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박휘락의 『한국 미술교육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를 읽고

        박지나(Park Jina)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디자인사는 미술, 건축은 물론 역사학, 철학, 사회학이나 심리학까지 관련지어 연구해야 한다. 하지만 초중등학교 제도교육에서 미술과목 안에 있는 디자인 교과나 특성화 고등학교, 또는 교육대학에 속한 미술교육 내 디자인교육 전공은 한국디자인사 연구에 포함되고 있을까? 박휘락은 『한국 미술교육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에서 1895–1995년까지 한국 근대 디자인교육의 변천과정을 저술했다. 이를 통해 깨달은 것은 한국 디자인교육의 ‘배치(Agencement)’이다. ‘배치’는 공시적인 차원에서 만들어지는 ‘사건’으로 이루어진 ‘계열’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역사성을 갖는다. 배치된 세계는 시간과 공간 속에 놓이고, 각각의 대상은 ‘포함’과 ‘배제’의 논의에 종속된다. 박휘락은 미술교육의 맥락에서 디자인교육사를 기록했다. 지금, 박휘락의 미술교육에 관한 기록을 디자인교육에 관한 논의 안에 ‘포함’하는 것은 그동안 한국디자인사에서 ‘배제’되었던 사건을 ‘재배치’하는 것이자 한국디자인사를 확장하는 또 하나의 ‘사건’이 될 수 있다. In his book,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in Korea: 100 Years of Art Education (1895–1995), Park Hwirak wrote about the transition process of modern Korean design education from 1895 to 1995. But why is his name unfamiliar to the design community? For research on design history, one should study not only art and architecture but also history, philosophy, sociology and psychology in relation to it. However, in such studies, design education included in design curriculum under institutional education, design education conducted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rts education majors at universities of education have not been taken into account. What I realized through this study was the agencement (arrangement) of Korean design education. There is something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discussing agencement. First, the arranged world is a matter of space between “inclusion” and “exclusion.” Second, agencement is carried out in time and space, and the context of “ground” or “field” is necessarily important. To date, Park has written about modern Korean design education considering agencement within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cluding and rearranging Park Hwirak’s name in Korean design history is an important event that expands Korean design history.

      • 노인자살시도자에서 높은 자살의도와 연관된 요인의 성별차

        박지나(Jina Park),김민혁(Min-Hyuk Kim),강태욱(Tae Uk Kang),김흥규(HeungKyu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1 사회정신의학 Vol.26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자살의도가 높았던 노인자살시도자의 특성이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9년 3월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강원도 원주시 소재 삼차 종합병원 응급실에 자살시도로 내원한 60세 이상 노인 2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인 남녀 구분하여 자살의도척도(Suicidal Intent Scale, SIS)를 측정하였고, SIS 점수를 토대로 자살의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을 분류했다. 그 후, 카이스퀘어 검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자살 관련 특성들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전체 294명(남성 154명, 여성 140명) 중 노인 남성의 18.2% (n=28), 노인 여성의 24.3% (n=34)가 높은 의도의 자살시도군(SIS11)으로 분류되었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노인 여성 중 현재 흡연하는 경우 높은 자살의도를 보였으며(OR: 5.375 [95% CI 1.394-20.725]), 노인 남성은 활성탄으로 자살시도한 경우 높은 자살의도를 보였다(OR: 7.750 [95% CI 1.229-48.886]). 반면, 노인 남성에서 대인관계의 문제가 자살동기였던 경우 높은 자살의도의 위험이 낮았다(OR: 0.252 [95% CI 0.089-0.709]). 결 론 : 본 연구는 노인 자살시도자들 중에서 높은 자살의도와 연관된 요인의 성별차를 알아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사망을 포함하여 치명도가 높을 고위험군을 찾아 세부집단에 맞는 효율적인 예방책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ttempters with high suicidal intent differ by gender. Methods : From March 2009 to December 2018, 294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in Wonju, Gangwon Province due to suicide attemp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icidal Intent Scale (SIS) score was measured for each elderly man and woman; based on the SIS score, the high and low suicidal intent groups were divided. Then, sociodemographic, clinical, and suicide-related factor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through chi-square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Of the 294 elderly people (men 154, women 140), 18.2% (n=28) of elderly men and 24.3% (n=34) of elderly women were classified as high intent suicide attempters (SIS11). As a result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mong elderly women, current smokers showed high suicidal intent (OR: 5.375 [95% CI 1.394-20.725]) and elderly men showed high suicidal intent when they attempted suicide using charcoal burning (OR: 7.750 [95% CI 1.229-48.886]). On the other hand, the risk of high suicidal intent was lower when interpersonal problems were the motive for suicide attempts in elderly men (OR: 0.252 [95% CI 0.089-0.709]). Conclusion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suicidal intent in elderly suicide attemp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ost-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for the elderly at high risk of suicide in the future.

