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을 위한 신학적 과제

        박숭인,박윤희 한국조직신학회 202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theological response to the problem of aging. To this end, the aging phenomenon is first considered, and negative and positive views on it are reviewed. Based on this review, the theological discussion so far is reviewed.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to list various theological responses, but to set the direction that this thesis aims to pursue in its essential aspect to solve the problem of aging. In this regard, attempts to set a theologically positive direction for old age and studies to establish a new founda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elderly in the church are intensively reviewed. As this thesis aims, as a theological task for the elderly, I focus on the elderly's awareness of subjectivity and the education process for the elderly. What should not be forgotten is the new study of fluid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The new paradigm of active participation in church ministry and education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crystallized intelligence of the elderly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solving the aging problem as an exemplary case. In particular, the intergenerational teachinglearning curriculum will present new possibilities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age of aging. 본 논문은 고령화의 문제에 대한 신학적 응답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위하여우선고령화현상을고찰하고, 그에대한부정적시각과긍정적 시각을 검토한다. 이러한 검토를 기반으로 지금까지의 신학적논의를점검한다. 여기서중요한것은여러신학적응답의나열이아니라, 본논문이지향하는바, 고령화의문제해결을그본질적인면에서추구하는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에 노년에 대해서 신학적으로 긍정적인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는 시도와 교회의 노인 교육을 새롭게 정초하는연구를집중적으로검토한다. 본논문이지향하는바, 노년을위한신학적과제로나는노인의주체성에대한자각과노인교육과정을중점적으로고찰한다. 잊지말아야할점은유동적지능과결정적지능에대한새로운연구이다. 노인들의결정적지능에기초한교회사역에의주체적참여및노인교육의새로운패러다임은하나의모범사례로서고령화문제를해결하는단초가될수있다. 특별히세대간상호교수-학습교과과정은고령화시대에닥친세대갈등의문제를해결하는새로운가능성을제시할수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에 직면한 기독교선교를 위한 신학적 해석학의 과제

        박숭인 한국대학선교학회 2008 대학과 선교 Vol.14 No.-

        Das Ziel des Aufsatzes liegt in der Errterung einer theologischen Hermeneutik fr die christlichen Mission angesichts der multikulturellen Gesellschaft. Fr die angemessene Errterung braucht man ein neues Verstehen der Hermeneutik. Bei der traditionellen Hermeneutik in Europa ging es um ein den Zeitabstand zwischen den Text und den Leser berwindendes Verstehen. Mit seinem berhmten hermeneutischen Schlssel, Wirkungsgeschichte und Horizontverschmelzung, hat Gadamer diese Aufgabe hervorragenderweise erfllt. Aber Gadamers Hermeneutik setzt eine homogenen europischen kulturellen Tradition, in der einen gemeinsamen Grund fr das Verstehen gefunden werden kann, voraus. Heute, angesichts der multikulturellen Gesellschaft, ist zu fragen, wie man eine interkulturellen Hermeneutik entwickeln kann, wobei es keinen Grund fr ein gemeinsames Verstehen zu geben scheint. Sundermeier kritisiert die traditionelle Hermeneutik, weil sie nur auf Sich-Verstehen konzentriert. Als Missionswissenschftler erweckt er die Wichtigkeit der Anderen in der Hermeneutik.Mit der Annahme der These Sundermeiers versuche ich sie weiter zu entwickeln. Meine These lauten:1. Die Hermeneutik, die ein interkulturelles Verstehen ermglicht, darf nicht eine auf sich konzentrierende Hermeneutik sein. Sie sollte ein wechselseitiges Verstehen zwischen den Kulturen frdern.2. Text und Kontext kann nicht voneinander getrennt betrachtet werden in der Begegnung der Kulturen. Der Kontext zusammen mit der Text in einer Kultur zeigt sich der anderen Kultur als Text. 3. Auf Grund der These 1 und 2 sollte eine interkulturelle Hermeneutik sich an eine neue Produktion des Textes richten.

