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신기술동향: 식품을 둘러싼 논쟁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3 食品技術 Vol.26 No.2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지난 5월 14일 미국 국립의학연구소의 보고서는 '소금은 적게 섭취할수록 좋다'는 권고사항에 의문을 제기했고, 염분섭취 제한에 대한 찬반양론을 다시 들끓게 했다. 이처럼 식품을 둘러싼 많은 신기술과 그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많은 논쟁이 존재한다. 이번 호에서는 지난 4월 이후 등장한 몇 가지 논쟁거리를 다루고자 한다.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한국식품연구원신기술동향: 식품기술의 변화를 부르는 기술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3 食品技術 Vol.26 No.4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타분야 기술로 빠르게 파급된다. 최근 등장하는 기술 역시 농식품 분야로 전파되어 새로운 식품기술(Food Technology)의 등장을 견인하고 있다. 식품에 적용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나 일부 연구자들은 발빠르게 움직여 관련 결과가 제시되기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호에서는 3D printing, Big data, 영상기술 등 타분야의 신기술을 다루고자 한다.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신기술동향: 식품의 주목받는 기능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2 食品技術 Vol.25 No.2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연구주제를 선정해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신기술동향: 비만과 식품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2 食品技術 Vol.25 No.3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지난 3개월뿐만 아니라 글로벌동향에서는 다수의 비만 관련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비만과 함께 당뇨 등의 대사성질환에 대한 연구까지 포함하면 전세계의 관심을 보여주듯 가장 많이 다뤄진 주제라 판단된다. 하여 이중에서 식품과 관련있거나 참고할 만한 11개의 기사를 선정하였다.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신기술동향: 식품의 또다른 용도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3 食品技術 Vol.26 No.3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농수축산물을 포함하여 대다수의 식품은 좋은 음식으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점차 이러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활용의 범주가 바이오리파이너리, 에너지 생산 외에도 의학, 화학산업 등으로 다양하다. 이번 호에서는 지난해부터 발표된 식품의 새로운 용도가 발견된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신기술동향: 식품의 기능 또는 독성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3 食品技術 Vol.26 No.1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연구주제를 선정해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과학기술정책의 패러다임이 생산성,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에서 삶의 질, 복지 등 사회적 기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식품의 기능은 다른 측면에서는 식품의 독성이기도하다. 이번 호에서는 지난 시기 발표된 식품의 기능과 함께 독성이라는 측면에서의 연구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신기술동향: 식품위해성과 안전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2 食品技術 Vol.25 No.4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과학기술정책의 패러다임이 생산성,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에서 삶의 질, 복지 등 사회적 기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식품안전은 위험성이 제기되었을 때 사회전체가 패닉에 빠질 수 있어 안전성의 확보가 중요한 화두로 자리잡은지 오래되었다. 식품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식품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능성 자체가 지나칠 경우 독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의 안전성과 식품의 변질이나 오염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한 안전성 그리고 신기술과의 융합이라는 측면에서의 안전성이 있을 수 있겠다. 이번 호에서는 이들 세 측면에서 2012년에 발표된 연구결과 20개를 다루고자 한다.

      • 북한지역 분청자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박정민(Park Jungmin) 국립광주박물관 2018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1

