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로벌 분산투자와 환헤지에 관한 실증연구

        박성운(Piao, Cheng-yun),Kim, Moo-Sung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2

        본 연구는 한국투자자의 관점에서 지난 2004년 1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과 G7국가, BRIC국가를 대상국으로 하여 각 국가의 주가지수와 원화대비 환율에 대한 수익률과 위험분석을 진행하였고 환위험을 헤지 하는 경우와 헤지 하지 않는 경우의 국가 별 수익률, 표준편차, 상관관계 및 샤프지수를 살펴보았고 네 가지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을 사용하여 투자 성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가지수 월별 수익률의 경우 선진국은 전체 기간 중에서 모두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로 존과 일본의 경우는 음(-)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고 BRIC국가는 모두 1%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편차는 BRIC국가들이 선진국에 비해 2~3배 높게 나타났는데 표준편차의 크기순은 대체로 BRIC국가, 한국, 기타 선진국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환시장에서는 주가지수가 하락하면 원화표시 환율은 상승하여 손실을 상쇄시켜주는 위험 헤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지수와 원화표시 환율의 상관관계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음(-)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엔화에 대하여 가장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개발도상국의 샤프지수가 보편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 주가지수의 상관성은 선진국과 선진국 간 주가지수의 상관성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개발도상국의 표준편차가 선진국에 비해 크긴 하지만 샤프지수를 통하여 본 결과 한국 투자자의 경우 개발도상국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다. 균등가중 포트폴리오(EQW), 최소분산 포트폴리오(MVP), 샤프지수를 최대화 하는 확실성 등가 접점 포트폴리오(CET), Bayes-Stein 포트폴리오(BST)를 구성하여 헤지한 경우와 헤지 하지 않았을 경우의 샤프지수를 비교해 보았다. 글로벌 경제여건에 따라, 구성 포트폴리오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로 증시가 상승추세인 경우 환위험을 헤지 하는 것이 성과를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글로벌 시장이 하락추세인 경우 환헤지는 오히려 투자성과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global diversification, foreign exchange hedging rate, and portfolio investment strategies, focused on G7 and BRIC countries. Firstly, in spite of their greater risk, the Sharpe rate of developing countrie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implying that developing countries are still attractive to market participants and academics. Secondly, the exchange rate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ock return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the hedging strategy of foreign exchange rates provides worse investment performance for market participants. Lastly, this study constructs four portfolios by different investment strategies and compares their investment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say which investment strategy is the best one for investors, there for it depends on the degree of individuals risk aversion.

      • KCI등재

        글로벌 분산투자와 통화헤지에 관한 실증연구

        김무성 ( Moo Sung Kim ),박성운 ( Cheng Yun Piao ) 한국재무관리학회 2013 財務管理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지난 2005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과 G7국가, BRICs 국가들의 주가지수와 원화대비 환율의 주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투자성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환위험을 헤지하는 경우와 헤지하지 않는 경우의 국가별 투자성과를 살펴보았고, 한국 코스피 주가지수 성과와 균등가중 포트폴리오(EQW), 최소분산 포트폴리오(MVP), 샤프지수를 최대화하는 포트폴리오(MSP), Bayes-Stein 포트폴리오(BSP) 등 네 가지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의 투자성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가지수와 원화표시 환율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음(-)의 값으로 나타났고, 주가지수와 원화표시 환율은 손익을 상쇄시켜주는 일정한 위험 헤지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에 비해 개발도상국의 샤프지수가 보편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개발 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주가지수 상관성은 선진국과 선진국 간의 주가지수 상관성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개발도상국의 표준편차가 선진국에 비해 크긴 하지만 샤프지수를 통하여 본 결과 한국 투자자의 경우 개발도상국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다. 환위험을 헤지한 경우 선진국은 투자성과가 향상된 반면 개발도상국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 가지 글로벌 포트폴리오의 경우 대체로 증시가 상승추세인 경우의 환위험 헤지는 성과 향상에 약간의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락추세인 경우 환헤지는 오히려 투자성과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valuates investment performance by analyzing weekly data of stock index and exchange rate of Korea, G7 countries and BRICs countries from January 2005 to February 2012. Also, the investment performance is evaluated for countries with and without foreign exchange hedging. and KOSPI index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four different global portfolio strategies, EQW, MVP, MSP and BSP.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ck index and exchange rate expressed in Korean won is generally shown to be negative, and the stock index and exchange rate expressed in Korean won somehow have risk-hedging effect. Second, Sharpe ratio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are higher than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Although the standard deviations of developing countries are greater than those of developed countries, Sharpe ratios indicate that developing countries are still attractive market to Korean investors. In the case of foreign exchange hedging, investment performance is increased for developed countries while it is decreased for developing countries. In addition, when using the four types of portfolios, the foreign exchange hedging strategy shows a positive impact on investment performance when the stock market is in a upward trend, while it shows negative impact in a downward trend.