      • KCI등재후보

        기독교 이해 교과목의 자리매김 - 기독교 신학의 본원적 과제

        박숭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3 대학과 선교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the task of the subject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 try to demonstrate the significance of using compulsory subject related to christianity as a mission tool and an apologetics vehicle for christianity. The article then focuses on the effective method to educate the class. Education through a compulsory subject related to christianity should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for non-christian students. As concrete approaches to the above mentioned compulsory subject, I propose education with contemporary social affairs, small 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counseling. The survey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a subject such a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and leads us consequently to the recognition that the subject is not merely a subject among others, but an authentic task of christian theology. The significant contents which characterize the subject as authentic task of the christian theology are as follows: gospel and culture, building an understandable theology and theological feedback from the young non-christian generation. 본 논문의 지향하는 과제는 기독교 이해 교과목을 기독교 신학의 본원적과제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논리적으로 추구해가기위하여 필자는 우선 기독교 이해 교과목에 대한 이해를 환기시키고자 하며,구체적으로 기독교 선교와 변증이라는 두 축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선교와변증이라는 두 축으로의 이해는 이미 기독교 이해 교과목이 기독교 신학의본원적 과제를 수행하는 중요한 과목임을 밝혀준다. 이미 전제된 기독교 신학의 본원적 과제를 성실히 수행하기 위하여 기독교 이해 교과목은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필자는눈높이 교육, 교육 내용의 다변화, 현실적 사회문제를 통한 교감, 소그룹토의 활용, 학생에게 다가가는 교육 등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하여 기독교 이해 교과목 담당자들이 전임 교수이어야 함을 역설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수렴하며, 내용적으로 기독교 이해 교과목이 담당하는 기독교 신학의 본원적 과제를 상술함으로써 본 논문은 결론을 맺는다. 그 내용적인 본원적 과제는 복음과 문화의 문제, 일반인과의 소통 가능성연구, 기독교 신학의 피드백 탐구이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직면한 상황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박숭인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4 No.-

        As far as the theology does not regard itself as a monologue in heaven, it should be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gospel and the context as its authentic mission in proclaiming the Word of God to the world. This thesis begins with the awareness that the neoliberalism has dominated the world in every aspect today. This motivated perception leads to a new paradigm of the contextual theology confronted with the globalization of neoliberalism. This thesis deals with the task of the contextual theology in the era of neoliberalism. In order to manage the above mentioned theme, the nature of the globalization of neoliberalism is clarified. The discourse on the nature of the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forms the main theme of the second chapter. The third chapter of the thesis focuses on the task of the contextual theology in the era of neoliberalism.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contextual theology should be changed today, as the context continuously changes.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mentioned theme the meaning of the contextual theology is clarified. Every nation is closely connec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and even its problems are at the same level. So understanding contextual theology is necessarily based on perception of the critical situation of the world under the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The contextual theology has to develop a new way to interpret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text in relation to the world as a whole. As a conclusion a new perspective of (contextual) theology is mentioned in the fourth chapter. This thesis suggests three important points to develop the (contextual) theological task. Firstly, the (contextual) theology should endeavor to take off the mask of the neoliberalism to reveal the its real nature. Secondly, the theological task should be not fashionable but continuous work. Thirdly, The task is debated on the interdisciplinary dimension. A Study of Ontological Phenomenon 본 논문은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직면한 상황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추구하는 논문이다. 신자유주의는 하나의 경제 이론의 차원에머무르는 소위 ‘주의’(ism)가 아니다. 미국과 영국으로부터 비롯된한 국가의 경제 및 사회 전반적인 정책을 추동하는 원리였으며, 이후전 세계로 확산되어 오늘날 세계화라는 주제와 맞물려 전 세계를 경제적 효율성이라는 가치로 몰아가는 폭압적 정책이다. 이러한 신자유주의를 연구하여 그 가면 뒤에 숨은 비인간적인 실체를 드러내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전 지구상의 인류를 위한 선한 사역을구상하는 일은 회피할 수 없는 신학의 과제이다. 이상의 동기에서 출발하는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II장에서는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신자유주의의 허상을 지적하며 그 본질적 성격을 밝혀 논문이 다루어야 할 주제를 명확히 한다. 신자유주의는 복지국가와 완전고용을 추구하기 위하여 개입했던 국가의 시장개입역할을 최소화함으로써 자유로운 시장경쟁을 유도하고 경제적 효율성을 높인다고 하는 명분을 내세운다. 이 명분을 정당화시켜주는 용어들이 규제 완화, 민영화, 자유화, 작은 정부 등이다. 개인의 경제적 자유를 최대로 보장하기 위한 이념인 듯이 보이는 이러한 포장들은 사실상 신자유주의의 본질을 가리는 가면에 불과하다. III장은 상황신학에 대한 일반적 논의와 함께 신자유주의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문제를 다룬다.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상황신학을간략히 정리하여 그 의미를 정립하는 동시에, 신자유주의의 세계화에 직면한 상황신학이 스스로를 어떤 모습으로 드러내어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한 지역의 상황이 전 지구적 문제와 분리될 수 없는 오늘날 한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를 다루는 상황에 대한 논의는 예전과 다른 패러다임을 취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논의가 III장의 중심 내용이다. IV장은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하여 앞으로의 신학이 지향해야 할바를 전망하는 것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이제는 신학이 스스로 몸담은 상황—그 중에서도 특히 정치 경제적상황 —을 논의할 때, 그 상황을 신자유주의가 추동해가는 세계적인상황과 분리시켜 고려할 수 없게 되었다. 현재 우리가 직면하는 상황은 한 나라가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내포한 상황이 아니다. 신자유주의의 문제와 기독교신학은 무슨 관계가 있는가라는 질문은 이미 그 질문의 의도에서부터 잘못 정초된 것이다. 기독교신학은 그 신학이 몸 담고 있는 시대와 사회적 문제에 관하여 끊임없이관심을 가지고 그 문제들의 현상, 원인, 대안들에 관하여 지속적인논의를 할 의무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모든 기독교신학은 상황신학이다! 우리가 현실로 경험하는 세계의 문제들의 근원이 되는 이론 및통치 체계가 신자유주의라면, 신자유주의의 문제는 기독교신학이회피해서는 안 되는 핵심 주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핵심주제에 관한 한 상황신학은 세계적 지평을 가져야 한다. 필요에 따라 신학자는 경제학자, 사회학자, 정치학자가 되어야 한다. 신자유주의가 그러한 것처럼 상황신학도 세계의 모든 차원을 껴안고 고민해야 한다. 특히 신자유주의에 관한 한 신학자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 교양교육의 의미 재정립

