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공재(恭齋) 尹斗緖의 화학(畵學)과 유화(儒畵)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恭齋 尹斗緖(1668-1715)는 조선 후기 화단의 다양한 경향을 선도한 선구적인 선비화가이다. 그는 선비로서 시대와 국가,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지닌 채 학문과 사상을 담은 회화 예술을 창조하였다. 선비로서의 의식과 실천이 회화의 주제와 수준, 내용, 양식을 전반적으로 진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윤두서가 추구한 선비화가로서의 역할, 이를 토대로 형성된 새로운 성격의 선비그림, 儒畵의 대두를 통하여 조선 후기 화단은 크게 변화, 발전할 수 있었다. 그가 시도한 새롭고 다양한 주제의 모색, 화보와 판화 등 새로운 매체의 활용, 선비의 이상과 격조를 담아낸 남종화와 시의도를 새롭게 시도한 점, 사실적인 정신과 수법을 담은 영정, 풍속화 및 정물화 등의 개척, 회화의 수장과 감평의 선호, 화론의 저술, 새로운 서예와 전각의 추구 등 다방면에서의 활약은 조선 후기 화단에 큰 자극을 주었다. 본고에서는 윤두서의 회화를 寫意와 寫實이라는 두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사의란 윤두서가 유학의 변화를 모색하면서 추구한 尙古的古學과 관련된 분야로서 詩書畵三絶의 추구, 南宗畵및 詩意圖등을 통해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사실은 博學과 西學등 새로운 학문적, 사상적 경향과 관련된 분야로서 影幀과 風俗畵, 靜物畵, 사실적 動物畵등에서 그 성과가 나타났다. 특히 서학을 토대로 이루어진 과학적 응시라는 새로운 인식과 관찰 및 사생이라는 새로운 회화 방법론은 유학의 형이상학적 논의를 극복하려는 문제의식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조선후기 회화가 이전과 다른 새로운 경지로 변화하였다고 할 때, 그 출발점에 서 있던 선비화가 윤두서의 역할과 공로는 충분히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Yun Duseo(1668-1715), a seonbi painter was ahead of the various new trends of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He could create a new level and concept of paintings through new knowledge and thinking. He groped for new themes of paintings, painting manual and prints as new methodologies for paintings, and introduced new genres of Southern school painting and painting based on poetry. And he opened up the realistic portrait painting, genre painting and still life, developed painting collecting, painting criticism, and painting theory, and started new calligraphic style and art of seal making. He could resulted in the new development of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In this study, Yun Duseo’s painting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one is ‘sayui 寫意’ and the other is ‘sasil 寫實’. ‘Sayui 寫意’ is related with Yun Duseo’s classical studies focused on the reactionary Confucianism. Through reactionary studies, he tried to set up a new cannon in the field of painting. He suggested a new emphasis on Three Excellence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introduced new trends of Southern school of painting and paintings based on poetry. ‘Sasil’ is specially related with Yun’s extensive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In the field of portrait painting, genre painting, still life etc., Yun’s new knowledge was adapted successfully. Yun Duseo is a pioneer who set up a new vision of seonbi painting, that is ‘yuhwa儒畵’. The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broke a new ground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And the pioneer, Yun Duseo’s role and achievements can not be praised too much.