      • KCI등재

        Copula-VaR모형을 이용한 통화별 위험분석

        김무성 ( Kim Moo-sung ),박성운 ( Piao Cheng-yun ),주용이 ( Ju Yong-yi ) 한국금융공학회 2017 금융공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Copula-VaR모형을 사용하여 투자자가 통화별(엔화, 위안화, 유로, 파운드 및 달러)로 KOSPI200에 투자한 경우 주가지수 변동과 환율 변동으로 인해 부담하게 되는 시장위험을 분석하였다. 2004년 1월 2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 주가지수와 환율의 일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외국통화로 한국 주식시장에 투자한 경우, 기존의 완전가치평가방법으로 추정한 VaR와 코퓰라함수를 사용하여 추정한 VaR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 코퓰라(Student`s t-Copula)와 크레이턴 코퓰라(Clayton Copula) 및 프랭크 코퓰라(Frank Copula)를 사용한 Copula-VaR모형은 정규분포를 가정한 모형보다 금융자산 수익률의 극단상황 발생을 더 잘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엔화의 경우 기타 통화에 비해 KOSPI200과 상대적으로 큰 양 (+)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VaR의 평균값이 모든 신뢰구간에서 큰 값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엔화를 사용하여 KOSPI200에 투자한 투자자가 가장 큰 위험을 부담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달러를 사용한 투자자는 가장 적은 위험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 risk of investors using the Copula-VaR model when investing in KOSPI 200 by currency (yen, yuan, euro, pound, and dollar) due to changes in stock index and exchange rate. We use daily data from January 2, 2004 to October 31, 2016, and compared VaR estimated using full valuation method and VaR estimated using the Copula fun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pula-VaR model using Student`s t-Copula, Clayton Copula and Frank Copula shows that extreme situations of financial asset returns are more likely to occur than those assuming normal distribution. It was confirmed to be better. Second, investors who invested in the KOSPI200 using yen have the greatest risk, while investors using the dollar have the lowest risk.

      • 글로벌 분산투자와 통화헤지에 관한 실증연구

        김무성 ( Moo Sung Kim ),박성운 ( Cheng Yun Piao ) 한국금융공학회 2013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3 No.1

        본 연구는 지난 2005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과 G7국가, BRICs 국가들의 주가지수와 원화대비 환율의 주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투자성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환위험을 헤지하는 경우와 헤지하지 않는 경우의 국가별 투자성과를 살펴보았고, 한국 코스피 주가지수 성과와 균등가중 포트폴리오(EQW), 최소분산 포트폴리오(MVP), 샤프지수를 최대화하는 포트폴리오(MSP), Bayes-Stein 포트폴리오(BSP)등 네 가지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의 투자성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가지수와 원화표시 환율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음(-)의 값으로 나타났고, 주가지수와 원화표시 환율은 손익을 상쇄시켜주는 일정한 위험 헤지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에 비해 개발도상국의 샤프지수가 보편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주가지수 상관성은 선진국과 선진국 간의 주가지수 상관성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개발도상국의 표준편차가 선진국에 비해 크긴 하지만 샤프지수를 통하여 본 결과 한국 투자자의 경우 개발도상국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다. 환위험을 헤지한 경우 선진국은 투자성과가 향상된 반면 개발도상국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 가지 글로벌 포트폴리오의 경우 대체로 증시가 상승추세인 경우의 환위험 헤지는 성과 향상에 약간의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락추세인 경우 환헤지는 오히려 투자성과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G7 and BRICs countries, analyzes the global diversification, foreign exchange risk, and portfolio investment strategies. Firstly, in spite of its greater risk, the Sharpe rate of developing countries is higher than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implying that developing countries are still attractive to Korean market participants and academics. Secondly, the exchange rate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ock return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the hedging strategy of foreign exchange rates provides worse investment performance for market participants. Lastly, this study constructs four portfolios by different investment strategies and compares their investment performance. exchange hedging generally shows positive impact toward performance improvement during the period of stock market`s upward trend. On the other hand, exchange hedging has negative impact toward investment performance during the period of stock market`s downward tr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