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기업에서 조직구성원 참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시남(Park, Si-Nam),배귀희(Bae, Kwi-Hee),이윤재(Lee, Youn Jai) 서울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에서 조직구성원의 참여가 조직공정성 및 조직후원인식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501개 사회적기업들과 274곳의 서울형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775개의 설문지를 돌려 274명이 표본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는 Amos(18.0) 및 Mplus(7.2)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에서 조직구성원 참여가 조직공정성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구성원 참여에서 조직공정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직구성원 참여에서 조직공정성 및 조직후원인식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유의하게 부정적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구성원 참여에서 이직의도로의 직접효과와 조직구성원 참여에서 조직후원인식을 매개로 이직의도로의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조직구성원 참여에서 조직공정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이르는 간접효과의 크기와 조직구성원 참여에서 조직공정성 및 조직후원인식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이르는 간접효과의 크기는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사회적기업에서 조직구성원 참여가 조직공정성 및 조직후원인식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관리적 시사점은 조직구성원 참여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줄이는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사회적기업의 중요한 특성인 조직구성원의 참여가 효과를 나타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내에서 조직공정성 확립과 조직후원인식의 증대를 위한 제도적 및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members in a social enterprise make an impact turnover intention through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 sample of the study was comprised of 274 after distributing 775 survey questionaries. We employ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for analyz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using Amos(18.0) and Mplus(7.2).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significantly influenced organizational justice. Second,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significantl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s. Third,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had an indirect effect turnover intention via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via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 manageri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stitu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cause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would be a significant factor via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

        다층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학습조직, 코칭 활용 정도와 의사소통이 인적자원개발 활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시남(Park, Si Nam),배귀희(Bae, Kwi-Hee),유병욱(Yu, Byung-Uk)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학습조직, 코칭 활용 정도와 의사소통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인적자원개발 활동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적자원개발(HCCP) 5차년(2013년)도 자료 중 학습조직과 코칭을 동시에 시행하는 83개 기업의 설문지와 그에 속하는 2,685명의 근로자 설문지를 통합하여 다층 구조방정식(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SPSS 18.0과 Mplus 7.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직수준 변인으로는 학습조직, 코칭 활용 정도 및 인적자원개발 활동 효과를 사용했고 개인수준 변인으로는 의사소통과 조직몰입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CCP 2차 조사(2007년)에서 5차 조사(2013년)까지 코칭이 기업 현장에서 인적자원개발 활동으로 가장 많이 시행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학습조직 시행되었다. 둘째, 개인수준변인에서 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수준 변인에서 의사소통과 코칭이 조직몰입에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수준의 변수인 학습조직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조직수준의 학습조직 및 코칭 활용 정도와 의사소통이 인적자원개발 활동에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몰입이 인적자원개발 활동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학습조직, 코칭 및 의사소통이 조직몰입을 통해서 인적자원개발 활동 효과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coaching, learning 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on the effect of integration of HRD practices with referenc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multi-level SEM. This study used 2,685 workers’ data in 83 companies applying coaching and learning organization in 5th Capital Corporate Panel(HCCP) data-sets(2013) analyzed them with Amos(18.0) and Mplus(7.2) program. It also considers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organization commitment. Company-level variables include coaching,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 effect of integration of HRD Practic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ny companies have applied coaching from 2007 to 2013. They have also applied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at the individual-level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ird, at the company-level communication and coaching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 commitment. But, learning organization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predictors of organization commitment. Fourth, coaching, learning 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at company-leve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gration of HRD Practices. Fifth, organization commitment is not a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effect of integration of HRD Practices. and coaching, learning 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at company-level didn"t have a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he effect of integration of HRD Practices with organization commitment.

      • KCI등재

        복지확대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 분석

        이현우(Hyeon-Woo Lee),박시남(Si-Nam Park)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6 OUGHTOPIA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신뢰, 정부평가, 복지방향, 사회인식 및 빈곤원인 인식등이 복지확대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다. 경험적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KoWePS)의 8차년도 설문자료를 이용하였다. 경험적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령이 높을수록 복지확대를 찬성하며, 세금부담이 클수록 복지확대에 반대한다는 발견을 통해 자기이해관계가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정책수행평가가 개인복지와 관련이 깊은데 반해서, 정책내용이 집단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복지정책을 조망하는 이념적 측면이 다른 변수들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금의 공정성과 사회불평등의 심각성 인식 정도 또한 복지태도와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적 이익계산이 복지태도결정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사회인식 및 복지정책 내용과 정부의 수행능력등이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경험적 발견을 통하여 기존연구에서 한국인의 복지태도가 비일관적이라는 주장과는 다른 결론을 내리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government trust, contents of welfare, social fairness and perception of cause of poverty, on the attitudes toward welfare expansion. Some findings confirm the previous arguments while others provide the new perspectives. First, principle of self-interest is reaffirmed as the effective determinant on the attitudes. Next,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performance consists of the two different rules. For the individual level, implementation of the welfare policies is considered. On the other hand, for the group level, contents of the policies are evaluated. Lastly, perception of fairness of taxation and social inequality influences the attitude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rguing that Koreans are inconsistent in the attitudes toward welfare issue, this paper insists that the attitudes are determined in reasonable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