      • KCI등재

        繪畵를 통한 疏通: 새로운 맥락으로 보는 韓日繪.交流(1) -일본 다이묘(大名)가 소장한 조선그림-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본고에서는 일본의 다이묘가에서 오래 전래된 작품들인 동시에 회화 사적으로 볼 때 조선시대 회화사의 논의에서 기준작으로 거론될 만한 의미를 가진 작품들을 선정하여 일본에 전래된 경위와 제작시기, 작품 자체의 화풍과 회화사적 의의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17세기 중엽 경 조선국왕이 일본에 선사한 한 쌍의 영모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모리가의 세 폭 산수화와 두 폭의 영모화, 깃가와가에 전래된 이정의 <용호도> 두 폭, 마에다가에 전래된 최명룡의 <하경산수화>, 조선국왕이 선사한 원체 <춘일송록도>와 <추월죽학도> 등은 작품이 규모가 일반적인 경우에 비하여 크고, 제작한 화가가 당대 최고의 화가로서 작품의 수준이 높으며, 그 제작시기와 전래경위가 분명하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들은 그간 한국 회화사에서 주요하게 거론되지 못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기면서 본고를 작성하여 한국회화 연구에 새롭고 의미있는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들을 소장하였던 일본의 다이묘가는 일본의 다이묘가 중에서도 대표적인 가문들이었다. 세 가문 모두 임진왜란 때 조선에 출병하였고, 조선에 대한 관심과 취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때로는 조선에서 작품을 직접 가지고 갔거나, 조선 미술품을 수집하는 등 조선과 관련되어 주목할 만한 족적을 남기고 있다. 본고에서 다룬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서 일본에 전래된 많은 중요한 작품들을 재고하고 한국회화의 논의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에 소재한 많은 조선 회화가 17세기 이후 통신사와 관련하여 건너가거나 제작된 작품들이지만, 동시에 적지 않은 숫자의 작품들이 그 이전, 즉 임진왜란 즈음이나 아니면 그보다 더 빠른 시기에 다양한 교섭통로를 통해서 일본에 건너간 작품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한국의 도자기와 불교미술품, 회화에 관심이 높았던 일본인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또한 임진왜란 중에 많은 문화재를 일본에 반출하였다. 17세기 이후 진행된 통신사를 통한 교류과정에서도 많은 작품들이 상호합의 하에 선사, 교환되었다. 일본에 소재한 조선 회화에 대해서는 이처럼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소장경위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면서 접근하여야 하며, 때로는 일본에서 유통된 적지 않은 조선작품의 국적이 한국이라는 사실을 모른 경우도 있었다는 일본측의 시각도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일본 소재 조선 그림의 전래경위 및 일본에서의 위상, 회화사적 의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일본 소재 한국회화의 반환 문제 및 활용방안을 모색할 때에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In this article several paintings considered valu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owned by daimyo families in Japan, will be discussed in their historical context. An account will be given of their introduction to Japan and their significance in Korean art history. The following paintings achieve a high standard, are well preserved, and have critical meaning in Korean art history that has not been acknowledged; “Four Season Landscape”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in possession of the Mori family, “Dragon & Tiger”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possession of the Kitkawa family, Choe Myoungryong`s “Summer Landscape”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owned by Maeda family, and lastly, “Animal Paintings”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presented to Japan by the king of Joseon dynast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accounts for imported Korean paintings in Japan and lay the ground work for a restitution and utilization. In addition, the significant paintings, previously unknown in Korean art history, will be excavated providing further insight on current academic debates. These distinguished daimyo families possessing the paintings ha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Joseon dynasty. They shared a common connection with Joseon, for instance, sending troop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having taste and interest in the Korean art, and occasionally purchasing products and collecting Korean art works. It is evidenced through these instances that many Korean paintings in Japan were imported before an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r conveyed by Korean envoys sent to Japan, through both an official and private exchanges. As discussed above, identifying the history of transmission, the date of paintings, and their art-historical importance of Korean paintings in Japan will be carefully considered in seeking ways of restitution and utilization afterward.

      • KCI등재

        문화 : 회화(繪畵)를 통한 소통(疏通): 가노 탄유[수야탐유(狩野探幽)]가 기록한 조선그림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7

        본고에서는 일본 에도江戶시대의 대표적인 화파인 가노파狩野派화가 들이 조선과의 회화교류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의 문제를 고찰하여 보았다. 에도시대 御用畵師집단을 대표하던 에도 가노파 화가들은 17세기 이후 파견된 조선 통신사를 접대하거나 통신사가 일본에 당도하기 이전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많은 활약을 하였다. 또한 가노파 화가들은 막부의 고관이나 각지의 다이묘, 혹은 부호들이 소장하였던 많은 그림들을 감정, 기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수많은 한중일의 그림을 보았고, 이를 縮圖라고 하는 자료에 간단한 스케치로 담아 전해지게 하였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가노 탄유(狩野探幽, 1602-1674)의 縮圖가 있다. 어용화사인 가노 탄유는 조선 통신사를 대접하기 위한 여러 준비를 하는데 동원되었고, 실제 통신사 수행화원들을 만났으며, 조선 國王에게 선사된 병풍그림도 그렸다. 후에는 조선 통신사의 행렬을 담은 그림도 그리는 등 조선과 관련하여 많은 활동을 하였다. 그는 자신이 본 그림들을 기록한 수많은 축도를 제작하였다. 그러한 축도 스케치 중에는 조선 그림으로 확인된 여러 스케치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가운데는 현존하는 그림과 연결되는 것도 있고, 기록과 스케치를 통해서 조선그림으로 추정해 볼수 있는 작품들도 있다. 가노 탄유와 가노 쓰네노부(狩野常信)를 비롯한 에도 가노파 화가 중奧繪師화가들은 가장 보수적인 화가집단이었다. 그들은 17세기 이전부터 조선문화와 그림을 직간접으로 경험하였음에도 작품에서 朝鮮風을 수용하는데에는 신중하였다. 조선과의 교류에서 가장 많은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였던 일본의 가노파 화가들이 조선회화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지녔는지, 또한 회화작품에 조선풍을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까지 활용하였는지의 문제 등은 한일회화 교류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기 위하여 앞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considered the role of the Kano school painters in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do period. They as the representative court painters were ordered to prepare to host Joseon envoys and carried a lots of jobs to meet and exchanged paintings with the Korean court painters sent to Japan with the envoys. They also appraised and recodred many Japanese and foreign paintings including Chinese and Korean paintings collected by famous shogun and daimyos. In the process, they saw many important paintings and left sketches of them. Making sketches became a tradition among the Kano school painters. Kano Tanyu was the first Kano painter to start to make the sketches. He as a court painter was ordered to host the Korean envoys and painters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mong his sketches, some Korean paintings were also included. In this article, I researched and contemplated the Tanyu’s sketches presumed to be Korean paintings. Including Kano Tanyu and Kano Tsunenobu, many representative Kano school painters met Korean painters and experienced Korean paintings. But they were very conservative and were not very eager to accept Korean qualities into their paintings at first. Some more researches have to be done to understand the Kano school painter’s view toward the Korean paintings and their use of the Korean artistic elements in their paintings.

