 마감재를 변경하였다. 전시계획 부분에서는 현황 및 사례분석, 전시개념설정, 전시 시나리오, 공간연출과 세부적인 전시물 제작설치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전시기본방향을 첫째, 실물전시 중심의 연출과 원형의 보존 둘째, 공감각적 연출을 통한 역의 과거 모습 표현 셋째, 사람들의 이야기와 기억의 표현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본방향을 전제로 전시개념을‘간이역, 시간의 향기로 물들다’로 설정하고 화랑대역의 역사, 화랑대역의 기억과 화랑대역과 사람들의 이야기로 공간 시나리오를 전개하였다. 건축 리모델링 계획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색채, 마감재 및 공간의 부분요소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둘째, 여행의 흥겨운 감정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공간을 연출하였다. 셋째, 비대칭 삼각형 지붕구조의 조형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전시계획으로서 첫 번째 존인‘화랑대역, 우리의 역사와 함께하다’는 화랑대역사관에서 가장 큰 공간인 대합실을 활용하여 관람객이 역과 관련된 문학과 음악자료를 읽고 들어봄으로써 그 당시 이 역을 이용했던 사람들의 느낌과 감정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존‘화랑대역, 우리의 기억을 담다’는 화랑대역의 공간과 관련된 이야기를 주제로 하며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화랑대역의 건축적 특징과 현재의 모습이 유지되기까지의 복원과정을 모형으로 설명하였다. 세 번째 존‘화랑대역, 수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다’에서는 공간 중앙에 역의 플랫폼과 승강장을 재현하여 분주한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결론) 본 디자인제안에서는 ‘경춘선숲길공원 조성사업’의 마무리 과정으로서 기존 화랑대역을 활용하여 화랑대역사관으로 변화시켰으며 건축물의 개보수와 전시콘텐츠개발 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향후, 지속적 관람객 유입을 위해서는 전시관 내부와 경춘선숲길공원의 외부시설물을 연계하여 체험할 수 있는 행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화랑대역사관 주변공원을 체험형 테마파크로 변화시키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0, the double electric track of Kyungchun railroad was finished. Seoul municipal authority decided to develop a park that the area from Seongbuk Station to border of Seoul. This project was proceeded by three stages and named as ‘Developing project of Kyungchun railroad forest park’from 2013 to 2017. In 2017, the third stage of project included that not only making park the nearby rail road from Seongbuk Station to a crossing with the three corners of Korea Military Academy, but changing Hwarangdae Station to a historical museum. This study proposed a plan for preserving historical value of the station and sharing the significance of Kyungchun railroad with visitors. (Method) The overall design project was divided by two parts; planning architectural space and exhibition contents. For planning architectural space, exiting station space was partially renovated and applied finishing materials to change the space as a museum. For planning exhibition contents, Analysing existing circumstances, establishing concept, exhibition scenario, producing space, and plan for fabricating media were proposed for the historic museum. (Results) By analyzing circumstances and example works, the directions of project was established by which are to preserve the archetype by displaying real objects, to produce the past station features by synesthetic presentation and to describe stories and memories of people. This study proposed not only the exhibition concept ‘Station, saturated by scent of time’ as the design directions, but spatial scenario with history, memories, and people of Hwarangdae Station. There were three ways to renovate the exiting architecture of the station. Most of all, color, material, and spatial factors are well matched with overal architectural structure. The second, exhibition space is well produced to make visitors being felt the hilarious atmosphere. The last, asymmetric roof structure is maintained to presenting unique configuration. The exhibition planning details are compromised as three parts. Renovated waiting lounge, first exhibition zone ‘Hwarangdae Station is holding our history’is the largest space. Visitors are able to understand the feeling and emotion of passengers through watching literary and musical items. The next zone ‘Hwarangdae Station has our memories’focused on architectural space that is made by a scale model and registered as a cultural property. The last zone ‘Hwarangdae Station shows stories of passengers’ described vivid and packed scenary of platforms in the center of the museum. (Conclusions) This study approached design in two parts which are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and exhibition scenario to change the exiting station as a historical museum. To attract visitors constantly, experiencing events relevant to external facilities are being developed. In addition, the surrounding park of historical museum is needed to change as a theme park and to provide various hands-on program for children.

      • KCI등재

        지대지 유도무기의 건물 표적에 대한 무기할당(Weaponeering)도구 타당성분석 연구

        박진호,고기황,김영호,Park, Jin H.,Ko, Ki W.,Kim, Young H.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6 No.3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Weaponeering tool for the Surface to Surface Guided Missile at the Above-Ground Buildings, we analyzed the relation among SSPD, $MAE_{bldg}$, CEP and the number of missiles, expected damage etc.. According to the analysis, if the target Length is 100m, and $\sqrt{MAE_{bldg}}$ is longer than the target length, the tool is suitable but shorter than it, the tool is not suitable. So Morris Driels's Weaponeering Tool needs new adaptive algorithm to Translate as the Target size and $MAE_{bldg}$.