        박숭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4 대학과 선교 Vol.27 No.-

        This thesis suggests needs to reestablish the christian liberal education inthe university today, starting from etymological and historical research of‘liberal arts’. Basically liberal arts are those subjects or skills that in classicalantiquity were considered essential for a free person in Ancient Greek. Liberal education was to let them know how to participate in public debate,defend himself in court, serve on juries and military service. It meant essentialeducation for leaders. If the roles of the free person as a leader at that time were based on theliberal education, our liber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might also be focusedon basic subjects for being a leader in our society. In this sense, liberaleducation today should be an approach to learning that empowers individualsand prepares them to deal with complexity, diversity, and change. Surprisingly the virtues that our society needs, for example, public responsibilityand justice, and the virtues of the christianity coincide. At this tangentpoint I realize the value of the christian liberal education in the currentuniversity. With this insight I propose some ideas which might be useful for the curriculumof christian liberal education. 본 논문은 기독교 교양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고자 하는 의도로 집필된논문이다. 기독교 교양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함에 있어서 본 논문은 기존의여타 논문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택하고자 시도한다. 즉 기독교의 정체성이라는 명제로부터가 아니라, 일반 대학교 교양교육의 의미로부터 시작하여그 의미를 충족시키는 일에 기독교 교양교육이 선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있음을 피력한다. 대학교 교양교육의 진정한 의미는 미래사회의 공적 지도자를 길러내는일이며, 그 구체적인 역량으로 공적 가치와 시대적 사명을 고양하는 교육이행해져야 한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사명은 역사적으로, 또 현대의 교양교육에 대한 진지한 논구를 통하여 역설된다. 위에 언급한 대학교 교양교육의진정한 의미야말로 기독교 교양교육이 감당해야 할 사명을 세상의 언어로표현한 것으로 필자는 해석하며, 이에 기독교 교양선택 교과목의 교육을담당하는 교수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그리고 가능한 기독교 교양선택 교과목에 대한 제언으로 본 논문은 결론을 맺는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김광식의 토착화신학과 하이데거의 철학적 사유

        박숭인 한국대학선교학회 2006 대학과 선교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theme of the contextual theology and the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dialog by comparing the indigenization theology of Kwang-Shik Kim with the philosophy of Martin Heidegger. For a closer approach to the study, the thesis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Firstly, the intention of Kim in his indigenization theology is introduced. To clarify his intention,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his indigenization theology should be listed. Secondly, the hermeneutical characteristics of Kim``s indigenization theology is investigated. To make them evident, this chapter is focussed on two characteristics, that is, the cultural a priori assumed by Kim and the openness toward east-west dialog in Kim``s theology. Thirdly, the influence of Heidegger in Kim``s indigenization theology is found. In this chapter the phenomenological feature in Kim``s theology, which is influenced by Heidegger``s philosophy should be carefully discussed. The influence should be researched on the intentional dimensions of Kim and Heidegger, not terminological comparison. Not only the influence of Heidegger in Kim``s theology, but also the difference which lies between the two is mentioned. Finally, through the thesis the possibility and the new paradigm of intercultural dialog are carefully suggested. The difference of language, culture and the way of thinking might make it impossible to develop the intercultural dialog in the same way that we communicate each other in one culture. In this sense this thesis can be useful and helpful in developing the intercultural dialog.