      • KCI등재

        문화 : 고(古)와 금(今)의 변주(變奏):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의 사의산수화(寫意山水畵)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7

        소북 명문가 출신의 강세황이 18세기 화단의 총수로 칭송되었던 배경에는 오랜 기간에 걸쳐 온축된 학문과 사상, 그리고 타고난 재능과 끊임없는 수련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강세황의 산수화를 중심으로 그의 시대관, 가치관, 예술관이 회화의 구체적인 면모에 어떻게 반영되었고, 어떠한 작화 방법론을 추구하였으며, 강세황 특유의 회화적 특징은 무엇인가의 문제를 정리하여 보았다. 또한 조선 후기 선비그림, 유화의 형성과 발전에서 강세황이 윤두서의 뒤를 이어갔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강세황은 평생동안 사의산수화와 진경산수화 양 방면을 넘나들며 새로운 산수화, 선비적인 회화를 모색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말년 대표작인 <표옹선생서화첩> 등을 살펴 보면서 강세황이 구사한 사의산수화의 성격과 특징, 회화사적 의의를 검토하였다. 강세황은 古人으로 불리었고, 평생동안 古를 탐구하였다. 그가 추구하였던 고는 문예적인 측면에서는 이상적인 전범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회화적 이상으로서 고를 달성하기 위해서 옛날 대가들의 작품을 찾아 보고, 임모하며, 해석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그는 대신 옛 대가들의 전범을 보고 모방하였던 가까운 시대의 대가들, 예컨대 심주와 동기창 등 특히 명대의 대가들의 법을 자주 방작하는 임금탐고의 방법론을 추구하였다. 강세황은 18세기 전반 경에는 적지 않은 화가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고씨화보』와 당시화보류, 『개자원화전』 등 이외에도 『십죽재서화보』를 새롭게 애용하면서 대상 화보의 범위를 넓혔다. 또한 강세황은 조선의 선배 화가들의 작품도 방작하였다. 특히 조속, 윤두서, 유덕장 등 선비화가를 방작한 것을 통해서 그가 지향했던 이상적인 전범이 선비회화였음을 알 수 있다. 그는 奇와 奇絶 등의 용어를 자주 인용하였다. 기라는 용어는 다른 것, 새로운 것을 의미한다. 강세황은 수많은 방작을 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개성적인 회화세계를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강세황은 俗氣없는 회화를 추구하였다. 속기를 없애기 위하여 회화 수련의 토대로 독서와 견문 등을 중시하였으며, 이는 곧 강세황이 직업화가들의 속된 그림과 구분되는 선비그림, 儒畵를 지향한 것을 의미한다. 강세황은 시서화 삼절의 이상을 추구하고, 실천하였으며, 그러한 개념을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시의도를 애호하였다. 강세황은 명가들의 시를 화제로 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때로는 자신의 시를 화제로 삼아 그림을 그리는 등 다양한 유형의 시의도를 시도하였다. 혹은 그림이 그려진 뒤 시를 붙이는 제화시의 방식도 선호하였다. 강세황은 산수화를 통해서 시대적, 문예적 이상을 담고, 은유하고, 실현하였다. 그가 추구하였던 산수화의 궁극적인 이상은 곧 선비의식을 담은 선비그림, 儒畵였다. 그는 선배화가인 윤두서의 작품을 보았으며, 방작하였다. 그리고 윤두서처럼 <자화상>을 그렸고, 서화의 수장과 품평, 서예에의 매진, 인장과 고동 등 다방면에 관심을 두었고, 중국작품과 화보의 방작을 즐겼으며, 시의도를 선호하였고, 현실과 상경을 담은 진경산수화를 즐겨 제작하였다. 또한 서양화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표옹선생서화첩>을 소유하였던 이유원은 강세황과 신위로 이어지는 선비그림의 嫡統을 잇지 못한 것을 안타까이 여겼으나, 대신 서화 감상과 품평, 후원 등을 통해 선배 선비화가들의 역할을 부분적으로나마 이어갔다. 이로써 윤두서로부터 시작되어 강세황, 신위, 이유원으로 이어지는 조선 유화의 한 계보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Gang Sehwang(1713-1791)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iterary painters active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article considered the aesthetic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focused on Gang Sewhang`s conceptual landscape paintings. Gang Sehwang took the ancient important as the ideals for the painting. To study the ancient, he copied lots of Chinese paintings focused on the southern school paintings and different painting manuals. He mainly chose to study many masters who were active in the comparatively recent periods like Ming and Ching dynasties. He specially set the goal at the masters of southern school in the Ming period like Shen Chou and Tung Chichang. He also studied many literary painters of Joseon dynasty. He also took it important to pursuit the different, gi奇 and the new. He pursued his own world of art even though he copied lots of different works of Chinese masters and painting manuals. And he seeked after the painting without vulgarity. To try not to be vulgar in paintings, he took it important to read and experience a lot. He cultivated the three excellence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as the ideal for the literary painting. As a way to accomplish this principle in the field of painting, he paid much attention to the paintings based on poetry. His final goal of painting was to settle down the new tradition of the Korean literary painting. He studied and copied the senior Koran literary painters, including Yun Duseo(1668-1715), who was the pioneer in the field of literary pa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Korean literary painting called as Yuhwa儒畵 by the literati in the 18th century and pursued by Gang Sewhang was transmitted to the junior literati active in the 19th century like Sin Wui, a representative literary painter and Yi Yuwon, an important collector and became a legacy of the literary painting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恭齋 尹斗緖의 書畵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학회 2001 美術史學硏究 Vol.- No.232

