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레비나스 `얼굴 윤리학`의 퍼스 기호학적 이해

        박연규 ( Park Yeoungyu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0 No.-

        이 글은 레비나스의 “얼굴을 보면 윤리가 발생한다”라는 주장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논의를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모색해본 것이다. 레비나스의 윤리학을 성립하게 하는 `얼굴`이 말 그대로의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타자의 얼굴인가, 아니면 그의 형이상학에 기반하여 요청된 당위로서의 얼굴인가하는 문제는 레비나스의 얼굴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즉 그의 얼굴은 신의 얼굴인가, 아니면 사람의 얼굴인가 하는 데 따라 그의 윤리학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윤리학으로 전개될 수 있는가 아닌가의 갈림길로 들어서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레비나스의 얼굴에 대해 퍼스 기호학의 삼분법적 해석학을 적용하여 이러한 논쟁이 어디에서 발생되고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가를 보고자 한다. 퍼스 기호학으로 얼굴을 풀게 되면 우리가 실제로 만나는 타인의 얼굴에서 얼굴의 윤리학을 다양한 층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레비나스가 사용하는 얼굴 개념이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얼굴에서 시작하지만 동시에 신의 현현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면서, 논자는 그의 얼굴 논의를 아이콘, 인덱스, 그리고 상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레비나스의 얼굴은 강력한 인덱스적 기호로 작동하지만 동시에 아이콘적이기도 하고 상징적인 의미도 동시에 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체계의 연동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얼굴 윤리학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수적으로 레비나스의 얼굴 윤리학을 기호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호학의 본래 임무인 해석학적 의의를 재확인하는 기회도 되리라 본다. In this article, browsing the thesis, “Ethics occurs, when looking the face” I study the thesis using the way of Peircean semiotics and want to disclose the feature of the problematic argument of the face ethic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Levinas` face whether it is an individual or particular face, or not whether it is only a duty based on the ontological metaphysics. That is, the question of that his `face` is God`s face or not makes us to consider what the genuine general ethics is. Using the way of the triadic interpretation of Peirce`s semiotics, icon, index, and symbol, I want to show where the intertwined argument comes from and how the argument can be solved. When we approach to the nature of face with Peirce`s semiotics, we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his face ethics` and meet the process of looking face in the different horizon. Considering that Levinas` `face` also has the meaning of transcendence in the practically everyday meaning of it, I try to explain the face by iconic, indexical, and symbolic faces. While Levinas` face primarily functions as an indexical sign, it also does iconically and symbolically. So I find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rgument through thinking the relation of different signs. In conclusion, showing the example of the semiotic approach to the face, I am sure that semiotics always would be valid to properly treat the old way of doing philosophy, namely, the ontological metaphysic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레비나스의‘ 가족’에서 분리와 거리두기의 관계윤리