      • KCI등재

        신자유주의의 효율성과 효율적 이타주의

        박숭인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5 No.-

        After the cold war era, the world had been ruled by the capitalistic principle. The capitalism is making itself to get the maximum profit, and finally to be neoliberalism. So we are in the negative power of the neoliberalism, not knowing what it is. Basically the neoliberalism is not an economic theory, but an economic policy, which is ignored by most academic fields, in spite of widespread influence of it. In this sense the theology has to meet, struggle with and overcome the problem of the neoliberalism. This thesis deals with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neoliberalism – as they say - and the effective altruism. In order to manage above mentioned theme, the nature of the neoliberalism should be first clarified. The discourse on the nature of the neoliberalism forms the main theme of the second chapter. At the same time the efficiency and the effectiveness which is emphasized by the neoliberalists. The third chapter of the thesis focuses on the meaning of the effective altruism. Effective altruism is a thought and movement whichuses evidence and reasoning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ways to benefit others. In this sense it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altruism or char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analyses on the effective altruism as well as on the efficiency and the effectiveness of neoliberalis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 explained. As a result of above mentioned investigation, this thesis tries to develop the theological task. Dietrich Bonhoeffer determines the life of Jesus Christ as “Für-andere-dasein”. We christians should follow the way of Jesus Christ and find the way to be the being for others. In order to carry out our duty for others as disciples of Jesus Christ, we should endeavor to take off the mask of the neoliberalism and to reveal the real nature of it. Neoliberalism is dominant all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of life itself. So the problem of the neoliberalism should not be debated only on the economical level. As far as it is related to the whole life of menkind, the theology should accept i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which should be continuous and concrete work. 본 논문은 신자유주의를 분석하되, 신자유주의에 관한 지금까지의 논문들에서 부분적으로 논의되고 강조된 바는 있지만 그 주제에 집중해서 논구되지는 못한 주제, 즉 신자유주의에서 강조하는 효율성의 문제에 천착하고자 하는 필자의 의도에 따른 것이다. 효율성이라고 하는 주제는 때로는 신자유주의를 추동하는 다양한 정책 수단들 또는 강제적 집행들 배후에서 그 다양한 비인간적인 추동들의 정당성을 담보해주는 가장 확실한 근거로 자리하고 있으며, 때로는 신자유주의 정책의 상징적 혹은 실질적 구호로 작용하면서 신자유주의 정책을 이끄는 기수 역할을 하는 중심 주제이다. 신자유주의에서 강조되는 효율성이라는 주제를 냉철하게 분석하여 앞으로 신자유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일에 하나의 초석을 놓으려고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집필 목적 중 하나이다. 또한 신자유주의를 규정하는 내적 중심 논리인 효율성이 지극히 이기적인 욕망의 극대화인 동시에 그 욕망의 정당화로 보고 그와는 대척점에 서 있는 이타적 정신이 기독교 정신의 본질일 뿐 아니라 사실상 인간 본성의 뿌리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신자유주의가 강조하는 효율성의 허구를 폭로할 뿐 아니라, 인간 정신의 구체적이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을 저술하는 목적이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기독교 신학의 원론적인 접근 방식보다는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접근 방법을 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기에 본 논문의 많은 부분을 효율적 이타주의에 할애하고자 한다. 이상의 동기를 지닌 본 논문은 다음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Ⅱ장은 신자유주의를 분석하되, 신자유주의 자체 논리인 경제적 효율성에 집중하여 논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신자유주의가 주장하는 논리들의 허구성을 지적하는 것으로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신자유주의라는 이름 자체에 숨어 있는 용어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유토피아적 시장만능주의, 낙수효과의 허구 등을 밝힘으로써 신자유주의의 허구와 진실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신자유주의가 주장하는 경제적 효율성을 분석하되, 그 효율성을 구성하는 본질적 성격은 물론 불합리성을 제시함으로써 Ⅲ장에 등장하는 효율적 이타주의와 대비되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Ⅲ장은 효율적 이타주의를 다룬다. 신자유주의의 이기적 효율성의 대척점에 서 있는 사상으로서 효율적 이타주의를 다룸에 있어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효율이라는 용어에 우선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효율이 결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 아님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 어떤 가치를 위한 효율인지에 따라 사회적 미덕과 악덕 두 가지 방향성으로의 확대, 전개가 가능한 개념이 효율임을 밝히고, 신자유주의의 경우와 이타주의의 경우에서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는가를 논구하는 것으로 중심 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효율적 이타주의를 표방하는 사람들의 이론과 실천 방식을 소개한다. Ⅳ장은 지금까지 논의된 연구의 바탕 위에서 신자유주의라는 전 세계적 소용돌이 속에서, 또 그 사태에 직면한 기독교 신학이 감당해야 할 사명에 대한 전망을 하는 것으로 매듭을 짓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