        Yun Tus? (1668-1715) is a scholar-amateur painter active during the late Chosen dynasty. There were new developments in the history of art during this time. In the area of calligraphy and painting, many literati emerged practicing in arts as a means to cultivate their mind, Yun Tus?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among them, The intellectual world of the late Chosen was complex. The literati were divided into different parties reflecting various doctrines of thoughts. artistic values, and styles. Yun Tus? as an heir of a famous family from the Namin 南人 party strove to transcend the petty struggles of the mundane world, and in his private realm he devoted himself to creative artistic activities, He and his friends from the Namin party, who lived in the area of Hanyang formed the school of K?n‘gi Silhak 近畿實學派. The scholars' ideal in art began to be given its most systematic form by this time, Yun Tus? and his circle shared the same taste, ideals and aesthetic theories. The concepts guiding the scholars in their selection of literature, calligraphy, painting came from Confucian doctrines. In their artistic pursuit, the first requirement was moral character and literary values. They also had broad interests. not confined to Confucianism. In this context, Yun Tus? pursued the "antiquity" as a methodology to reform the realities to confront new conditions of society and international situation. The emphasis on the antiquity was directly developed into the fervor of the ancient arts. They formed the specific pursuits in calligraphy and painting: calligraphic writings and rubbings the ancient, which are from pre-Chin and Han dynasties in China, new calligraphic style based on the master Wang Xizhi, and the gracious style of painting based on the ancient masters like Gu Kaizhi. Lu Tanwei. and Li Gonglin. Yun Tus? formulated new ways of using Chinese painting manuals and prints to create new painting styles. He was highly regarded in his own day and by the posterity including Kim Ch?nghi. the most influential critic in the 19th century. In terms of the expectations made of the artist and with his actual practice of painting, Yun Tus? correlated meticulous brushwork and expressive ink tone to create literary style and to imply his fervor of the ancient mode. His art itself expresses his ideas of antiquity with a controlled spontaneity even though there were many traces of using painting manuals as main sources of imagination. He also strived to investigate the most ancient written texts, the earliest forms of the Chinese script, and the "seal script" style of calligraphy. The views of Yun Tus? and his circle and the artistic practice in which he manifested them. were very influential in all subsequent versions of the history of the Southern school as to be sustained by the scholar-amateurs and professional painters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의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풍악장유첩(楓嶽壯遊帖)》을 중심으로-

