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성취도 최상위 학생의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성공자와 실패자의 성별 특성 비교

        박병태(Park Byung tai),신동희(Shin D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2

        초등 과학 성취도 최상위 학생들을 남녀 각 7명씩 총 14명을 선정하여 그들의 과 학 문제 해결 과정을 발성사고법을 통해 살펴본 결과, 남학생들은 과학 지식과 탐 구 문제 해결 과정에서 여학생들보다 더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문제를 풀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는 문제 풀이 성공자와 실패자에게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고 과학 지 식 문제와 과학 탐구 문제에서도 모두 남학생의 문제 풀이 전략이 더 다양했다. 또 최상위권 남학생들은 과학 문제를 풀 때, 기존의 과학 지식을 활용하려는 경우가 여학생보다 더 많았고 이러한 경향은 문제 풀이 성공자와 실패자 모두에게 공통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 최상위권 학생들은 자신이 성공적으로 풀어낸 답에 대한 확신은 남녀 모두 자신 있어 했고 성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 과에서 나타난 초등 최상위권 학생들의 문제 풀이 사고 과정에 대한 경향을 통해 과학 영재 학생들의 성별 특성을 고려한 과학 학습 지도의 필요성과도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 of 14 elementary high achievers, seven male and seven female students, by using think-aloud method. As a result, male students tended to use more various solving strategies than female counterparts, which was common not only to successful students but unsuccessful students. Also, male students used more various strategies in science knowledge items as well as scientific process items. More male high achievers tended to use their previous scientific knowledge, whether they succeeded in problem solving or not. Both male and female successful high achievers had a strong confidence in their problem sol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need of science teaching with a consideration of gender characteristics for the gifted in science.

      • KCI등재후보

        초등 과학 우수아와 일반아의 과학 지식, 탐구 기능, 과학 관련 태도에 있어서의 성별 특성

        박병태 ( Byung Tai Park ),신동희 ( Dong Hee Shi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특성을 능력에 따른 성별 차이 측면에서 비교했다. 이를 위해 총 151명의 6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지식, 과학 탐구, 과학 관련 태도 측면에서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과학 지식의 경우 전체 집단과 상위 20% 이내 집단에서 모두 뚜렷한 성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과학 탐구 능력의 경우에도 전체 집단과 상위 20% 이내 집단에서 모두 유의미한 성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과학 관련 태도의 경우 과학 지식이나 탐구 능력과는 달리 뚜렷한 성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과학과 관련하여 더 긍정적 태도를 보였고 여성의 과학 능력을 무시하는 경향이 컸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준에서 과학 지식이나 과학 탐구 문항에서의 성 차이는 거의 사라졌지만 과학 관련 태도에서의 성 차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임이 밝혀졌다. This research made a comparison of the science-relate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with the perspectives of their ability.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ducted a test consisting of items with science knowledg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A total of 151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ixth school year participated in this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ase of science knowledge,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both in the entire group and the top 20% group. In case of science process skills, there also appeare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both groups. In contrast, in science-related attitude, there appeared a clear gender difference. Elementary school boys, rather than girls, showed much more positive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a strong tendency to ignore women`s science abi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proved that the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knowledge or science process skills has seemed to disappear. On the other hand, the gender difference in science-related attitudes still remains a problem to be solv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