        이 글은 북한지역 분청자 연구의 폭과 인식의 확대를 위해서 북한에서 발굴조사된 분청자 가마터와 출토유물의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한정된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므로 소략한 것이 이 글의 한계이지만 현재 남한에서는 관련 자료를 파악하기 쉽지 않으므로 해당분야에 대한 차후 연구를 위해 북측상황을 소개한다. 『세종실록(世宗實錄)』「지리지(地理志)」에는 황해도(黃海道), 함길도(咸吉道), 평안도(平安道) 지역에 총 30곳의 자기소(磁器所)가 등재되었다. 당시에 등재된 자기소가 그 정도이니 실제로 운영된 가마의 수는 더욱 많았을 것이다. 현재 북한에서 조사된 분청자 가마터는 모두 5개소로 대부분 황해도에 자리한다. 황해북도 평산군(平山郡) 봉천리(鳳川里) 가마터, 황해북도 승호구역(勝湖區域) 화천동(貨泉洞) 송진자기가마터, 황해남도 과일군 사기리(沙器里) 가마터, 황해남도 옹진군(甕津郡) 은동리(銀洞里) 가마터, 황해남도 장연군(長淵郡) 박산리(礴山里) 가마터 등 이상 5개 유적에서는 대부분 선상감기법과 인화상감기법으로 문양을 시문한 조선 15세기 분청자가 출토되었다. 북한은 발굴조사된 분청자 가마터들 중에 분청자와 백자가 함께 출토되는 송진자기가마터를 제외한 모든 유적이 고려시대 운영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보고된 대부분의 분청자 가마터는 유물퇴적층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지 않아 어떠한 시기적 특징이나 지역성을 제시하기 어렵다. 다만 보고서에 제시된 송진자기가마터와 박산리 자기가마터의 가마는 아궁이는 물론 번조실의 측벽까지 큼지막한 돌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이 지역성인지는 앞으로 보다 많은 자료의 확보를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writing is what arranged th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kiln sites, which were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North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relics, in order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and the awareness of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in North Korea. Because of having been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restricted data, the simplicity is the limitation of this writing. But it is not easy now to grasp relevant materials in South Korea, thereby introducing a situation in North Korea for a future research on the corresponding field. 『Sejongsilrok(世宗實錄)』「Jiriji(地理志)」was registered totally 30 ceramic workshop(磁器所)s in Hwanghae-do(黃海道), Hamgil-do(咸吉道), and Pyeongan-do(平安道) areas. Ceramic workshops, which were registered in those days, are about that much. Thus, numbers of kilns, which were actually operated would be much mor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kiln sites, which were now surveyed in North Korea, are totally 5 sites. Most of them are situated in Hwanghae Province. The kiln site in Bongcheon-ri(鳳川里), Pyeongsan-gun(平山郡) of Hwanghaebuk-do Province, the Songjin ceramic kiln site in Hwacheon-dong(貨泉洞) of Seungho district in Hwanghaebuk-do Province, the kiln site in Sagi-ri(沙器里), Gwail-gun of Hwanghaenam-do Province, the kiln site in Eundong-ri(銀洞里), Ongjin-gun(甕津郡) of Hwanghaenam-do Province, and the kiln site in Baksan-ri(礴山里), Jangyeon-gun(長淵郡) of Hwanghaenam-do Province were excavated the 15th century Buncheong Porcelain(紛靑瓷)s in Joseon dynasty, which were engraved a pattern mostly with line base inlay technique(線象嵌技法) and stamp base inlay technique(印畵象嵌技法). North Korea is recognizing that all historic sites were operated in the Goryeo period excluding the Songjin ceramic kiln site, which is excavated th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and the white porcelain together, among th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kiln sites that were excavated and investigated. The majority of the Buncheong Porcelain(紛靑瓷) kiln sites, which were reported are not suggested the contents on the relic sediments, thereby being difficult to propose any chronological feature or regionality. Still, the Songjin ceramic kiln site and the Baksan-ri ceramic kiln site, which were submitted to the report, are characterized by what not only furnace but also main body of kiln’s side wall were made of a huge stone. There is a need to specifically understand about whether this characteristic is locality through obtaining much more materials down the road.

      • 고도로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의 역설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에 있어 세렌디피티 고려의 중요성-

        박정민(Jungmin Park),김민혁(Minhyeok Kim),이영훈(Younghoon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에서는 세렌디피티를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인지적인 경험 향상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선행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우선,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는 경우에 예상치 못한 정보의 나열이나 단서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렌디피티는 사용자가 접하지 않은 새로운 정보에서만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과거의 인지하고 있던 정보라 할지라도, 그 표현 방법에 변화를 준다거나 사용자의 특정 맥락에 맞게 제공해준다면 유사한 수준의 세렌디피티가 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상황적인 외부 요소를 시각적으로 표현 하거나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기울이게 하거나 실재하는 정보로 치환할 수 있음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