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창의인재역량 비교

        박숙희(Sook Hee Park),김영주(Young Joo Kim),조득창(Deuk Chang Cho),한윤영(Yoon Young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별 창의인재역량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H대학교에 재학 중인 450명의 대학생에게 박숙희‧안혜진 ‧권유선‧한윤영(2014)이 개발한 창의인재역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는 창의인 재역량이 하위 3개 차원(인지적, 정의적 및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57개 문 항에 대해 4점 Likert척도에 응답하도록 되어있다. 연구결과 응용예술에 해당하는 디자인전공 학생들의 유창성(인지적 차원) 요인이 사회과학(사회복지, 아동보육, 지역개 발, 도시행정) 전공생보다 높았으며, 과제집착력과 위험감수(정의적 차원) 요인에서는 인문, 사회과학, 순수예술 및 이공대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순수예술 전공 집단에서는 창의인재역량의 다수의 하위 요인들과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인재역량 강화를 위한 전공별 교수학습 프로그램 설계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게 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undergraduates’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by their major. For data collection, a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Scale developed by Park, Ahn, Kwon, & Han (2014) was conducted for 450 undergraduates who are attending H university located at the metropolitan area. This scale is composed of 3 dimension of the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cognitive, affective, social) on 4-point Likert scale for 57 items.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in the fluency factor (cognitive dimension) students who major in design of the applied art were higher than that of majors in social science (social welfare, child care, regional development, urban administration). Besides, in the task commitment and risk-taking factors (affective dimension),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who major in humanities, social science, pure art and science & engineering. Also, in the pure art major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ny sub-factors and the total score of the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findings will serve as useful data for designing an instructional-learning program by major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creative talent so contribute to raising efficiency of a program.

      • KCI등재

        스페인어 동사활용표 분석과 제안

        박숙희 ( Su-ki Park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인문과학연구 Vol.10 No.-

        La conjugacion verbal en espanol es muy complicada y su numero es innumerable. Muchos estudiantes que estudian espanol sufren de ello. Sobre todo, los coreanos tienen mucho problema en memorizar los verbos conjugados variables en tiempo y modo. Para solucionarlo, nuestra tesina se dedica a proponer un nuevo cuadro de conjugacion verbal, en el que estara anadido un ‘eje acentual’ para ayudar a memorizar, con mas eficaz, los verbos conjugados. El eje acentual de que nos tratamos aqui es una linea unida de las vocales acentuadas de cada conjugacion verbal. Antes de analizar los cuadros de con-jugacion verbal, los clasificamos segun nuestro original criterio. Asi, todos los cuadros se dividen en tres modos: verso-fila; central-izquierda; y con-sin terminaciones. Entre ellos, lo mas ideal y adecuado para el aprendizaje del espanol seria un cuadro de 1 fila 6 versos-lineado izquierdo-con terminacione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창의인재역량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박숙희(Sook Hee Park),안혜진(Hye Jin An),권유선(You Sun Kwon),한윤영(Yun Young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창의인재역량 검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토대로 미래 창의인재역량의 개념적 모형을 설정하고, 조작적으로 정의된 구성요인에 적합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 제작과정을 통한 검사의 양호도 검증을 거치고 본검사 양호도를 확인한 결과, 검사의 하위요인별 신뢰도가 .60 이상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는 적합도지수 RMSEA(.040), CFI(.862), TLI(.846)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홍 외(2005)의 뇌 활용성향 검사와의 상관을 통한 준거타당도 결과 사회적 역량을 제외한 인지적 역량과 정의적 역량 하위요인 모두가 우뇌 요인과 더 높은 상관을 나타내 검사의 외적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창의인재역량검사는 전통적 개념의 개인 내 창의적 특성을 확장하여 개인 간 창의적 특성을 고려한 문항으로 차별화시켜 개발된 검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creative talent competen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creative talent competency scale, we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 for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is relatively higher than .60. The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using AMOS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hierarchical model showed fit index at a satisfactory level as follows; RMSEA(.040), CFI(.862), TLI(.846). Futhermore, to secur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is creative talent competency scale show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ight brain factor than left brain factor of Lee's Brain Dominance Scale. Creative talent competency scale validat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developed to differentiate into question considering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between individuals expanding creative characteristics within individual of the traditional concept.

