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치모델을 이용한 버킷기초의 장기거동 분석

        박정선(Jeongseon Par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2 No.10

        풍력발전기 기초의 누적 회전각과 침하량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반복하중에 따른 버킷기초의 장기거동을 분석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버킷기초의 다양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반복 삼축압축시험으로부터 도출된 강성감소 경험식을 수치모델에 사용자 서브루틴으로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강성감소 모델을 사용하여 버킷기초의 누적 회전각을 산정하였으며, 반복하중 작용 시 거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Estimation of accumulated rotational angles and settlements are critical in design of wind turbine found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exploring the response of bucket foundation to long-term cyclic loading. We performed a series o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es of bucket foundations installed in sands. An empirical formulation which captures the stiffness degradation observed in cyclic triaxial tests implemented into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e form of a user subroutine. Using the stiffness degradation model the accumulated rotation and displacement of bucket foundation were calculated. Additionall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response under cyclic loading were assessed.

      • KCI등재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버킷기초의 강성

        박정선(Jeongseon Park),두희(Duhee Park),윤세웅(Sewoong Yoon),장화섭(Hwasup Jang),윤지남(Jinam Yoo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7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8 No.8

        풍력발전기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수행하는 통합하중해석에서 기초는 하중과 변위의 관계로 정의되는 기초강성을 입력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기초의 형상과 지반의 조건이 정확하게 반영된 기초의 강성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지반의 탄소성 거동을 정밀하게 반영한 버킷기초의 강성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질토의 마찰각과 버킷기초 형상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기초의 강성을 산정하였으며, 해석결과로부터 정규화된 기초강성 매트릭스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버킷기초의 강성산정방법은 설계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To perform an integrated load analysi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tability evaluation of wind turbine generators, the six degree-of-freedom stiffness matrix of foundation, which describes relationships between loads and displacement, is needed. Since the foundation stiffness should accurately reflect the shape of foundation and the condition of soil,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stiffness of the bucket foundation that considers the elasto-plastic behavior of the soil. In this study, finite element analyses were performed for a range of soils and shapes of bucket foundations to estimate the foundation stiffness. Normalized stiffness curves are developed from respective numerical simulations. Proposed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useful because they can be directly applied in the design.

      • KCI등재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버킷기초 및 얕은기초의 수직지지력 산정

        박정선(Jeongseon Park),두희(Duhee Park),지성현(Sunghyun Jee),김동준(Dongjoon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5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6 No.9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버킷기초의 수직지지력은 주면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의 합으로 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수직하중 작용 시 나타나는 주면마찰력 감소와 선단지지력 증가의 특징을 정확하게 고려할 수 있는 설계식이 없으며, 실제와 같은 사질토 지반의 비관련흐름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축대칭 유한요소해석으로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원형 버킷기초의 수직지지력을 다양한 지반 마찰각과 기초 크기에 대하여 산정하였다. 해석 결과의 극한지지력을 주면마찰력과 선단지지력으로 분리하여 특징을 분석한 후 각각의 설계식을 도출하였다. 버킷기초의 주면마찰력은 선단지지력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고 말뚝 설계식과 차이가 근소하므로 이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주면마찰력의 영향으로 얕은기초의 지지력보다 증가하는 버킷기초의 선단지지력은 기존의 설계식을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해석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형상-깊이계수(sq · dq )를 제안하였다. 또한 관련흐름법칙을 적용하여 제안된 기존의 얕은기초 형상계수와 깊이계수는 실제 사질토 지반에서의 지지력을 과대예측하므로 비관련흐름 특성을 반영한 형상-깊이계수를 사용하여 지지력을 예측해야 한다. The vertical bearing capacity of a bucket foundation installed in sand can be calculated as sum of the skin friction and end bearing capacity. However, the current design equations are not considering the non-associated flow characteristics of sand and the reduction in the skin friction and increase in the end bearing capacity when the vertical load is applied. In this study, we perform two-dimensional axisymmetric finite element analyses following non-associated flow rule and calculate the vertical bearing capacity of circular bucket foundation of various sizes installed in sand of different friction angles. After calculating the skin friction and end bearing force at the ultimate state, design equations are derived for each. The skin friction of bucket foundation is shown significantly small compared to the end bearing capacity. Considering the difference with the available design equation for piles, it is recommended that the equation for piles is used for the bucket foundation. A new shape-depth factor (sq?dq) for bucket foundation is recommended which also accounts for the increment of the end bearing capacity due to skin friction. Additionally, the shape and depth factor of embedded foundation proposed from the associated flow rule can overestimate the bearing capacity in sand, so it is more adequate to use the shape-depth factor propos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미지값 비례 과제에 대한 수 구조별 인지적 조작 분석

