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자의식과 의사소통 불안이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정원(Jeoung Weon Park),김근면(Geun Myu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자의식, 의사소통 불안, 대인의사소통 능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 및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학생들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증진과 관련된 교육과 연구 분야에 활용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623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10월 5일부터 12월 15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의식 전체 평균은 3.50이었고 의사소통 불안은 평균 67.07로 높은 수준이었다. 대인의사소통 능력은 평균 74.71로 중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자의식은 의사소통 불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의사소통 불안은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불안과 의사소통 불안, 공적자의식이 낮을수록 대인의사소통 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examined how self-consciousnes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related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623 nursing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conducted from Oct 5 to Dec 15, 2009.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self-consciousness scale, personal report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ventor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Public self 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apprehension. 2) Communication apprehen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3)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social anxiety, public self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implications for nursing pointing out relieving communication apprehension of nursing student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to develop nurse-client therapeutic relationship. (Korean J Str Res 2011;19:1∼10)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과 의사소통 기술 수행

        박정원(Jeoung Weon Park),하나선(Na Sun Ha) 대한스트레스학회 2014 스트레스硏究 Vol.22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의사소통 불안, 의사소통기술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과 의사소통기술 수행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일개 대학 간호학생 291명으로 편의 표출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9월 23일부터 10월 18일까지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은 9번(중재자) 유형이 가장 많았고, 힘의 중심 유형별로는 본능중심이 가장 많았다. 의사소통기술 수행은 성별, 학년, 임상실습 경험, 정신간호 실습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학년이 1학년과 3학년보다,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의사소통기술 수행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불안은 6번(충성가) 유형이 8번(지도자) 유형보다 높았다. 의사소통기술 수행 정도는 힘의 중심별 성격 유형으로 감정중심과 본능중심이 사고중심보다 높았고, 2번(조력자) 유형이 4번(예술가) 유형보다 높았다. 의사소통 불안과 의사소통기술 수행은 역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의사소통 불안과 의사소통기술 수행은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간호학생들의 의사소통기술 수행을 높일 수 있도록 의사소통 불안을 중재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성격 유형별로 의사소통기술 수행과의 관련성을 더 파악함으로써 의사소통 행위를 교육시 성격 유형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Communication apprehension & performance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nursing students" Enneagram personality types. With a descriptive survey design, a self report study was conducted 291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tools of this study were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personal report communication apprehension, performance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The data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win program. 1) In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type 9 were highly measured. 2) Performance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were meaningful differences with grad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3)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performance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were meaningful differences with Enneagram personality types. 4) Communication apprehen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formance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of study suggest that there is need of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nursing students" Enneagram personality types.

      • KCI등재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따른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박정원(Jeoung-Weon Park),정유희(You-Hee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신입생 89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3월 7일부터 2016년 9월 23일까지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의사소통 스타일은 PC-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의사소통 스타일별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스타일은 ‘배려 공감형’, ‘긴장 수동형’, ‘예민 산만형’, ‘촉진 주도형’의 4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대인관계불안은 ‘긴장 수동형’과 ‘예민 산만형’ 이 ‘배려 공감형’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배려 공감형’이 ‘예민 산만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고려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대인관계불안 감소 및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학생지도 지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subjectivity on communication styles of nursing freshmen by using the Q Methodology, and exam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and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yles. Participants were 89 nursing freshmen,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7. March to 23. September 2016.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C-QUANL program for communication styles, an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with SPSS windows version 24.0 program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and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yles. As a result, 4 communication styles were identified, Considerate-empathetic, Tense-passive, Vulnerable-easily distracted, and Facilitative-leading. Tense-passive, Vulnerable-easily distracte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than Considerate-empathetic. Considerate-empatheti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llege adjustment than Vulnerable-easily distra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educational programs and provide a foundation to improve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freshme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건강상태

        박정원(Jeoung Weon Park),정유희(You Hee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2 스트레스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동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행동 및 건강상태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도구는 학령기 아동의 생활스트레스 척도,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자기보고식 다차원 증상목록 검사지, 주관적 건강상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1월부터 2012년 2월까지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학업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적극적 대처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정신건강 문제는 대인 예민성이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스트레스는 담임교사와의 관계, 성적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친구관계, 담임교사와의 관계, 성적, 가정형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정신건강은 친구관계, 성적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 변수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는 소극ㆍ회피적, 공격적, 사회지지추구 대처행동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정신건강의 하위영역인 대인예민성, 우울, 적대감, 불안, 신체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건강에 영향하는 인과적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가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고, 스트레스, 공격적 대처행동, 소극적 대처행동, 적극적 대처행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 기술을 포함한 아동의 스트레스 중재 방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stress, coping behavior and health problems of elementary stud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s. Data was collected from 252 elementary stud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s by using survey instruments, and was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program. The greatest stressor of participants was schoolwork, the most used coping behavior pattern was active coping and the largest problem of mental health was interpersonal sensitivity. Stress was correlated positively to coping behaviors of aggressive, inactive/avoidant and pursuit of social support. It was also correlated to subjective health states and mental health. The influencing factors to mental health are subjective health states, stress, aggressive, inactive/avoidant and active coping behavior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coping skills to promote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후보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 경험