      • KCI등재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의 채색 재료 특성 연구 -연광정연회도(練光亭宴會圖)를 중심으로-

        박진호,장연희,고수린,Park, Jin Ho,Chang, Yeon Hee,Ko, Soo Rin 국립중앙박물관 2022 박물관보존과학 Vol.28 No.-

        This study analyzes the <Banquet at Yeongwangjeong Pavilion>, one of the three panels of 《Welcoming Banquet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a documentary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aim to identify the coloring materials used in the painting. The painting was first imaged at each wavelength in order to minimize the potenti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specific parts. This study applied X-rays to identify ink, gold, and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and used infrared rays to find ink and copper-based pigments. It also applied hyperspectral imaging to distinguish organic pigments from black, blue, and green materials. It also analyzed spots selected for each color to identify the following materials: white lead (white), ink/indigo (black), a combination of red lead and cinnabar (red), pink dye, purple dye, iron oxides (brown), orpiment/dye (yellow), malachite/malachite and yellow dye/indigo (green), azurite/white lead and indigo/indigo (blue), indigo and cochineal (violet), and gold leaf (gold). It is expected that more efficient analysis will be made possible by securing a sufficient library for each wavelength.

      • KCI등재

        Shield TBM에 적용 가능한 전기비저항 기반 터널 굴착면 전방 예측기술

        박진호,이강현,신영진,김재영,이인모,Park, Jin-Ho,Lee, Kang-Hyun,Shin, Young-Jin,Kim, Jae-Young,Lee, In-M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4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6 No.6

        TBM으로 시공되는 터널은 기계에 의해 전단면 굴착(full face tunnelling)이 이루어지므로, 굴착면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TBM 터널에서 굴착면 전방의 지반상태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은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TBM에서 전기비저항을 사용하여 굴착면 전방의 이상지반을 예측할 수 있는 TBM 비저항 예측(TRP)시스템을 개발하고, TBM 현장에서의 적용성과 예측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EPB 쉴드 TBM으로 시공 중인 지하철 터널에서 현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TBM 비저항 예측 시스템은 전극을 사용하여 지반의 전기비저항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해석을 수행하여, 이상지반의 위치와 두께 및 전기적 특성을 예측한다. 전극이 부착된 강관을 유압으로 굴착면에 압입하여, 전극이 지반과 완전히 접촉하도록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전극이 챔버 내부를 관통하여 나아가도록 하는 동시에 토사유출을 방지하도록 설계하여 현장에서의 전방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1차 실험 결과, 굴착면 근접 지반과 굴착면 전방 지반의 전기비저항 및 유전율이 동일하게 나타나 이상지반이 존재하지 않음을 예측하였다. 2차 실험 결과, 굴착면 전방 약 1 m 지점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유전율 비를 가지는 이상지반 구간이 약 5 m 길이로 존재함을 예측하였다. 이는 각각 지표에서 물리탐사 또는 시추를 통해 조사된 지반상태 및 TBM 굴착 중 예측 구간에서 반출되었던 버력을 관찰한 기록과 잘 일치하였다. When tunnelling with TBM (Tunnel Boring Machine), accessibility to tunnel face is very limited because tunnel face is mostly occupied by a bunch of machines. Existing techniques that can predict ground condition ahead of TBM tunnel are extremely limited. In this study, the TBM Resistivity Prediction (TRP)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predicting anomalous zone ahead of tunnel face utilizing electrical resistivity. The applicability and prediction accuracy of the developed system has been verified by performing field tests at subway tunnel construction site in which an EPB (Earth Pressure Balanced) shield TBM was used for tunnelling work. The TRP system is able to predicts the location, thickness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nomalous zone by performing inverse analysis using measured resistivity of the ground. To make field tests possible, an apparatus was devised to attach electrode to tunnel face through the chamber. The electrode can be advanced from the chamber to the tunnel face to fully touch the ground in front of the tunnel face. In the 1st field test, none of the anomalous zone was predicted, because the rock around the tunnel face has the same resistivity and permittivity with the rock ahead of tunnel face. In the 2nd field test, 5 m thick anomalous zone was predicted with lower permittivity than that of the rock around the tunnel face. The test results match well with the ground condition predicted, respectively, from geophysical exploration, or directly obtained either from drilling boreholes or from daily observed muck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