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확실성 정량화를 이용한 연합학습 기반 핑거프린팅 실내측위

        박준하(Junha Park),김택윤(Taekyoon Kim),김효원(Hyowon Kim),김선우(Sunwoo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성 정량화를 이용한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 기반 핑거프린팅 실내측위 방법을 제안한다.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dropout을 적용하여 연합학습의 뉴럴네트워크(NN: neural network) 모델을 생성하고, 학습이 완료된 모델은 테스트 과정을 반복하여 측위 오차의 분산을 정량화된 불확실성으로 변환한다. 서버는 분할된 모델에 정량화된 불확실성을 가중치로 주어 학습을 이어간다. 이에 따라 연합학습을 이용한 핑거프린팅 실내측위 보다 향상된 측위 정확도를 얻어낸다. 기존의 DNN(deep NN) 방법, 연합학습과 제안하는 측위 방법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UJIIndoorLoc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광범위한 지역의 실내 측위 정확도를 비교한다.

      • 딥러링 기반 핑거프린팅 실내측위의 뉴럴네트워크 불확실성 정량화

        박준하(Junha Park),김효원(Hyowon Kim),김선우(Sunwoo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핑거프린팅 실내 측위를 위한 뉴럴네트워크의 불확실성 정량화 기법을 제안한다. Dropout을 적용하여 뉴럴네트워크(NN: nerual network) 모델을 생성하고, 테스트 과정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입력하여 예측 위치를 샘플링한다. 불확실성을 정량화 하기 샘플링한 예측 위치의 분포 히트맵을 통해 확인하고 분산을 계산한다. 또한, dropout이 적용된 딥러닝 기반 모델이 오버피팅(overfitting)문제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deep NN(DNN) 모델과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학습과 테스트 오차의 차이를 확인한다.

      • COVID-19 안전안내 문자 픽토그램 디자인 및 Rule Based 키워드 추출 알고리즘 개발

        박준하(Junha Park),조예린(Yerin Cho),강어진(Eojin Kang),김민석(Minseok Kim),노승현(Seunghyun Rho),손초록(Chorok Son),이진아(Jina Lee),장혜원(Hyewon Jang),현우진(Ujin Hyeon)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코로나 19 의 확산으로 인해 국내 재난문자 수신 빈도가 증가하였지만, 한글 텍스트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어 해당 서비스의 보편성이 제한되어 있다. 긴급재난 문자/안전안내 문자의 가독성을 높이고, 동시에 한글 텍스트의 수신 및 이해가 어려운 이들이 해당 텍스트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특수 픽토그램을 개발, 재난문자의 보편성을 제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이후 발송된 안전안내 문자 텍스트 4,568 건을 수집하여 텍스트를 분류, 키워드 요약을 수행하고 이 과정을 자동화하는 Rule-Based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Human-study 를 통해 Open 언어처리 API 와의 성능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추출한 키워드를 바탕으로 기본 심볼을 설계하여 키워드-심볼 매핑을 수행한 후 픽토그램으로 조합함으로써 확장성 높고 효율적인 픽토그램 디자인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SCOPUS

        국내 경유 대체연료로써 커피박 바이오오일 혼합연료의 압축착화엔진 적용성에 관한 연구

        박준하(Junha Park),이석환(Seokhwan Lee),이진욱(Jinwook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8 No.4

        The interest in the bio-oil production technology is increasing due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ergy demand. Bio-oil is a liquid fuel obtained by pyrolyzing the lignocellulosic biomass. Bio-oil, however, has poor fuel properties for direct use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hence, the fuel properties must be improved by adopting an upgrading method. The simplest such method is mixing bio-oil with diesel and alcohol. This direct mixing method has advantages, such as in terms of the calorific value, cetane number, and dissolution of solid particles. In this study, coffee grounds bio-oil was mixed with diesel, n-butanol, and cetane enhancement of 2-EHN, and was applied to a direct-injection compression ignition engine. Engin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a 2~10 bar IMEP load and 600, 900, and 1200 bar injection pressure using four mixed fuels and diesel.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combustion behaviors of all the fuels were comparable to one another, and that the THC, CO, and NOx emissions of the mixed fuels were similar to those of diesel, but the PM mass concentration decreased.