        박정원(Jeoung Weon Park),최정(Jung Choi) 대한스트레스학회 2013 스트레스硏究 Vol.21 No.3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간호학생 23명으로서 애니어그램 성격 유형중 본능 중심 9명, 가슴 중심 6명, 사고 중심 8명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질적 내용 분석 과정을 따랐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의 경험은 환자와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감정의 기복, ‘치료적인 나’가 되고 싶음, 실습과제 수행에 대한 압박감의 3가지 주제와 낯선 상황이 불안함, 힘들고 속상함, 기쁘고 뿌듯함, 환자에게 다가가기 어려움, 치료적 의사소통술 적용, 치료자로서의 입장을 고민함,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이 완화됨, 실습 과제에 대한 스트레스, 도움받기의 9개의 하위 주제로 드러났다 각 하위 주제별로 본능 중심, 감정 중심, 사고 중심 성격 유형 간에 경험의 상황적 맥락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s of the nursing students’ in psychiatric settings by personality types of enneagram. The qualitative data was gathered from 3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23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um in psychiatric settings. Focus groups include ‘instinct’, ‘feeling’, and ‘thinking’ group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f enneagram.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ccording to thematic content analysis processes. The three main themes on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ere ‘Emotions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Desire to become therapeutic oneself’, ‘The sense of pressure toward task."Nine other themes were ‘Anxious about unfamiliar situation’, ‘Tired and upset’, ‘Happy and full’, ‘Difficult to get closer to patients’, ‘Applying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Worrying position as a therapist’, ‘Softened prejudices about mental illness’, ‘Stress toward task’, and ‘Getting assist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in the participants’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f enneagram.

      • KCI등재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연구

        박정원(Jeoung-Weon Park),정유희(You-Hee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방법은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간호대학 신입생으로 구성된 P 표본 5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Q 표본 55개의 진술문을 11점 척도 분포도에 분류하게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PC-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스타일은 ‘개방적 교류 촉진형’, ‘타인배려 경청형’, ‘비판예민 긴장형’, ‘교류회피 관찰형’으로 추출되었다. 개방적 교류 촉진형은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능숙하게 사용하여 개방적으로 자아를 노출하고 교류를 촉진하는 유형이다. 타인배려 경청형은 자신보다는 타인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여 신중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스타일이다. 비판예민 긴장형은 비판에 예민하고 긴장하며 산만한 스타일로 친밀한 교류가 어려운 유형이다. 교류회피 관찰형은 자기를 노출하지 않고, 타인을 관찰하면서 상호교류에 무관심한 방관자 스타일이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간호대학 신입생을 위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subjectivity on communication styles of nursing freshmen and explore their properties by using the Q Methodology. Fifty nursing freshmen of P sample classified 55 Q-statements into the normal distribution of 11 point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5 and analyzed by using PC-QUANL program. As a result, communication styles are identified as ‘Open-interaction facilitator’, ‘Other-considerate listener’, ‘Tense-sensitive to criticism person’, and ‘Non-interactive observer’. Open-interaction facilitators proficiently use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penly disclosing themselves and facilitating interactions with others. Other-considerate listeners primarily consider others before themselves, with careful communication. Tense-sensitive to criticism persons are nervous, sensitive to criticism, and are distractive style, so they have difficulties in intimate interaction with others. Non-interactive observers are bystanders who observe others and feel indifferent to interactions, without any self disclosu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ing freshme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 경험

        박정원(Jeoung Weon Park)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 경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본질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외상 경험이 있는 4명의 참여자로부터 심층 면담법으로 생성되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6월부터 9월까지이었다. 필사된 자료는 Colaizzi’s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 경험은 최종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범주는 1) 외상 사건 2) 외상 재경험 3) 투쟁하기 4) 외상 경험에 익숙해지기 5)성장으로 나아가기 이다. 본 연구 결과는 참여자들의 외상 후 성장 경험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자기개방을 포함한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explore the nature of posttraumatic growth b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reated by in-depth interviews on the experiences of 4 participants for 4 months; from June to September, 2016.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made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Five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themes and themes clusters were: 1) Trauma event, 2) Traumatic reexperience, 3) Struggling, 4) Getting used to traumatic experience, 5) Going to growth.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i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posttraumatic growt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 that promotes posttraumatic growth including self disclosure.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의 항정신성 약물복용 경험

        박정원(Jeoung Weon Park),임화윤(Hwa Yoon 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2 스트레스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정신 장애인들의 항정신성약물 복용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약물이행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항정신성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8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11월부터 2011년 8월까지였으며, 일대일 비구조화 면담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항정신성 약물 복용 경험은 ‘투약에 순응하기’, ‘약물이 필요함을 인식함’, ‘약 복용에 대한 부담감’, ‘약물 복용에 맞서기’, ‘약물을 동반자로 받아들임’의 5개 범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ntipsychotic agents in mentally disabled, and explore the nature of drug complia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the 8 Persons living in Seoul from November 2010 to Aug 2011. The data was created by the interview on the experiences of antipsychotic agent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made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Five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themes and themes clusters were: 1) following taking medicine 2) recognizing medicine’s necessity 3) burden from taking medicine 4) facing taking medicine 5) accepting medicine as a company. (Korean J Str Res 2012;20:21∼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