        박은순 ( Eun Soon Par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1 No.-

        강세황은 76 세, 1788 년에 제작한《풍악장유첩》에서 확인되듯이 생애 말년까지도 진경산수화를 왕성하게 제작하였다. 《풍악장유첩》은 표제와는 달리 아들의 임지에 거처하면서 늘상 보아온 회양의 주요한 경관을 수록한 것이며, 거기에 일부 관동지역의 명승이 첨부된 작품이다. 강세황은 《풍악장유첩》 중의 작품들에서 일상과 상경, 현실에 대한 관심, 또한 공인으로서의 의식을 담아내었다. 독특한 시점으로 개성과 자아에 대한 의식을 표현하였고, 관찰과 사생을 중시하였으며, 시각적 사실성을 달성하기 위해 서양화법도 구사하였다. 그러나 필묵법과 수지법 등에서는 남종화적인 경향을 유지하여 文氣를 느끼게 하였다. 이에 따라 진경산수화이면서도 마치 한 폭의 남종화처럼 보이는 사의적인 진경산수화의 세계를 구현하였다. 강세황의 진경산수화 가운데는 공적인 의식에서 유래된 것이거나 아니면 일상적인 제재와 평범한 경관을 다룬 것이 많다. <감와도>, 《지락와도》,<옥후북조도>,《풍악장유첩》중의 <회양관아도> 등 전하는 진경산수화들이 그러한 특징을 보여주며, 이외에 기록으로 확인되는 많은 작품들도 아집하는 장면의 卽景, 근교를 유람하며 본 경관 등을 그리곤 하였다. 강세황은 다른 사람을 위하여 또는 자신의 경험을 기록하기 위하여 공인의식 또는 공적인 환유와 관련된 진경산수화를 꾸준히 제작하였다. 《송도기행첩》, 《우금암도》, 중국기행첩들, 《풍악장유첩》 중 일부 장면 등은 조선시대 특유의 관료문화인 환유를 배경으로 형성된 작품들이다. 이 가운데 《우금암도》 는 절필을 선언하였던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되며, 특히 사의성을 극대화한 이면에는 환유와 이를 기록하는 전통이라는 명분 아래, 절필이라는 금기를 깬 강세황의 자의식이 저변에 배어있는 것이다. 환유를 기록한 여러 작품들을 통해서 강세황의 깊은 심상에 숨어있던 출세에의 의지와 동경, 또는 자식들의 성취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사대부로서의 위상을 달성하고 수행하였다는 의식 등을 읽을 수 있다. 강세황은 진경에 대한 관찰과 사생을 중시한 만큼 중년기까지는 시각적 사실성을 중시하여 서양화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사실적 진경산수화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풍악장유첩》과같은 말년의 작품에서 잘 나타나듯이 전반적으로 보면 진경산수화에서도 文氣와 사의성을 중시하였다. 이에 따라 서양화법은 완화된 방식으로 남종화풍과 융합되면서 강세황 특유의 사의적인 진경산수화가 정립되었다. 강세황은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를 통해서 사의적 진경산수화와 사실적진경산수화라는 새로운 성격의 진경산수화를 시도하였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서 진경산수화는 다시 한번 조선 후기 화단의 주요한 흐름으로 존속될 수 있었다. This paper centers on Gang Sehwang(1713-1791)`s true-view, chin`gyong, landscape paintings. I investigated the Album of the Travel to the Maple Tree Mountain as an example trying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Gang Sehwang`s true-view landscape. A careful analysis on the paintings and travelogues of the Album of the Travel to the Maple Tree Mountain revealed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album and the painter`s intention to represent the selected scenes with the public meaning. In terms of painting styles, he jointed western techniques and southern school style. In terms of the intention and the style, he created a new typ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Gang Sehwang considered the scenes from the common life and the ordinary sites importantly. And he often represented scenic background of the literary gatherings and scenic beauties in nearby places where he lived. He was also interested in representing the places with public meaning. On the other hand, The Album of the Travel to Songdo City, the Scenes of Buan Prefecture, the albums representing Chinese landscapes, the Album of the Travel to the Maple Tree Mountain are the examples showing Gang Sehwang`s attitude to focus on public symbolic landscapes. He produced two different modes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The one is the realistic style influenced by the western techniques with elaborate and lively description of the scenery. The other is the literary style influenced by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focusing on the more subjective rendering of the scenery with free and easy going manner. Either ways he pursued a new approach to the real scenery to overcome the artistic tradition created by Jeong Seon(1676-175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