      • KCI등재후보

        소외계층 영재교육

        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다문화가정이나 저소득층, 또는 지리적으로 소외되어 영재교육에의 접근이 어려운 계층의 가정에도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영재교육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영재아들이 있다.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긴 하나 그들에게 적절한 교육적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충분히 성과를 거둘 수 있는 능력과 탄력성을 가진 아이들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체계 하에서는 판별 절차 및 판별 도구의 제한성과 한계성, 문화적 편파 등의 요인으로 인해 최종 선발되지 못하고 영재교육 대상자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현행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수혜자들은 부모의 교육적 관심이나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에게 집중되어있는 경향이 있고,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지리적으로 소외되어있는 계층에게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영재교육진흥법에 근거하여 본격적인 영재교육 정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도 소외계층의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은 한동안 소홀하게 다루어져온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다양한 국내외 문헌을 토대로 하여 소외계층 영재의 정의와 판별에서의 문제점 및 고려사항, 그리고 소외계층 영재에 관한 연구와 지원노력에 관해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r the gifted education on disadvantaged groups; economical, cul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Programs developed for the gifted education must take into account the diversity represented within gifted population. And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should consider the opportunities for geographic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groups. The major factor for disadvantaged groups appeared to be their social support networks. Different programs have different goals for the gifted education on disadvantaged groups.

      • KCI등재

        스페인어 강독수업 연구: 동사중심 순차번역 교수법

        박숙희 ( Suk Hee Park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3 스페인어문학 Vol.0 No.26

        El objeto del presente trabajo es tratar, sobre todo en la clase de la lectura espan~ola, de un nuevo me´todo pedagolo´gico de la ensen~anza del espan~ol: me´todo de traduccio´n consecutiva empezada con el verbo. Nuestro me´todo se desembarca de el de grama´tica-traduccio´n tradicional, pero su aproximacio´n seri´a tan avanzada y reformada que tiene competitividad con el me´todo comunicativo, actual tendencia de la ensen~anza de lenguas extranjeras. Bajo este me´todo, la ensen~anza de la grama´tica ha ido desapareciendo en nuestras aulas, debido a que el me´todo de grama´tica -traduccio´n tradicional se considera muy artificial e instructivo y por lo cual se difiere mucho del comunicativo caracterizado por la adquisicio´n esponta´nea y natural. La competencia comunicativa, sin embargo, debe basarse anteriormente en la competencia gramatical. Para este fin se integran en este trabajo dos elementos: la competencia gramatical y la aproximacio´n natural como lengua materna. La primera se representa aqui´ como un me´todo de traduccio´n consecutiva empezada con el verbo, a trave´s del cual la oracio´n se traduce segu´n el orden de palabra del espan´ol SVO, pero en este caso el verbo debe tratarse del primer objeto de traducir; el verbo tiene campo sema´ntico requeriendo a cada sintagma nominal o preposicional unos papeles sema´nticos adecuados y por ello se distinguen fa´cilmente el sujeto y el objeto. La segunda se desarrolla aqu´i en unos procesos adelantadores para disminuir las inquietud y por el aprendizaje de lenguas extranjeras. Asi´ son: opcionaldad de la tarea de los vocabularios; participacio´n en la lectura de todos los alumnos; no-ejemplificacio´n de una traduccio´n buena.

      • KCI등재

        7차교육과정세대를 위한 스페인어쓰기 수요자중심 교수-학습 모형

        박숙희 ( Suk Hee Park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5 스페인어문학 Vol.0 No.75

        Esta tesis es para examinar cmo el modelo de la enseanza de la composicion en espaol para la Generacion del Sptimo Curriculum, para quienes haba sido tomado el nuevo Curriculum llamado Sptimo Curriculum, se puso en proceso en las clases de la universidad y cmo ha sido su resultado. A travs de la encuesta anterior en la cual se pregunta el deseo de los estudiantes, se ha hecho nuestro modelo, y con esta dicha generacion ha estudiado la composicion. El modelo incluye cinco elementos verticales no-temporales y cinco horizontales temporales. Y aquellos se dividen nuevamente en dos tipos: unos ambientales y otros no-ambientales. En la encuesta posterior el modelo ha tenido xito, por lo menos, para los estudiantes, quienes ya tienen capacidad para componer algo que quieran de forma creativa y activa.

