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에 의한 3차원 동물서식도 제작

        박준규 ( Joon Kyu Park ),김민규 ( Min Gyu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4

        At present, about 1.6 million bio-specie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world. Approximately 30 thousand indigen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and about fifteen thousand species of biology inhabit in Korea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where has been lived 133 species at 60 percent of endangered species is a very important wildlife protection area.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about substantiv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wildlife is urgently needed to protect and manage endangered species. In this study, main habitats about animals were registered using GIS program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3 dimensional habitat map was produced. Also, new plan was suggested to preserve and manage animals in national parks by producing 3 dimensional habitat map. The habitat map was produced using coordinate file of animals, polygon file about boundary of national park, and ASTER GDEM. New conceptional animal habitat map will be used by means of the valuable information when the plans for preservation/management and habitat protection about animals are designed.

      • SfM 기반 RGB 및 TIR 영상해석을 통한 태양광 모듈 이상징후 정밀위치 검출

        박준규,한웅지,권영훈,강준오,이용창,Park, Joon-Kyu,Han, Woong-ji,Kwon, Young-Hun,Kang, Joon-Oh,Lee, Yong-Chang 인천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9 도시과학 Vol.8 No.1

        Recently, interest in solar energy, which is the center of new government energy policy, is increasing. However, the focus is on mass production of solar power plants, and policies and related technologies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existing installed PV modules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use UAV (Unmanned Aerial Vehicle) to acquire RGB and infrared images, apply it to the structure-from-motion (SfM) based image analysis tool, model the three- And the position of the hot spot was monitored and coordinates were detec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spatial information for maintenance of solar module by monitoring and position detection of hot-spot suspected solar cells by superimposing infrared image and RGB image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 SCOPUSKCI등재

        지하시설물 품질등급 정보의 활용을 위한 관련 규정 및 건설기준 개정 방안

        박준규,김태훈,김원대,Park, Joon Kyu,Kim, Tae Hoon,Kim, Won Dae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4

        우리나라에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1994년 12월 서울 북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에 이어 1995년 4월 대구 지하철 폭발 사고 이후부터이며, 이와 같은 대형 가스 폭발 사고로 인해 인명 피해와 잠재적 편익을 포함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지하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전산화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크게 부각되었다. 우리나라는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에 따라 지하시설물에 대한 전산화를 수행하고 있지만 지하시설물 정보의 관리 및 활용 확산을 위해서는 지하시설물 데이터의 품질등급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 정보 구축 및 관리 현황과 법령 및 규정 조사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하시설물 정보의 품질등급 정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건설공사에 지하시설물 품질등급 정보가 연계 활용될 수 있도록 「공공측량 작업규정」과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전문시방서 등 건설공사기준과 가스기술기준, 전기설비 및 정보통신공사의 설계기준 및 표준시방서의 연계성을 조사하여 지하시설물 품질등급 정보의 활용이 가능한 대상을 도출하고 건설기준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지하시설물의 품질등급이 확립된다면 건설 분야에서 지하시설물 품질등급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현장 적용에 있어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mputerization project for underground facilities in Korea began in earnest after the city gas explosion in Seoul in 1994, and the Daegu subway explosion in 1995. As such a large-scale gas explosion accident caused enormous economic loss including human casualties and potential benefits, the need for computeriz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was greatly emphasized in society. Meantime, computeriz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has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basic plan for building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this study, problem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as well as laws and regulations, and directions for establishing quality standards were presented. In addition, construction work standards such as 「Public Survey Work Regulations」, design standards, standard specifications,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gas technology standards, design standards, and communication works so that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can be linked and utilized in construction work by examining the linkage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the targets that can be used for quality level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were derived, and a proposal to revise the construction standards was presented. In the future, if the quality standards are established, it is expected that the accuracy and utiliza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will be increased.

      • GPS/Tilt sensor를 활용한 정사영상 생성

        박준규(Joon-Kyu Park),김민규(Min-Gyu Kim),정갑용(Kap-Yong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실제 지형과 동일한 모습을 제공하는 정사영상은 사진이 가지는 시각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수치지형도보다 뛰어난 가독성을 제공하며 시뮬레이션이나 3D 모델링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기 때 문에 그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Tilt sensor가 탑재된 UAV를 이용하여 정사영상 을 생성하고, GPS측량 결과와 비교를 통해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평균 0.033m 정확 도의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UAV의 활용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비행계획에 따른 드론 LiDAR의 공간정보 구축 품질 및 정확도 분석

