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뉴 북 디자인유형중 사진과 설명 유무에 따른 고객 선호도에 관한 연구

        박범진(Park Bum Jhin),송은주(Song Eun Joo),김근아(Kim Geun A) 한국식공간학회 2014 식공간연구 Vol.9 No.2

        현대의 소비자들은 물질적 풍요와 변화된 가치관에 따른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소유하고 있으며, 인간 감성을 위한 더욱더 새롭고 특별한 것을 요구하고 있다. 메뉴판 디자인은 음식에서의 시각디자인 분야와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메뉴판은 외식업체를 방문한 고객에게 상품을 구매하는 확신을 갖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메뉴판 디자인과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이론의 견고성을 확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외식업소를 대상으로 메뉴판 4종류의 유형에 따른 고객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지역 대학가 근처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300장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며, 이중 26장을 제거하고 총 274장의 유효 표본을 가지고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메뉴명만으로 이루어진 메뉴북'은 고객선호도가 대체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사진으로 이루어진 메뉴북'도 고객선호도에 보통 이상의 선호도를 보였으며, '메뉴를 정할 때의 시각적 즐거움'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시각적인 우월성과 주문한 음식과 제공된 음식과의 차이에 대한 언급 또한 사진의 유무(有無)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진과 설명으로 이루어진 메뉴북'의 고객선호도는 전반적으로 4종류의 메뉴북 가운데 중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었다. 설명과 사진으로 이루어진 메뉴북이 사진으로 이루어진 메뉴북보다 고객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enu-book design and visual design area of food graft onto customer-communication design area.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visual image, study on photos of menu-book are relatively less active than that of menu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stomer preference depending on the forms of menu design. It examines customer's preference by four kinds of the menu in restaurants and prepares the system for necessity of photos and menu-explanation under the effects of it. The customer preference for "menu-book organized by photos and explanation" marked the highest in general among the four kinds. For each menu, when examining variables of "method selecting menu", "impression of restaurant","previous understanding for food" and "dissatisfaction because of difference between expected and served dish" customer's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kinds of menu-book. In sum, menu-book organized by explanation and photos showed the higher customer preference than by only menu names, by menu names and explanation or by only photos.

      • 건강을 고려한 빵의 재료에 따른 고객 선호도 분석

        신범주(Shin Peom Ju),박범진(Park Bum Jhin),송은주(Song Eun Joo) 한국식공간학회 2014 식공간연구 Vol.9 No.2

        사회적 변화와 문화적 변화에 따라 소비자들은 건강을 지향하는 기호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와 기호에 맞는 새로운 상품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베이커리점에서 판매되는 건강빵의 종류, 건강빵 이용재료 선호도를 조사하여 건강빵 제품을 생산하는데 실용적인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인 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 하였으며, 이론적인 연구에서는 베이커리의 개념과 소비자의 상품선택 요인에 관한 서적, 논문 자료를 이용하여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건강빵 이용 재료 선호도는 뿌리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뿌리류 > 유산균류 > 야채류 > 곡류 > 과실류 > 잎/열매류 >견과류 > 향신류 > 로 나타났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건강빵을 조사하였으나 직원의 정보수준과 건강빵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다. 향후 건강빵 효능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것이며 건강빵 제품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re leading consumers to be more health-conscious these days. New products need to be brought into the market to suit various needs and tastes of them accordingly. This study looks into kinds of healthy bread, preferences for bread ingredient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shelf, which should contribute to helping production of health bread in the practical sens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are done to fulfil the goal, where the concept of bakery and factors of consumer's product selection are contemplated through relative publications and theses in the former. In the surveyed group, roots are preferred the most with probiotics, vegetables, grains, fruits, leaves, nuts and spices in the descending order. Although the research used field study to investigate healthy bread, the level of employee's understanding on the topic and criteria on the healthy bread is indefinite. It is believed that information on the efficacy of healthy bread will be needed and continuos efforts on the development of healthy bread be made.

      • KCI등재

        외식상품 구매 담당자가 파악한 소비 동향에 관한 연구

        김근아(Geun A Kim),송은주(Eun Joo Song),박범진(Bum Jhin Park) 한국관광연구학회 2014 관광연구저널 Vol.28 No.11

        The ability to learn and understand the information in the modern world is very important and as a result there is a great viewing experience that focuses on the core to create value by utilizing the information, which is not much different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o read the consumption trend of eating out deals thoughts and feelings hidden in the subconscious mind of the consumer,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and to understand in depth. By finding a shared structure through the consumption culture in the target market by analyzing in-depth consumer is able to predict the consumption tr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reliable data on in-depth interviews of representatives of the distributors purchase cuisine products to forecast consumption trends in the cuisine products, leading to a phenomenon that can be inferred for the purpose of identification. This study is how to classify the type contemplated by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for phosphorus, to study the factors and contexts of experience in analyzing the evidence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for Strauss & Corbin (1998) and the category was clearly analyzes the scope causal conditions, the central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s, mediated conditions, action / interaction paradigm of the results the structure was analyzed as a model. In this study, we aimed at retailers catering staff who participated in the catering buy items related exhibition from September 2013 to May 2014 were studied on three different occasions. In the first survey to 19 experts, in the second survey to 17 experts, and the third was conducted 24 in-depth interviews to experts in the investigation, the results obtained at each stage of this study was to experienced industry professionals 4 commissioned an evaluation increased the consistency of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a theoretical analysis of how to leverage the purchasing agent for the catering goods retailers are as follows: One-person household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increased value to the importance of catering to the growing needs of the individual consumer to think about the value and safety have to purchase and demand grows, an increasing number of high-quality products and high prices sopojang products. Therefore, in the catering company to identify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to understand the value and ease of lifestyle and consumer product development of various functional concept of the overall consumer side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