      • 스마트 스피커(Smart Speaker) 디자인에서 의사소통 장애물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요소에 대하여

        박서현(Park Seohyun),박지나(Park Jina) 한국디자인사학회 2024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 No.8

        스마트 스피커는 대화형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집 안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구성을 위한 필수품으로 일상에 녹아들며, 단순한 제어기기가 아닌 감정 교류의 대상으로 역할이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는 제품의 기술적 측면 혹은 스마트 스피커의 속성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었으며, 인간과 스마트 스피커 사이 어떠한 의사소통 장애물이 발생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따라 인간과 스마트 스피커의 의사소통 장애물을 디자인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인간과 스마트 스피커 사이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장애물은 인간과 인간의 의사소통 장애물과 유사하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디자인적 측면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에게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인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요소인 신체언어, 유사언어, 공간적 행위를 사용자에게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의사소통의 장애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는 제품(사물)을 디자인할 때 외관적인 측면 혹은 기술적인 측면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확장된 매체 이론의 관점으로 보다 확장된 측면에서 관찰해야 할 것이다. Smart speakers with conversational agents are becoming essential components of smart home systems, seamlessly integrating into daily life. Their role is expanding beyond simple control devices into objects of emotional exchange. However, previous research focused on technical aspects or attributes of smart speakers, with little exploration into communication barriers between humans and smart speak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ommunication barriers from a design perspective. The results showed similarities between barriers occurring between humans and smart speakers versus between two humans. From a design standpoint, nonverbal communication could help reduce noise for users. The need to apply human nonverbal elements like body language, paralinguistics, and spatial behaviors to users was noted. To resolve communication barriers, the essence of communication must be understood. When designing artifacts, the focus should not just be on superficial or technical aspects but on a broader perspective based on extended media theory.

      • KCI등재후보

        사진적 행위와 응시 -마이클 스노우의 <사진적 자화상>을 중심으로-

        이형우 ( Lee Hyungwoo ),박지나 ( Park Jina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3