        박정선(Jeongseon Park),신재홍(Jaehong Shin) 수학교육철학연구회 2023 수학교육철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미지값 비례 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인지적 조작 활동을 분석한 것이다. 이는 비례 추론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진행된 ‘비례 추론에서 수 구조의 특성’, ‘비례 추론 과제에 대한 수학적 분석’, 그리고 ‘조작과 스킴 관점에서 수 지식과 비례 추론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비례 추론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수 구조를 갖는 비례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인지적 조작에 대해 개념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념적 분석 결과, 첫째, 수 구조별로 달랐던 학생들의 비례 추론은 해결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단위 조정 활동 및 단위 수준의 영향을 받았다. 둘째, 같은 수 구조일지라도 접근 방식에 따라 필요로 하는 인지적 조작이 달랐다. 셋째, 자연수에서 구성한 단위 조정 활동은 모든 수 구조에서 활용되었다. 넷째, 복잡해 보이는 비례 과제라 하더라도 분수 지식이 해결의 기저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 구조와 관련된 비례 추론을 인지적 측면에서 설명하였고, 수 지식과 비례 추론의 관계를 수 구조의 특성과 연결하여 구체적으로 보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and how cognitive operations are required in the process of solving missing-value proportion problems. This is an attempt to synthesize the following studies conduced independently in the field of proportional reasoning: ‘characteristics of number structures in proportional reasoning’, ‘mathematical analysis of proportional reasoning tasks’, and ‘relationships between numerical knowledge and proportional reasoning in terms of operations and schemes’. To this end, proportion problems with various number structures were presented, and a conceptual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on the cognitive operations required in the process of solving it. As results of the conceptual analysis, first, units coordinating operations and unit levels required in the solution process differed by number structures. Second, even with the same number structure, different cognitive operations were required depending on the approach. Third, units coordinating operations constructed in whole numbers were utilized in all number structures. Fourth, fractional knowledge became the basis for solving in complex proportion problems. These results have the significance of explaining proportional reasoning related to number structures from a cognitive aspect, and showing 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proportional reasoning and numerical knowledg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umber structures.

      • KCI등재

        Paul Ernest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에 대한 교수학적 고찰

        박정선(Park Jeongseon),신재홍(Shin Jae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Ernest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 모델이 교실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동일하게 적용가능한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을 설명하는 대안적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Ernest의 모델 에 대한 이론적, 교수학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학생의 지식 구성과정을 명확히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은 주관적 지식을 구성하나 Ernest의 모델이 제시한 객관적지식을 스스로 구성한다고 볼 수 없다. 둘째, 교사의 개입 하에 학생은 주관적 지식 과 구별되는 객관성을 갖는 지식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Ernest의 객관적 지식과 구별하여 ‘1차-객관적 지식’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교실공동체의 가장 큰 특징은 교사의 존재로, 교사와 학생 간의 비대칭적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지식이 구성되고, 이를 ‘기울어진 협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반영한 ‘학생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whether Ernest s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model is equally applicabl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of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n alternative model that describes a student s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on Ernest s model were attempted to clarif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tudents’ knowledge.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subjective knowledge but do not construct objective knowledge of the Ernest’s model by themselves. Second, students are regarded to construct the knowledge entailing objectivity to a certain degree under teacher intervention and we name it as the first–order objective knowledge distinguished from the objective knowledge in the Ernest’s model. Third, one of the most salient features of the classroom community is the existence of a teacher, and thus we describe the asymmetrical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s unequal negotiation . A model of student s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was presented.

      • KCI등재

        수학교육에서 진보주의와 구성주의 적용에 대한 성찰

        박정선 ( Park¸ Jeongseon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 Vol.60 No.3

        본 연구는 진보주의 교육과 구성주의 교육이 학습자의 주관적 지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으며, 이 두 교육 사조로부터 도출된 교육 원리가 수학교육 연구와 현장에 채택되어 적용될 때 유사한 문제점 또는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의식을 전제로 수행되었다. 주관적 지식을 강조하는 진보주의와 구성주의는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 주관적 지식 강조의 의미, 그 목적 및 적용 방향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해 먼저 과거 진보주의의 교육적 적용 방식에 대해 Dewey의 이론을 바탕으로 반성해보고, 이를 거울삼아 동일한 문제에 대한 현재 구성주의의 교육적 적용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주의에 대한 발전적 이해와 수학 교실에서 보편적 이론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 the assumptions that both progressivist and constructivist education emphasized the subjective knowledge of learners and confronted similar problems when the derived educational principles from the two perspectives were adopted and applied to mathematics research and practice. We argue that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should have clarified the meaning, purpose, and direction of ‘emphasizing subjective knowledge’ in application to the particular educational field. For the issue, we reflected Dewey’s theory on the application of past progressivism, and aligned with it, we took a critical view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current constructivism. As a result, first, the meaning of emphasizing subjective knowledge is that each of the students constructs a unique mathematical reality based on his or her experience of situations and cognitive structures, and emphasizes our understanding of this subjective knowledge as researchers/observers. Second, the purpose of emphasizing subjective knowledge is not to emphasize subjective knowledge itself. Rather, it concerns the meaningful learning of objective knowledge: internalization of o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fication of subjective knowledge. Third, the application of the emphasis on subjective knowledge does not specify certain teaching/learning methods as appropriate, but orients us toward a genuine learner-centered reform from below. The introspections, we wish, will provide new momentum for discussion to establish constructivism as a coherent theory in mathematics classrooms.

      • KCI등재

        성공적인 6차산업을 위한 가치사슬 모형과 빅데이터 활용 방안

        상혁,박정선,이명관,Park, Sanghyeok,Park, Jeongseon,Lee, Myounggwan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5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2

        Our agriculture and rural villages have faced negative conditions in many reasons. To overcome this situation, a new change is needed by the 6th industrialization. Many agriculture and rural villages in Korea are pursuing the 6th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to vitalize agriculture and rural villages.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e 6th industrialization. There is a limit to the capacity building of the members of the rural organization and Korean agricultural bas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are weak all. In addition, it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for value chain management of the region as a whole; there has been no study of information sharing across the region for the 6th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is about value chain management model for successful the 6th industry with Quick Response System and the big data technology. In this study to provide the efficiency of 6th industry value chain management with customer's needs analysis using big data and research for the information share between the industries in the region through the information pipeline theory of the QR System. We hope that our study is helped to proceed successfully on the 6th industrializ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