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여가태도와 재미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길태 ( Park Kil-tae ),이연실 ( Lee Yon-sil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2

        이 연구는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여가태도와 재미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자료수집방법은 생활체육 동호회에서 여가활동을 즐기는 동호인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델 1에서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월수입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태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의적태도와 인지적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태도, 재미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능성 지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여가태도와 재미요인이 생활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생활체육에 대한 재미요인과 여가 참여요인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sport for all group members' leisure attitude and enjoyment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a survey targeting 268 sport for all Group club members. For the analytical methods,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conducted. The main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del 1 has found that only monthly income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sport for all group members' life satisfaction. Second, regarding the model 2,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eisure attitude having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affective attitude and cognitive attitud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ird, regarding the model 3,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isure attitude and enjoyment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perceived compet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isure attitudes and fun factors of the members of life sports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it can be used as the theoretical basic data of the program to improve the fun and leisure participation factors for life sports.

      • KCI등재

        한국 기업복지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박길태(Kil-Tae, Park) 韓國經營史學會 2015 經營史學 Vol.74 No.-

        이 연구에서는 1961년 이전부터 현재까지 한국 기업복지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 외환위기 이후 도입된 선택적 복지제도의 운영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선택적 복지제도가 발전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1960년대 이전에는 한국의 상황으로 보았을 때 기업복지를 도입하기 어려웠던 시기 이다. 1961년~1972년에는 인사노무관련 부서가 출현하면서 기업복지에 대한 논의가 함께 이루어졌는데 여성노동력을 유인하기 위한 복지 관련 시설이 주를 이루었다. 1973년~1986년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무관리체계가 제도화되면서 기업복지도 함께 확대 되었다. 1987년~1997년에는 한국의 노동시장이 획기적인 변화가 초래되면서 기업복지 비용이 증가되고, 복지 프로그램 내용도 충실해지면서 기업복지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98년 이후에는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기업복지의 방향과 성격에도 상당한 변화를 초래했다. 그러면서 등장한 것이 선택적 복지제도의 도입이다. 선택적 복지제도는 1996년 한국 IBM이 최초로 도입하였고, 이후 현재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선택적 복지제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 날 수 있는 불합리한 요인 제거, 계약직 및 비정규직 근로자까지 대상 확대, 새로운 복지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story of occupational welfare in Korea from before 1961 up to date and the state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which was introduc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an effort to make some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in the future. It was not easy to introduce occupational welfare before the 1960s due to contemporary national circumstances. The departments of personnel management started to appear between 1961 and 1972, and occupational welfare started to be discussed at that time, especially welfare-related facilities geared toward attracting female manpower. As personnel management was systemized in large companies between 1973 and 1986, the scope of occupational welfare was expanded. The Korean labor market underwent drastic changes between 1987 and 1997. Occupational welfare expenses were on the increase, and better welfare programs were provided, which contribut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occupational welfare. In and after 1998, there were great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nature of occupational welfare be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which was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The flexible benefit plan was introduced in 1996 by IBM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it has since been extended up to now.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irrational consequences of it that may possibly occur with the lapse of time should be eliminated, and it should be applied to contract workers and irregular workers as well. Besides, the development of new welfare programs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길태(Park Kil ta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자료수집방법은 전라북도 내 지역사회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자활후견센터 등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모델 Ⅰ에서는 연간급여, 경력, 기타 직책, 연령, 기타자격증, 성별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델 Ⅱ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조직문화를 독립변수로 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문화, 위계문화, 개발문화, 연간급여, 기타 직책, 경력, 연령,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 Ⅲ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조직문화, 조직몰입을 독립변수로 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위계문화, 기타 직책, 연간급여,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연령,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elfare employe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gathered by conducting a survey on 396 social welfare employees in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ions in Jeollabukdo including 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welfare centers, rehabilitation centers and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early pay, career, one's duty, age, additional certificate holding and gender were identified as influential factors for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social workers in Model I. Seco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Model II to determine what factors would affect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yearly pay, one's duty, career, age, second-class social worker certificate holding and gender were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Thir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Model Ⅲ to determine what factors would affect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hierarchical culture, one's duty, yearly pay, second-class social worker certificate holding, age and gender were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 KCI등재

        조직문화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박길태 ( Kil Tae Park ),김세영 ( Se Young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論叢 Vol.35 No.-

        이 연구는 조직문화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전라북도 내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의 위계지향문화는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매개로 이직의도에도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직의 혁신지향문화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매개로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조직의 관계지향문화는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을 완전매개로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소진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job stress and burnout of social worker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6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s in North Jeolla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hierarchy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exerte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and burnout as well. Second,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exercise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and had an indirect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and burnout. Third,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ed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a direct negative way and exerted an indirect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and burnout. Fourth, job stress positively impacted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perfect medium of burnout. Finally, burnou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박길태 ( Park Kil Tae ),서인균 ( Seo In Kyun ),이연실 ( Lee Yon Sil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지역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몰입은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적 몰입은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적 몰입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지속적 몰입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 중 지속적 몰입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affected their burnout and whet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n impact on burnout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6 selected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senior welfare agencies and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was found to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burnout. Affectiv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ffected burnout in a negative way, and continuanc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impacted on it in a positive manner. Seco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n influence on job stress.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were found to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stress, and continuanc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ffected it in a positive way. Third,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impacted on burn out in a positive manner. Four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was found to have affected burnout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Continuanc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burnout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Therefore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ance commitment, which was par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how to provide practical intervention for social workers to promote their mental health was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특징

        김흥주(Kim Heung Ju),박길태(Park Kil Ta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1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일반가정 청소년과 비교 분석하면서 그 특성과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다문화 청소년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정책 과제를 모색하고자 전북 익산지역의 다문화청소년 89명과 일반청소년 127명을 조사ㆍ분석한 것이다. 조사결과 다문화 청소년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가정이나 학교에서 의사소통이나 관계형성이 미숙하였고,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에서도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교육, 문화, 경제차원에서 다층적 욕구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육복지, 문화복지, 지역복지 체계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중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다문화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소득지원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경제적 안정이야말로 문화욕구와 교육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between multi- cultural family youth and Normal family youth.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ir lives and welfare needs to help facilitate policy setting about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you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89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and 127 teenagers of a single Korean racial background in Iksan city, Chonbuk Provi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elected teenagers, the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lagged behind the teens of a single Korean racial background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t home and school. Community resources were less accessible to the former as well, and the former eventually had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cultural and financial needs. Therefore educational, cultural and community care systems should be built to address the educational, cultural and economic divide. First of all we must be searching for income increasing program for solution to that economic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Economic stability make a satisfy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needs and educational needs possible.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방임경험에 대한 자기인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인균(In-Kyun Seo),이연실(Yon-Sil Lee),박길태(Kil-Tae Park)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3

        본 연구는 청소년기 방임경험에 대한 자기인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남과 대전에 소재한 중·고등학교를 다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에 응해준 청소년 중 방임경험에 대한 자기인식이 있다고 응답한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방임경험에 대한 자기인식은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기 사회적 지지 중 부모지지, 친구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기 방임경험에 대한 자기인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에 따라 부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에 의한 방임경험에 대한 자기인식이 있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perception on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dolescent aged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f-enrolled questionnair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nd Daejeon, and 243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self - And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perception of experience of neglecting adolescence has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parent support and friend support among adolescents" social support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self-efficacy. Third, the effect of self-perception on self-efficacy on adolescent"s neglected experience was moderated by negative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practical intervention plan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self-awareness about experiences of neglect by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