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 수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유(Park, Ji-Yoo),염동문(Yeom, Dong-Moon)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1

        본 연구는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소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에 근무하는 생활지원사를 대상으로 의도적표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290명을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23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 조절, 조절된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SP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사회적지지가증가할수록 감소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에 근무하는 생활지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care management supporters working at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located in Busan with a deliberate sampling method and analyzed 290 respondents who responded faithfully to the surve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two statistical programs, SPSS 23 and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job stres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ith SPSS Macro, it was identifi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social support, which was indicative of an moderated mediating effect. Based on such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level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among care management supporters working at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Institutions.

      • KCI등재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박지유(Ji-yoo,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독감에 주목하였으며, 고독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으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보다 현실적인 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소재 사회복지기관을 통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및 방문요양서비스에 참여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한달 동안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2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독거노인의 고독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 중 연령과 건강상태, 자녀와의 관계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고독감,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loneliness as a factor that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and aimed to make more realistic proposal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loneliness on life satisfac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200 individuals who responded faithfully to the survey for one month, on Aug., 2020, targeting elderly living alone who participated in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and Home Care Service that were provided through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program. Ou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oneliness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wh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an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as it mitigated the negative impact of loneliness on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Third, it appeared that age, health condition, and relationship with children, among control variables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