        박준규(Joon-Kyu Park),이근왕(Keun-Wang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3

        공간정보는 국토개발을 위한 수치지형도 제작에서 최근 내비게이션, 포털지도, 정사영상지도 및 3차원 지도 등으로 위치기반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드론은 정찰 및 무인감시 등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30년 전에 처음으로 공간정보 구축 분야에 활용되었지만, 최근 I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데이터 취득을 위한 플랫폼으로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드론에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결합한 드론 LiDAR의 등장은 넓은 지역을 3차원으로 측량할 수 있는 수단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다. 하지만 드론 LiDAR에 대한 실무적인 적용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 LiDAR를 이용한 공간정보 구축에서 비행계획에 따른 성과물의 품질과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드론 LiDAR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데이터 처리를 통해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또한 비행계획 별 성과물에 대한 품질 및 정확도를 분석함으로써 드론 LiADR의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데이터 취득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향후 드론 LiDAR 기반의 3차원 공간정보는 정밀한 지형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으로 건설 및 산림분야에 활용이 기대된다. In geospatial information, location-based services are expanding from digital topographic maps for national land development to navigation, portal maps, orthographic maps, and 3D maps. Drones were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such as reconnaissance and unmanned surveillance. Drones were first used in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about 30 years ago. On the other hand, the advent of drone LiDAR, which combines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with drones, has increased the means to survey a large area in three dimensions. However, practical applications for drone LiDAR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y and accuracy of the results for different flight plans in the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using drone LiDAR. Data on the research site was acquired using the drone LiDAR, and 3D spati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point cloud was constructed through data processing. Later, it was also possible to present an effective data acquisition method for the use of drone LiADR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future, 3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drone LiDAR is expected to be used in the construction and forestry fields as an efficient way to build precise topographical models. It will also be possible to present various cases of underground facility exploration using GP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무인항공 경사사진을 이용한 3차원 모델 생성 및 정확도 평가

        박준규(Joon-Kyu Park),정갑용(Kap-Yong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3

        공간정보 관련 분야는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센서 및 자료처리 기술의 발달로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각종 산업과 사회적 활동에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누구나 보기 쉽고 이해가 빠른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은 관련 서비스의 품질과 신뢰도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3차원 공간정보 구축 기술로 3D 레이저 스캐너가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3D 레이저 스캐너는 대상물의 규모가 크거나 형상이 복잡한 경우, 데이터 취득이 되지 않는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비의 이동 및 설치 횟수가 많아질수록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경사사진을 취득하고, 자료처리를 통해 대상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를 선정하고,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경사사진을 취득하였으며, 자료처리를 통해 0.02m의 간격을 가지는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3D 모델을 생성하였다. 3D 모델의 정확도 평가 결과는 최대 0.19m, 평균 0.11m로 나타났으며, 축 방향에 따른 편차의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촬영 및 자료처리 방법에 따른 정확도 평가와 카메라 종류에 따른 3D 모델 구축과 정확도 평가 및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3D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며,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3D 모델은 거리 및 면적의 측정, 단면 생성, 대상물의 도면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여 공간정보 서비스 및 관련 업무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field of geospatial information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sensor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that can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And demand is increasing in various related industries and social activities.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three 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that is easy to understand and easy to understand can be an essential element to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related services. In recent years, 3D laser scanners are widely used as 3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echnology. However, 3D laser scanners may cause shadow areas where data acquisition is not possible when objects are large in size or complex in shape. In this study, 3D model of an object has been created by acquiring oblique images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processing the data. The study area was selected, oblique images were acquired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point cloud type 3D model with 0.02 m spacing was created through data processing. The accuracy of the 3D model was 0.19m and the average was 0.11m. In the future, if accuracy is evaluated according to shooting and data processing methods, and 3D model construction and accuracy evaluation and analysis according to camera types are performed, the accuracy of the 3D model will be improved. In the point cloud type 3D model, Cross section generation, drawing of objects, and so on,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of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nd related work.

      • 위치표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도로노면의 효율적 관리 방안

        박준규(Joon-Kyu Park),이종신(Jong-Si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우리나라의 가구당 자동차 대수가 2008년을 기점으로 1.00을 넘었으면 현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의 증가로 인해 도로의 훼손율 또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지역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도로노면 관리를 위해 위치표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위치가 대상지역 촬영사진에 표시되고 구글어스를 통해 각 지점별 등록을 할 수 있어 도로노면의 경제적인 관리가 가능하였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