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각추구성향이 팝아트 인퓨전 광고 태도에 미치는 효과

        주경희(Chu, Kyounghee),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6

        팝아트 인퓨전 광고는 광고물에 현대적인 팝아트 작품을 주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팝아트란 대중적인 문화 콘텐츠나 상업적인 소재를 순수 미술의 맥락 안에서 사용하는 예술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팝아트 작품을 실무에서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서 아트 인퓨전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의 관련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개인적인 특질 중 하나인 감각추구성향을 제안하고 모던 팝아트 인퓨전 광고의 효과를 개인의 감각추구성향이 조절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감각추구성향이란 자신이 원하는 일정한 수준의 감각적 자극 경험을 추구하고자 하는 개인의 기질 특성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감각추구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실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높은 감각추구성향을 지닌 사람들이 일반 광고보다 모던 팝아트 인퓨전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우호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낮은 감각추구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모던 팝아트 인퓨전 광고와 일반 광고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감각추구성향에 따라 모던 팝아트 인퓨전 광고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검증함으로써, 아트 인퓨전 연구 범위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트 인퓨전 기획 시, 우선적으로 누구를 대상으로 집행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가에 대한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Pop-art infusion advertisements mean injecting modern pop-art works into advertisements. Although art infusion attempts are being made in various contexts in practice, related research in academia is still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one of the consumer s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nsation seeking tendency, is proposed as an important moderator and verifies that the effect of modern pop-art infusion advertising is moderated by individual sensation seeking tendenc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is found that people with high sensation seeking tendency tend to have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modern pop-art infusion advertisements than general advertisements.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ttitudes between modern pop-art infusion advertisements and general advertisements for people with low sensation seeking tendency.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art infusion research by verifying that the effects of modern pop-art infusion advertisements differ according to the consumer s sensation seeking tendency. In addition, there ar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t can provide guidelines to ads practitioners about whom to target when planning art infusion.

      • KCI등재

        K-콘텐츠의 수사적 표현에 대한 소비자 평가

        주경희(Chu, Kyounghee),이은영(Lee, Eun Young),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K-콘텐츠 제목에 수사적 표현을 사용하였을 때 소비자 평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수사적 기법은 직유법, 은유법, 역설법, 반어법, 과장법, 모순어법, 의인화법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K-드라마 제목에 은유법을 사용할 때 어떤 동기적 특성을 가진 시청자들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의 시청자들이 예방초점의 시청자들보다 은유법을 사용한 K-드라마 제목에 대해 보다 더 긍정적 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시청의도를 분석한 결과 향상초점의 시청자들이 예방초점의 시청자들보다 은유법을 사용한 K-드라마 시청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사적 표현에 대한 기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주로 이뤄져 왔다. 이에 K드라마 제목을 대상으로 수사법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존재한다. 더불어 K-콘텐츠의 제목을 짓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흥행에 K-콘텐츠의 제목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K-콘텐츠의 제목은 제품의 브랜드 역할을 한다고 해고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처럼 K-콘텐츠 제목의 중요성은 실무에서 잘 알고 있고 관심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 K-콘텐츠의 제목과 관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 how consumers evaluate when rhetorical figures are used in the title of K-contents. Rhetorical figures exist in various forms, such as simile, metaphor, paradox, irony, exaggeration, oxymoron, and personific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types of viewers respond more positively when using metaphors in the title of K-drama.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viewers with promotion-focus prefer K-drama titles using metaphors to viewers with prevention-focu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viewing intention, viewers with promotion-focus had higher intention to watch K-drama using metaphors than viewers with prevention-focus. Existing research on rhetorical expression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rhetorical expression applied to the title of the K-drama. It is very important to title K-content. This is because the title of K-content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hit. As such,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title of K-contents serves as a brand of a product. so despite its big importance in practice and high interest, related research is very insufficient due to the lack of attention from marketing academia. Therefore, this study would serve as a cornerstone for promoting derivative research related to the titles of various K-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골프 아이언 스윙 시 Fade, Draw, straight 구질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한근호(Han, Kun-Ho),박찬희(Park, Chan-Hee),김기현(Kim, Kee-Hyun),주현식(Chu, Hyun-Sik),변경석(Byun, Kyung-Seok),박종철(Park, Jong-Chul)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quantitative data on a kinematic analysis of a ball flight (Fade, draw and straight) in golf iron swinging so a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golf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3D mo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8 male golf play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iron shot stance differed depending on each ball flight. The subjects performed a swing in open stance posture for Fade, and a closed stance posture for draw. Second, the trunk angle differed for E5 and E6 depending on the ball flight. The trunk rotation was bigger for draw E5 and E6 than fade. Third, the head angle differed depending on the ball flight. The subjects performed an impact with the head open for fade and head closed for draw. Fourth,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of the trunk differed depending on the ball flight.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was faster for draw compared to straight and fade. Fift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int of time in which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between the pelvis and trunk appeared. However, the study shows the subjects performed effective rotational motions for fade, draw and straight in a whip-like pattern.

      • KCI등재

        건강지향 소비자 행동에 대한 조사 연구

        손영화 ( Young Hwa Son ),조혜진 ( Hye-jin Cho ),박종철 ( Jong-chu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 따라 소비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소비행동에서 남녀차이가 있는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학생들과 일반인들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소비자들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서울, 경기, 대구 및 광주지역의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건강관심도에서 남녀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건강관심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비교한 결과, 건강관심도에서는 대학생보다 일반인들이 더 높게 나타났고,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관리 행동에서의 성별, 연령대별 그리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소비행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 성별 분석결과는 헬스클럽에 회원 가입해서 운동하는 것과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것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고, 음식조절과 같은 경우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대별 분석 결과는 30대가 회원가입해서 운동하는 것과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것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고, 50대는 건강식품, 기능성 약품 복용 및 음식조절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건강관리 행동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건강관리 행동에서 대학생보다는 일반인들이 높게 나타났고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의 건강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건강관련 지출 금액이 높은 소비자일록, 규칙적인 생활을 할수록,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건강관리 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across genders or age groups, or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accordance with one’s interest in health and self-perception of one’s own health. The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Seoul, Gyeonggi Province, Daegu and Gwangju. The findings are as follow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erms of their interest in health, self-perception appeared to b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across different age groups,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for self-perceived health. A comparis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registered higher in terms of their interest in health,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as found for health status. A review on the difference or lack thereof in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between genders an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howed that me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women to register themselves at a gym and work out, or to carry out exercises like jogging. In terms of dietary planning, women scored higher than me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analysi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hows that those in their 30s scored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when it came to joining a gym or doing workouts like jogging, while those in their 50s scored higher in terms of their intake of health supplements or dietary planning and control. A comparison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show that in all types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adults scored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