        본 연구는 마이클 스노우(Michael Snow)의 작품 <사진적 자화상 Authoriza-tion>(1969)을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응시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사진은 그 이미지를 존재하게 하는 행위 자체이다. 따라서 그것의 밖에서는 그이미지를 생각할 수 없다. 그 행위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촬영의 움직임뿐만아니라,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응시하는 행위까지도 포함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은 실행중인 이미지이다. <사진적 자화상 Authorization>(1969)은 무엇이 재현되고, 어떻게 생산되고, 어떻게 지각되는 지에 대한 물음을 사진 그 자체의 행위로 보여준다. 이러한 사진적 행위에서 라캉의 무의식의 욕망적 관계로서의 응시이론이 어떻게 논의되고 적용되는지 살펴보았다. <사진적 자화상>의 거울 장치를 응시로서의 거울 기능으로 고찰하였다. <사진적 자화상>은 거울을 통해 보고 보여지는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이미지와 지시대상 그리고 이미지와 작동자와의 관계를 포함하는 ‘이미지-생산순간’에서는 거울 장치와 그것을 마주 보고 있는 주체 사이에서 드러나는 응시에 중점을 두었다. 거울과 마주한 주체는 반복되는 촬영과정에서 계속해서 다른 나로 바뀌어 돌아오게 되며, 나를 불완전한 주체로서 욕망하게 한다. 이 분열지점에서 욕망하는 주체는 결핍으로서의 대상a와 연관된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응시가 나타난다. 여기서 응시는 스스로를 감추면서 드러내는 욕망의 결핍이다. 이미지와 관람자와의 관계로 얘기할 수 있는 ‘이미지-수신순간’에서는 의태의 얼룩 기능 그리고 스크린 기능을 중점으로 응시의 특성을 다루었다. 의태활동은 모방과는 차이가 있고, 이것은 응시와 시선의 차이와 관계한다. 모방이 주체의 눈의기능을 통한 시선에 의한 것이라면, 응시는 주체가 자신을 드러내면서 감추는 위장술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스크린은 주체의 삭제되어버린 이미지를 드러나게해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스크린은 내가 보는 응시가 아니라 타자의 응시가 드러나는 곳이다. 거울 앞에 선 관람자는 스스로 거울의 얼룩이 되어 그 작품속을 채워 넣는다. 대상a를 보고자 하는 욕망으로서의 주체는 눈속임에 사로잡히기도 하고, 그 너머에 있는 응시와 유희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미지-행위’는 응시와 같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시대상이 발산하는 환영적 이미지에서 응시가 출현하고, 이 응시는 푼크툼이 방출하는 환유적 힘과 함께 움직이며 지시대상 너머에서 욕망을 불러일으킨다. 곧 사진적 행위는 주체의 채울 수 없는 욕망을 그리고 결핍을 보고자 하는 욕망을 허락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마이클 스노우의 작품<사진적 자화상>의 분석을 통해 사진적 행위에서 드러나는 주체와의 욕망적 관계를 응시로 규명하고, 또한 사진예술이 확실성에 대해 유동적인이라는 것을 규명하는 데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d <Authorization>(1969) by Michael Snow based on the concept of gaze by Jacques Lacan. Photograph is an act itself that makes the image exist, so that the image cannot be considered outside of it. The act includes not only the movement of photographing to create the image, but also the act of accepting the image and gazing it. Therefore, photograph is an image executing. <Authorization>(1969) shows questions about what is reproduced, how it is produced, and how it is recognized, with an act of photograph itself. It reviewed how the gaze theory by Lacan as a relation of unconscious desires is discussed and applied in such photographic acts. The mirror apparatus of <Authorization> was considered as functions of mirror for gaze. <Authorization> exists in the relation of seeing and being seen through the mirror. Regarding the ``image-production moment`` including the relations between image and pointed object, and image and operator, the gaze between the mirror apparatus and the entity facing with it was focused on. The entity facing with the mirror continuously changes him/herself through the repetitive photographing process while desiring him/herself as an incomplete entity. The entity desiring in this division point is related to an object as deficiency. Here, the gaze is the deficiency of desire shown while hiding oneself. Regarding the ``image-reception moment`` that could be called the relation between image and audience, the characteristics of gaze were handled by focusing on the stain and screen functions of imitation. The imitation activity is different from copy, which is related to differences between gaze and sight. While imitation is based on sight of the entity``s eyes, the gaze is based on the entity``s camouflage showing and hiding him/herself. The screen can be understood as something showing the deleted image of the entity. Screen is not my gaze, but a place showing other``s gaze. Audience in front of the mirror becomes a stain on the mirror, and then fills the work. Sometimes, the entity as a desire to see the object a is fascinated by tricks or plays with the gaze beyond it. Such ``image-act`` can see something moving just like gaze. The gaze appears in the illusionary image released from the pointed object, and this gaze arouses desires beyond the pointed object by moving together with the metonymic power released from punctum. In other words, the photographic act allows the entity``s insatiable desire to see the deficienc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desire with the entity shown in the photographic act, and also to reveal that photography is fluid with certainty, through the analysis on <Authorization> by Michael S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