        박연규(Park, Yeoung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2

        이 논문은 레비나스의 ‘가족’에 대한 타자윤리적 논의를 그의 분리 개념을 통해 살펴보면서 논자가 관계윤리의 관점에서 제시했던 ‘거리두기’와의 관련성을 탐색해본 글이다. 레비나스는 가족을 그의 타자윤리의 대표적 비유로 가져오면서, 한편으로 그의 타자윤리가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실현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레비나스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자기동일화의 위험성을 알렸고, 진정한 타인과의 관계에는 분리라는 일차적 과정이 필수적임을 보여주었다. 타인과의 제대로 된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면 타자는 나에게 전체화되어 그를 소유하고 통제하고 지배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리야말로 타자를 제대로 만날 수 있는, 즉 타자에게로 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이러한 분리 작업은 거리두기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타자와의 관계에서 윤리적 몸의 변화를 통한 거리두기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대로 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친숙함 또는 익숙함에는 이미 자기 주체화 과정이 심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친숙함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거리두기나 분리의 과정 모두 윤리적 태도의 전환을 의미한다. 가족의 대표적 이미지는 친숙함이다. 그러나 친숙함 그 자체를 방치하게 되면 가족은 적절한 관계 맺기를 할 수 없게 되며 사랑이나 배려 등의 윤리적 관계를 담보할 수 없게 된다. 가족의 행복이 어떤 식으로 전개되어 가든 그 가장 원초적인 바탕은 친숙함에서 벗어나 적절한 관계 맺기에 있으며 그것은 분리나 거리두기의 형태로 발전되어야 한다. 분리 개념은 레비나스 타자윤리의 고유한 개념이며, 거리두기는 유가의 경(敬) 사상의 핵심 개념이다. 논자는 이 글에서 유가의 경사상과 레비나스의 윤리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 분석을 하지 않았지만, 이 두 개념 사이에 타인을 대하는 공통분모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최소한 분리나 거리두기 개념이 친숙함의 공간인 가족에서 어떠한 윤리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인가가 이 글의 진정한 관심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looked into the meaning of separation of family that Levinas argued in others ethics. And I related it to the concept of distancing which I once proposed as an attitude of relational ethics. Levinas brings the concept of ‘family’ as a typical metaphor representing his others ethics, while through it he lets us notice the danger of self-identification with others, and he proposes the primary process of separation in the relation of others. If separation does not properly work, others are owned, controled, and totalized by ourselves. Thus the concept separation can be a way by which we can go to and meet others. Separation has the same meaning with distancing. If there is no process of distancing by the substantial change of my ‘ethical body.’ I cannot hold an appropriate relation to others. That is,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the familiarization in which the subject of me was already deepened.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distancing means the change of the ethical attitude. The well known representative image of family is familiarization. But if we leave it alone, we cannot have a proper relation to the family members and cannot secure the ethical relation of love and care. The happiness of family is open, and that is not matter here though. Ironically the basic nature of the family rather depends on the proper relation from escaping the familiarization. Above all it should be developed in the form of separation and distancing. Separation is the characteristic concept of Levinas, while distancing is a concept extracted from the Confucian idea of Jing(敬) that I gave it much significance. In this article, I did not put a full-scale comparison of both. I rather anticipated to find a common sense of both. I, with both concepts of separation and distancing, proposed a sort of ‘ethical effects’ from the familiar place of family, and I hope it might be my genuine interest.

      • KCI등재

        주역 괘의 논리와 재현가능성

        이운형(Park Yeoungyu),박연규(Lee Woonhyung) 한국동양철학회 2004 동양철학 Vol.0 No.22

        이 논문에서는 주역의 괘 구조를 현대의 다양한 형식논리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논리적 분석의 전제로서 역괘의 범주를 합(合)과 분(分)의 상호관계를 들어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설명한 뒤, 재시 플레밍이 제시한 양상논리적 접근, 다치논리적 접근, 그리고 집합논리적 접근 방법에 의해 역괘의 구조가 단순한 이치논리가 아닌 특이한 논리성을 띄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양상논리적 접근에 의해서는 역괘의 구조가 높은 개연성을 얻어낼 수 있는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고, 다치논리적 접근에 의해서는 역괘가 이치적인 젓이 아닌 다양한 가치를 만들어내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집합논리적 접근에 의해서는 역괘의 구조가 무한 수의 사물과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플레밍의 접근 방법의 한계로서 의미론적 논리화의 필요성을 지적했으며 역괘의 변화에 따른 인덱스적인 재현 가능성을 언급했다. In this article, we attempt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Yijing guas(hexagrams) and their relation through the several forms of modern formal logic. For making our analytic approach effectively, we categorized the structure of the Yijing hexagrams in three ways, a first level categories and two different meta-categories using the features of integration and differentiation. Borrowing Jesse Fleming's idea of the formal logic including modal logic, multi-valued logic, and the set theoretical logic, we then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the Yijing hexagrams discloses its own inherent logic with the dynamic relation of each hexagram. The structure consists of modal, multi-valued, and set theoretical logic. That is, it gives a high level of probability, many different values and meaning. Especially we pointed out that Fleming's approaches are very syntactic, lacking the semantical analysis which might explain the interpretative meaning of the hexagram and the indexical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that also shows the realistic nature of the Yijing though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