      • KCI등재

        주택가격 거품의 식별과 통화정책에의 시사점

        박준하 ( Junha Park ) 한국금융연구원 2021 금융연구 Vol.35 No.4

        본고에서는 중앙은행이 주택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통화정책을 사용해야 하는지(lean against the wind)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한 전제조건으로서 주택가격 거품의 존재 여부, 통화정책이 주택가격 거품에 미치는 영향 두 가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에서 2006~2007년 주택가격 상승이 예상 주택가격상승률을 상승시킴으로써 귀속 임대료를 비교적 크게 하락시켰던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당시 비합리적 거품이 존재하였음을 시사한다. 2018년 전국에서 유일하게 서울에서 이러한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거품의 지속성 및 크기는 2006~2007년 보다는 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정책 충격이 주택가격 거품에 미치는 효과의 경우, 금리 인상 직후 초기국면에는 거품이 감소하는지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종국적으로는 거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주택시장에서의 비합리적 거품의 발생이 빈번한 현상은 아닐 수 있으며, 동시에 통화정책이 정책 초기 다소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 거품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주택시장에 거품이 존재하는지에 여부 대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함을 전제로, 통화정책이 금융안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황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how far there exist the bubbles frequently in the housing market and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on them are examined as the main prerequisites in evaluating whether the central bank should lean against the wind through monetary policy to achieve the financial stability goal. First, the no-arbitrage condition between the imputed rent and the market rent is established through the simple model, and empirical analysis is performed on when the condition is not satisfi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far bubbles occur frequently in the housing market. Next, assuming a risk-neutral investor with the rational expectations and an economy with rational bubbles, the effect of the monetary policy shock on the rational bubble included in the house price is estimated through the time-varying parameter VAR model with bayesian MCMC (markov chain monte carlo) algorithm to examine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shocks on housing bubbles. In the analysis on frequency of the housing bubbles, Estimated results implies that there was the irrational bubbles between 2006 and 2007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Incheon, Kyungki). It is estimated that the bubbles continued until the first half of 2008. The imputed rent to market rent ratio was significantly below the long-term average. Thus, it can be seen that during the period, consumers were still "undervalued" despite the rise in house prices, and the increase in house prices increased the expectation for future house prices growth rate, thereby reducing the imputed rents rather than increasing them. The situation in which the irrational bubble collaps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hows the opposite situation. During 2009-2013, the imputed rent to market rent ratio continued to exceed the long-term average. It shows that consumers were "overvalued" despite the decrease in house prices because the expectation of a significant drop in house prices increased the imputed rents. The bubbles are analyzed to have started from the nationwide upward momentum in 2002.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upward trend was developed into the bubble, whereas it was not developed into the bubble and prices were adjusted properly by market mechanism in other regions. Since 2014, after about six years of the bubbles extinguishing process, the imputed rents to market rents ratio was generally at the long-term average. In the case of Seoul, the imputed rents to market rents ratio was significantly below the long-term average, indicating that the irrational bubbles occurred in the Seoul area during that period. However, unlike the situation right before the financial crisis, housing bubbles did not occur in the metropolitan area other than Seoul, and the size of the bubbles is analyzed to be limit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n 2019, the imputed rents to the market rent ratio again significantly exceeded the long-term average with the rising house prices. It implies that consumers overvalued house prices in 2019 and that house prices would enter a phase with downward pressure in 2020, although the big shocks related to COVID-19 in 2020 have changed all these predictions evaluated before 2020. In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shocks on the housing bubbles, it is estimated that an interest rate hike would reduce the bubble. At the beginning of the interest rate rise, the response value of the bubbles to monetary policy shock is uncertain to evaluate the increase or decrease. But, the value gradually decreases and becomes a negative in the second half of the reaction, which implies that a tight monetary policy shock can reduce rational bubbles certainly at least after the 10th quarter from the shock. Th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evidence that monetary policy on reducing the rational bubbles can be effective after some period since the policy is implemented while there is uncertainty initially. Taken together, key takeaway from the paper are two things. First, the results that bubbles occurr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06-2007 and Seoul in 2018 for 20 years indirectly imply that the occurrence of the irrational bubbles in the housing market is not a frequent phenomenon. Thus, there might only be limited cases in which housing bubbles must be dealt with through monetary policy at least in Korea, given those estimation results and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continuous credit expansion derived from falling the real interest rate. Secondly, monetary policy is highly likely to reduce the housing bubble, although there are some uncertainty in the effect of the policy on bubbles in early phases. It implies that monetary policy can be used as appropriate instrument to target the financial stability in limited but necessary circumstances.

      • 5G의 Latency 측정 및 원인 분석과 Dual Connectivity Scheduling 측면에서의 해법 연구

        박준하(Junha Park),박세웅(Saewoong Bah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5G 통신시스템에서 종종 발생하는 속도 저하 현상을 실험적으로 확인해보고 이를 LTE 통신시스템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로 저하되는지를 살펴본 논문이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의 통신속도 저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5G 통신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인 Dual Connectivity 측면에서 개선할 점을 살펴보고 Dual Connectivity data destination time fitting 과정을 통해 5G dual connectivity의 latency를 줄이고 data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