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NAUT를 적용한 자동차용 Brake Pad의 결함검출

        김재열(Jaeyeol Kim),박인우(Inwoo Park),최승현(Seunghyun Choi),한재호(Jaeho Han),김훈조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9

        The NAUT(Non-contact Air coupled Ultrasonic Testing) technique allows non-contact ultrasonic testing in air. If the NAUT technique can be applied, not only ultrasonic testing in air with no couplant would be possible, but also the st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ultrasonic waves, which would thus enable ultrasonic testing of hot or cold materials, or rough surfaces of specimens that could not be tested with conventional-contact ultrasonic testing techniques. By trying NAUT for Brake lining pad specimens, the applicability of NAUT in these areas was observed, and the results from the waveforms of parts of the specimens were analyzed. For the Brake lining pad specimen, the ultrasonic transmittance was highest at the part, regardless of the thickness and location of the specimen.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racticality of NAUT.

      • KCI등재

        시각적 단서 제시 여부에 따른 동영상 유형이 학습 만족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Lee, Eunjoo),박인우(Park, In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4

        동영상 강의는 최근 몇 년 동안 공공기관, 교육 시설, 그리고 Coursera, 칸아카데미, TED와 같은 오픈 학습 콘텐츠에서의 활용이 증명되면서 온라인 강의의 매우 일반적인 형태가 되었다. 강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 선호도 및 학습 성과와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동영상 유형을 하나의 이러닝 콘텐츠 유형으로 포함시켜 진행되어 왔으며 어떤 강의 유형이 가장 학습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 결과는 연구마다 조금씩 다르게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동영상 유형을 사회적 단서 중 시각적 단서에 초점을 두고 3가지로 구분하여 강의 유형과 연령 및 교과에 따라 학습 만족도 및 학업 성취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방송통신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학년 180명을 실험 참가자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참가자들은 여섯 가지 유형의 동영상 콘텐츠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실험처치 하기 전에 학습 내용에 대한 사전지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에는 만족도 검사와 성취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동영상 강의 유형과 연령 및 교과에 따라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해 삼원변량분석(thre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동영상 강의 유형에 따라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과 동영상 강의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 교과와 동영상 강의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동영상 강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 과와 동영상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반면 연령과 동영상 강의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영상 학습 콘텐츠를 설계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제안하였고, 동영상 강의 형태에서 시각적 단서를 교과, 학습 대상자 상황에 따라 활용해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1)Video lectures have become a very common form of online lectures in recent years and have proven their use in open educational resources. Studies related to learner preference and learning outcome according to lecture types have been mainly conducted including video as one type of elearning cont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which types of lectures positively affect learner outcomes are presented slightly differently in each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lecture type, age, and subject, focusing on visual cue presentation. For this study, 180 students in the first grade at Open Secondary school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participants an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groups of video contents. Threeway ANOVA was performed to se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video lecture type, age and subjec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type of video lecture, age and subjec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n satisfaction between age and subject, age and type of lecture, and subject and type of lectur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n achievement between subject and lecture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oposed som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video learning contents and discussed how to use visual cues in the form of lectures.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역량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

        이효진 ( Hyojin Lee ),박인우 ( Inwoo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플립드러닝 교수자의 수업역량에 대한 중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바탕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우선순위 플립드러닝 수업역량을 확인함으로써 대학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2018-1학기 플립드러닝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립드러닝 교수자의 수업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30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도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플립드러닝 교수자의 ‘학습활동 촉진역량’, ‘학습설계 역량’, ‘의사소통 촉진역량’, ‘교수자 태도 역량’은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장 중요한 수업역량임과 동시에 높은 수행 수준을 보이는 역량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교수자의 현재 수준은 중요 수준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인식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대학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플립드러닝 수업역량은 ‘학습설계 역량’, ‘학습활동 촉진역량’, ‘학생수행 조절역량’, ‘교수자 태도 역량’, ‘의사소통 촉진역량’에 속하는 항목들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수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플립드러닝 수업의 운영을 위한 과제 및 실습 중심의 역량 강화 워크숍 프로그램의 개발과 플립드러닝의 고유한 특징을 반영한 플립드러닝 수업 역량모델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iority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competencies needed for university instructors and the practical ways of supporting competency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learner-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competency element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309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flipped learning courses on the spring semester in 2018. Borich’s Needs Analysi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analyze respondents’ needs for the instructor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most highly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competencies of the instructors were similar in the elements including “promoting student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design”, “activating communications”, and “attitude of instructors” but different in the levels where the importance level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level among the elements. Secondly, the most prior elements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competencies were “learning design”, “promoting student learning activities”, “regulating student performance”, “attitude of instructors”, and “activating communication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providing task- and practice-based competency building programs for university instructors, and establishing a competency model for flipped learning instructions which reflects unique characteristics of flipped learning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