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를 위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 청사진 활용에 관한 연구

        박남훈 ( Park Namhoon ),김지은 ( Kim Jie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2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2 No.3

        최근 초개인화 서비스 증가와 함께 개인정보 활용 서비스의 기획·설계 단계부터 고객의 프라이버시 보호 및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 원칙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기업은 서비스 개발 초기부터 고객과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불필요하거나 민감도가 높은 개인정보 수집을 사전 예방하고, 적정한 데이터 활용을 통하여 책임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청사진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 설계 사례를 통해, 개인 정보에 대한 고객-개발자 간의 인식 차이를 실증하고,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를 위한 서비스 청사진 도구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상 사례는 B2C 캠핑 플랫폼의 신규 서비스 도출을 목표로 고객 25명, 개발자 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용품 구매, 메뉴 선정과 같은 기호·성향정보에서 고객과 기업 모두 낮은 지각적 민감도와 높은 비즈니스 활용성을 보였다. 두 그룹이 상충하는 대표 사례로 습관 및 취미정보, 위치 정보가 있었으며, 서비스 초기 개발 단계부터 기업과 고객의 인식 차이를 좁히고,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예: 명시적 동의 절차 등)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균형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중심 서비스 설계 방법론으로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With the recent rise of data-driven personalization in service design, service providers urgently require a balance between consumer data opportunities and privacy imperatives. Privacy by Design is a fundamental tenet that needs privacy to be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by default and enhances customers’ self-determination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s in data sensitivity and importance perceptions of importance between customers and developers using a case study of the early B2C camping service development and to suggest a modified tool of a service blueprint for a privacy-preserving data-based service journey. The results showed low sensitivity and high business applicability in camping gear and menu selec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bridging perceptual gaps in medical and health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proposed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centered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r building trust through explicit consent procedures, mutually benefiting both businesses and customers.

      • KCI등재

        패밀리 룩 인지도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면 디자인 전략에 대한 연구

        홍진선(Jinseon Hong),박남훈(Namhoon Park),김지은(Jieun Ki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5 No.1

        전기자동차 확대와 기술 변화 속에서 자동차 패밀리 룩의 핵심 요소인 라디에이터 그릴 전면 디자인에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에 판매된 국내외 13개 제조사 22개 전기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 경향 분석을 통하여, 전면 디자인 전략적 특징을 알아보고,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 전략이 패밀리 룩 인지도 수준에 따라 브랜드 재인 효과, 디자인 혁신성, 그리고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패밀리 룩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일수록 기존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을 유지하는 전략을 선택하게 되면, 디자인 혁신성은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재인 효과와 선호도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 패밀리룩이 낮거나 존재하지 않는 브랜드의 경우, 디자인 전략별 브랜드 재인 효과와 선호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을 최소화하거나 완전히 제거한 새로운 디자인은 패밀리 룩 인지도 수준과 관계 없이 전기자동차의 혁신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대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기자동차 신차 디자인에 있어서 기업의 패밀리 룩 인지도에 따른 전면 디자인 전략 선택 방향성을 제공한다. 또한,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브랜드 재인 효과와 디자인 혁신성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기업의 타깃 디자인 요소에 따른 전략 설정에 실무적 함의가 있다. With the rise of electric vehicles and inherent technological changes, designers face a new challenge of radiator grille design which has been incredibility important for automobile family look and is now totally unneeded on an electric vehicle.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he changes in radiator grille design interact and affect brand recognition, semantic feature, and preference for three brands -BMW, Hyundai, and BYD which have ranges of a family look awareness (high, high-med, & Low). The results showed that brand recognition and radiator grill changes are predicted to affect BMW and Hyundai the most; however, BY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and recognition and preferences. Second, a minimal out-shape of radiator grille and new design are effective in expressing innovative features regardless of the family look awareness level. The study might hint the strategic direction to design the front look between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semantic preference for new demands in the electric vehicle market se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