      • KCI등재

        Korean Undergraduates’ Conceptual Structure on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박숙희(Sook Hee Park)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4 Global Creative Leader Vol.4 No.2

        교육은 왜 필요한가? 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 교육의 목적은 국가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 그리고 개인적 차원에 따라 서로 다를 수는 있겠지만, 초등교육이든 고등교육이든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의 자아실현에 있다. 자아실현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과 대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자아실현교육의 방법에는 차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자아실현교육을 위해서는 우선 자아실현인의 일반적인 특성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Maslow와 Rogers가 정리한 자아실현인의 특성들이 잘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대학생을 위한 자아실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대학생들이 자아실현에 대해 어떤 개념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실현인의 특성’에 대해 한국의 대학생들이 어떠한 개념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한 수도권 대학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2-4학년생 47명이다. 학생들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자아실현인의 특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관해 자유롭게 적어내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자가 검토하고 분석한 후 유사한 항목끼리 범주화하여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자아실현인의 특성에 대해 총 241개의 특징을 적어냈으며 1인당 평균 5.1개의 반응을 하였다. 응답내용을 검토하여 유사한 항목끼리 1차적으로 범주화한 결과 총 19개의 특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것을 다시 유사한 항목끼리 2차적으로 범주화한 결과, 총 6개의 하위요인을 찾아낼 수 있었다. 그것은 창의성(10.79%), 행복감(16.60%), 성취와 전문성(7.88%), 도전감과 목표지향성(23.65%), 인간관계(7.88%), 그리고 자기이해(33.19%)였다. 본 연구는 자아실현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의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자아실현인의 특성에 대한 개념구조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what conceptual structure Korean undergraduates have on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So, this study was done for 47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who are attending liberal arts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 After explaining an intent of the research,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down freely on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they think. Researcher examined and analyzed collected data, categorized similar descriptions, and then derived sub-factors. As the result of data analysis, those undergraduates wrote down 241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with the average 5.1 responses per one person. Upon investigation of response contents, similar items were categorized firstly, leading to the total 19 characteristics. And again, as the result of the second categorization on similar items. 6 sub-factors could be identified. They were creativity (10.79%), sense of happiness (16.60%), achievement and professionalism (7.88%), challenge and goal orientation (23.65%), human relationship (7.88%) and self-understanding (33.19%).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a conceptual structure on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er Korean undergraduates think applicable to education of self-actualization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Perfectionism and Self-Rated Creativity between Intern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박숙희(Park Sook Hee),유경훈(Lew Kyoung H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고등학교 학생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창의성에 대한 자기평가의 관계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한 국제고등학교 1-2학년생 107명과 일반계 공립 고등학교 1-2학년생 134명을 대상으로 Hewitt와 Flett (1991)의 다차원 완벽주의성향 척도(MPS)를 실시하고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얼마나 더 창의적이라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 5점 척도로 반응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국제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2학년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2학년 학생들에 비해 다차원 완벽주의 성향 척도 중 하위척도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차원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t=3.12, p<.01),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차원점수도 유의미하게 높았다(t=2.02, p<.05). 창의적인 자기에 대한 인식에서는 국제고 학생들의 평균점수(M=3.72, SD=.75)가 일반고 학생들의 평균점수(M=3.09, SD=1.58)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t=5.20, p<.001).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국제고등학교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자기지향 및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더 높고, 자신을 보다 더 창의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perfectionistic and creative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o approach this, Hewitt & Flett (1991)'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and self rated creativity scale were conducted on 241 high school students at a private international and a general high school;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s was calculated and t-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a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s (t=3.12, p<.01) And, self-rated creativity was verified between the distinguished groups of the international(M=3.72, SD=.75) and the general (M=3.09, SD=1.58) high school students(t=5.20, p<.001).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the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er tendency toward self-orient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rated creativity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 KCI등재

        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박숙희(Park, Sook-He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2 Global Creative Leader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현황을 이해함으로써, 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및 강원도에 위치한 국공립 보육시설 및 공, 사립 유치원, 직장 보육시설, 그리고 민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 교사들의 응답 결과를 통해 창의성교육을 위해 교수-학습 현장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좀 더 다양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창의적 교수-학습 행동의 실제에 관한 실습 중심의 연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제공되는 것이 매우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reativity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reativity education made by Kang, Gil, and Lee (2001)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education. This questionnaire is the style of 5 point Likert scale or the choice type of yes/n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resources need to have a more diversified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Second, actual hands-on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iversified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